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영어 서술형 평가 결과 분석 및 학생 인식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현옥 | - |
dc.contributor.author | 황효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7:30:50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7:30:50Z | - |
dc.date.issued | 2017-08 | - |
dc.identifier.other | 2576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100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2017.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면서 동시에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평가방법의 일환으로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도입된 서술형 평가에 대한 학생 인식을 서술형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이해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내 서로 다른 지역의 두 개의 중학교를 선정하여, 첫째, 3학년 1학기 지필평가의 선다형 평가와 서술형 평가의 획득점수와 만점자수를 비교해 보았다. 둘째,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로 알아보았다. 셋째, 서술형 평가 문항별 체감 난이도와 실제 획득점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필평가 결과에서 지역, 수준, 성별에 상관없이 선다형 평가문항의 획득점수가 서술형 평가문항의 획득점수보다 높았다. 즉, 서술형 평가의 실질적 점수손실이 학생들의 서술형 평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았다. 둘째, 지필평가 결과에서 선다형 평가문항 만점자수가 서술형 평가문항 만점자수보다 훨씬 많았다. 즉, 서술형 평가 점수에 따라 학생들의 성취도가 결정되어 서술형 평가 유형이 학생들을 성적에 따라 줄 세우는 기능을 함으로써 열심히 하면 좋은 점수를 받는다는 긍정적 인식보다 열심히 해도 점수가 깎이는 어렵고 힘든 시험이라는 부정적 인식을 가질 수밖에 없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수준의 차이에 상관없이 서술형 평가보다 선다형 평가를 선호하였다. 학생들은 선다형 평가 선호 이유로 문제풀이가 편하고 쉽게 점수를 얻을 수 있으며 답을 몰라도 찍기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었다. 이를 통해, 내신 점수에 민감한 한국의 교육현장에서 시험의 편의성, 점수 획득의 용이성으로 인해 선다형 평가를 선호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현실을 파악하였다. 뿐만 아니라, 서술형 평가를 치루는 데 있어 영어능력 부족과 문법성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서술형 평가 대비를 위해 문법 공부에 치중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넷째, 서술형 평가 문항유형별 학생들의 체감 난이도와 실제 획득점수에 있어서 그림을 묘사하거나 세부내용을 파악하여 찾아 쓰는 단순한 문항 유형은 쉽게 생각하고 성취 수준도 높은 편이나, 사고력과 언어지식을 활용하여 스스로 답안을 구성해야하는 실질적 서술형 평가 유형은 어렵게 생각하고 성취 수준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서술형 평가의 안착과 서술형 평가가 의도한 교육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필평가에서 선다형 평가유형과 서술형 평가유형의 획득점수 비율이 비슷하도록 난이도를 조절하여 출제해야한다. 둘째, 서술형 평가 문항의 채점기준을 어법 위주의 감점 방식이 아니라 답안의 내용과 질도 충분히 평가하도록 재조정한다. 셋째, 학생들의 생각을 장려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개방형 문항 유형 출제를 늘려야 한다. 넷째, 수업과 평가의 일체화로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서술형 평가에 충분히 대비하고 만족할만한 성취도를 달성하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I.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 문제 2 1.3 연구의 제한점 3 II. 이론적 배경 4 2.1 언어평가 4 2.1.1 평가 목적 4 2.1.2 평가 방법 5 2.1.3 평가 도구 요건 6 2.2 서술형 평가 7 2.2.1 서술형 평가의 개념 및 유형 7 2.2.2 서술형 평가의 단점과 장점 8 2.2.3 서술형 평가 실시 현황 9 2.2.4 영어과 서술형 평가의 실제 10 2.3 영어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선행연구 12 2.3.1 영어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실태 연구 12 2.3.2 영어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학생 인식 연구 14 III. 연구방법 17 3.1 연구 대상 17 3.2 자료 수집 18 3.3 연구 도구 19 3.4 자료 분석 22 IV. 연구결과 및 논의 25 4.1 학교별 영어 수준 25 4.2 지필평가 결과분석 26 4.2.1 학교별 비교 26 4.2.2 학교내 수준별 비교 28 4.2.3 학교내 성별 비교 34 4.2.4 지필평가 유형별 만점자수 비교 37 4.3 학생 설문조사 분석 39 4.3.1 선호하는 평가 유형 39 4.3.2 평가 유형별 선호 이유 41 4.3.3 서술형 평가 유지 여부 45 4.3.4 서술형 평가의 장점 50 4.3.5 실제 영어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평가 유형 52 4.3.6 서술형 평가의 전반적인 난이도 54 4.3.7 서술형 평가 문항 풀이에 어려운 점 57 4.3.8 서술형 평가의 사고력 향상 효과 여부 60 4.3.9 서술형 평가 대비를 위한 학습 전략 62 4.3.10 학교에 요구하는 서술형 평가 대비책 64 4.4 문항별 학생 체감 난이도와 실제 획득점수 비교 66 V. 결론 및 제언 69 5.1 결론 69 5.2 제언 74 참고문헌 77 부록 80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중학교 영어 서술형 평가 결과 분석 및 학생 인식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English Constructed Response Assessment Results and Students' Perceptio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 |
dc.date.awarded | 2017.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788706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760 | - |
dc.subject.keyword | 중학교 | - |
dc.subject.keyword | 영어 | - |
dc.subject.keyword | 서술형 평가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