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장 근 섬유아세포에서 PPAR-γ효능제의 항 섬유화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재-
dc.contributor.author유준환-
dc.date.accessioned2019-10-21T07:30:21Z-
dc.date.available2019-10-21T07:30:21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other25495-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053-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2017. 8-
dc.description.abstract장 섬유화는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을 포함한 염증성 장질환의 심각한 합병증이다. 현재 장 섬유화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특이적 치료법은 없다. 이전 연구에서 장을 제외한 여러 장기에서 PPAR-γ효능제의 항 섬유화 효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장 섬유화를 억제하는 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인간 대장에서 직접 분리한 근 섬유아세포에서 PPAR-γ효능제의 항 섬유화 효과와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간 장 근 섬유아세포는 대장암 수술 후 얻은 대장 검체에서 병리학자가 육안적으로 정상점막을 확인하여 얻은 정상 대장 점막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근 섬유아세포는 TGF-β1으로 처치하여 활성화 (fibrogenic activation) 시키고 동시에 합성PPAR-γ효능제를 투여 또는 비투여 하였다. 합성 PPAR-γ효능제는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또는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을 사용하였다.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과 웨스턴블롯(Western blot)분석을 사용하여 근 섬유아세포 내의 섬유화 마커들 (procollagen1A1, fibronectin, α-smooth muscle actin) 의 mRNA 및 단백질 발현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LY294002(Akt 억제제)를 사전 처치하여 Akt 인산화가 TGF-β1 유도 섬유화 마커 발현증가의 하위기전인지 확인하였다. 또한, 비가역적 PPAR-γ길항제인 GW9662를 사용하여 PPAR-γ효능제의 항 섬유화 효과가 PPAR-γ의존적인지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TGF-β1에 의해 활성화된 근 섬유아세포 내에서 PPAR-γ효능제 (트로글리타존과 로시글리타존)가 α-smooth muscle actin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PPAR-γ효능제는 TGF-β1에 의해 활성화된 인간 장 근 섬유아세포에서 섬유화 마커들 (procollagen1A1, fibronectin, α-smooth muscle actin)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증가를 억제한다는 것을 RT-PCR 및 웨스턴블롯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PPAR-γ효능제가 항 섬유화 효과를 나타내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우선 인간 장 근 섬유아세포에서 TGF-β1이 섬유화를 유도하는 기전을 확인하였다. TGF-β1자극은 Smad2, Akt, ERK 신호전달분자들의 인산화를 증가시킴을 웨스턴블롯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Akt 억제제 처치를 통해 TGF-β1 자극에 의한 섬유화 마커들 (procollagen1A1, fibronectin, α-smooth muscle actin)의 발현 증가가 억제됨을 관찰하여 TGF-β1에 의한 근 섬유아세포의 활성화가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PPAR-γ효능제 (트로글리타존과 로시글리타존)의 항 섬유화 효과는 Akt 및 Smad2 인산화 억제를 통해 일어나며 이는 PPAR-γ비의존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PPAR-γ효능제 (트로글리타존과 로시글리타존)는 인간 장 근 섬유아세포의 활성화를 억제, 즉, TGF-β1에 의해 유도되는 섬유화 마커들 (procollagen1A1, fibronectin, α-smooth muscle actin) 의 발현 증가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향후 PPAR-γ효능제를 이용한 장 섬유화 치료제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3 A. Reagents 3 B. Myofibroblast Isolation and Culture 4 C. Cell Viability Assay (MTT Assays) 5 D. RNA Isolation and semiquantitative RT-PCR 6 E. Western blot 8 F. Immunocytochemistry 9 G. Statistical Analysis 10 III. RESULTS 11 A. Effect of PPAR-γ agonists on cell viability in human primary intestinal myofibroblasts 11 B. Effect of PPAR-γ agonists on TGF-β1-induced expression of α-smooth muscle actin (α-SMA) in human primary intestinal myofibroblasts 13 C. PPAR-γ agonists inhibit TGF-β1-induced ECM and α-SMA expression in human intestinal myofibroblasts 18 D. TGF-β1 induces ECM and α-SMA expression by phosphorylation of Akt in human intestinal myofibroblasts 21 E. PPAR-γ agonists decrease TGF-β1-induced phosphorylation of Akt and Smad2 23 F. Suppression of ECM, α-SMA, and phosphorylated Akt (pAkt) expression by PPAR-γ agonists are PPAR-γ independent 25 IV. DISCUSSION 26 V. CONCLUSIONS 30 REFERENCES 32 국문요약 38-
dc.language.isoeng-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인간 장 근 섬유아세포에서 PPAR-γ효능제의 항 섬유화 효과-
dc.title.alternativeAnti-fibrogenic effect of PPAR-γ agonists in human intestinal myofibroblasts-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 Hwan Yoo-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7. 8-
dc.description.degreeDoctoral-
dc.identifier.localId788479-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495-
dc.subject.keywordInflammatory bowel disease-
dc.subject.keywordIntestinal fibrosis-
dc.subject.keywordMyofibroblasts-
dc.subject.keywordtroglitazone (TRG)-
dc.subject.keywordrosiglitazone (RSG)-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edicine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