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완벽주의 성향을 기능적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완벽주의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주장행동과 의사소통기술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완벽주의 성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해 본 결과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이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에 비해 더 주장적이며 의사소통기술 능력도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가설을 세웠고, 이에 따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수원시 ○○중학교 남녀 학생 4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9명의 자료를 제외시켰다. 이들 중 완벽주의 점수가 상위 30%에 해당하면서 동시에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점수가 하위 50%에 해당하는 피험자를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으로, 완벽주의 점수가 상위 30%에 해당하면서 동시에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점수가 상위 30%에 해당하는 피험자를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으로 분류한 결과 실제 피험자는 125명이었다. 그리고 빈도분석과 t 검증, 변량분석, 그리고 사후검증으로는 Schéffe 검증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이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보다 요청과 거절 상황에서 더 주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장행동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학년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이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사소통 능력의 다섯 가지 하위차원에 대한 분석 결과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과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간에 자기노출과 감정처리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중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을 기능적인 완벽주의와 역기능적인 완벽주의로 구분할 수 있고, 기능적인 집단이 역기능적인 집단보다 더 주장적이며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사회성 지도와 표현훈련, 상담 등이 적절하게 이루어진다면 역기능적인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학생들의 적응적인 면을 발전시키고 부적응적인 면은 감소시켜서 또래관계를 잘 유지하고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