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요추부 및 요추부 방출성 골절 환자에서 보상여부가 임상적 및 기능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창훈-
dc.contributor.author정구영-
dc.date.accessioned2019-10-21T07:30:15Z-
dc.date.available2019-10-21T07:30:15Z-
dc.date.issued2017-02-
dc.identifier.other24837-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039-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2017. 2-
dc.description.abstract목적: 흉요추부 및 요추부 방출성 골절에 대한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 할 수 있으며, 척추경 나사못과 골이식을 이용한 수술 치료로 좋은 치료 효과를 얻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척추 골절의 평가에서 방사선적 요소들인 시상면 상의 균형, Cobb's angle, 압박율, 전방 척추체의 압박, 척수강내의 골편에 의한 침습 정도 등이 결과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한다.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에 의해 발생한 흉요추부 및 요추부 방출성 골절은 치료비를 환자가 본인이 부담하지 않고 정부나 보험회사가 부담하며, 골절이 유합된 이후에는 골절로 인한 장해 정도에 따라서 보상을 받으므로 이런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결과를 평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나 교통사고로 인해 신경 증상이 없는 불안정성 흉요추부 또는 요추부 방출성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보상이 완전히 종결된 후에 치료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불안정성 흉요추부 또는 요추부 방출성 골절로 신경학적 증상이 없이 골절의 불안정성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 치료비를 환자가 지불하지 않으며, 치료 후에 보상과 관련 있는 보상 환자군과 개인이 치료비를 지불하며, 치료 후에 보상과 관계없는 대조군으로 분류하고 분석을 하였다. 환자들은 2년이상 추시 관찰하였으며 임상적 지표(VAS, ODI)와 방사선학적 지표의 확인을 추시 관찰 시 시행하였다. 결과: 두 군간의 환자 나이, 성별, 방사선학적 지표, 골절 등급 등의 인구학적 요소들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보상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방출성 골절 부위를 중심으로 한 Cobb's 각도와 압박률은 보상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보상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동통의 정도에 대해서는 수술 후 1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종 추시 시점에서 보상 환자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해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p<0.001) 장해 정도의 평가에서는 수술 후 1년과 최종 추시 시점에서 서로 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p>0.05) 고찰: 본 연구의 흉요추부나 요추부 방출성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에 대한 장해 정도의 평가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성은 척추 골절의 치료 결과가 장해보상과 관련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치료 결과에 대한 장해정도를 보상과 관련이 없는 환자들의 장해정도와 비교해서 보상이 치료 결과에 영항을 주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는데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양한 방사선적 요소들의 분석과 장해 정도의 평가에서 신체활동과 관련된 근력의 평가, 원래의 직업에 복귀여부 등과 같은 환경적 요소가 장해평가에 미치는 정도는 평가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ⅰ 차례 iii 그림차례 iv 표차례 v 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2 A. 연구대상 2 B. 방사선적 연구 2 C. 동통의 정도와 장해 정도의 평가 2 D. 제외 대상 3 E. 통계분석 3 Ⅲ. 결과 3 A. Demographic data의 분석 3 B. 방사선적 요소의 분석 결과 3 C. 동통의 정도와 장해 정도의 평가 3 Ⅳ. 고찰 4 Ⅴ. 결론 6 참고문헌 6 ABSTRACT 9 그림 차례 Fig. 1. 보상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동통의 정도의 변화 12 Fig. 2. 보상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장해 정도의 변화 13 표 차례 Table 1. Dermographic data between compensation group and non-compensation group. 14 Table 2. Radiographic data between compensation group and non-compensation group. 1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흉요추부 및 요추부 방출성 골절 환자에서 보상여부가 임상적 및 기능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7. 2-
dc.description.degreeDoctoral-
dc.identifier.localId770745-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837-
dc.subject.keyword척추 유합-
dc.subject.keyword방출성 골절-
dc.subject.keyword보상-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edicine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