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쯔쯔가무시증 발생과 관련된 역학적 특성과 환경요인의 영향

Alternative Title
kim sunj ja
Author(s)
김선자
Alternative Author(s)
kim sunj ja
Advisor
장재연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5-02
Language
kor
Keyword
scrub typhusclimate changemeteorological factorsepidemiologic characteristicsvector-borne diseasemaximum temperature
Abstract
서론 쯔쯔가무시증은 1994년 제 3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두 번의 급증시기를 거쳐 2013년에는 만 명 이상의 환자가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하여 심각한 공중보건학적 문제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2013년 동안 발생한 우리나라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역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환자의 발생률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별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환자관리 및 지역별 예방대책 수립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률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단위는 시군구로 하였고 독립변수는 각 시군구의 인구학적, 지리학적, 사회・경제적, 기상학적 요인의 4가지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지역별 감염경로의 차이를 고려하여 대도시와 지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률은 시군구별 연령과 성을 표준화한 2001~2013년간의 연평균 표준화발생률로 산출하였고, 표준화발생률의 변화율은 환자발생이 적었던 2001∼2003년의 표준화발생률을 기준점으로 이후 10년(2004∼2013년) 동안의 표준화발생률의 변화를 시군구별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산출하여 기울기 값을 이용하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시군구별 다양한 요인의 특성이 환자 표준화발생률과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결과 2001∼2013년 동안 발생한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역학적 특성 분석결과 여성, 60세 이상의 노인이 취약인구집단으로 확인되었다. 지역별 쯔쯔가무시증 환자의 표준화발생률의 분포는 2001~2003년까지는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내륙 지역 중심으로 집중되었고, 2004~2011년은 기존 다 발생 지역에서의 발생률 증가와 함께 경기도 서남부, 경상남도 남부 해안지역,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등으로 공간적 확산 양상을 보였다. 2012~2013년에는 지역적 확산보다는 기존 환자 발생 지역에서의 환자 표준화발생률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쯔쯔가무시증 환자 표준화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결과 농가인구비율, 최고기온, 습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표준화발생률이 높았다. 연평균 최고기온이 1℃ 높은 지역일수록 인구 10만 명당 연평균 표준화발생률은 6.197명 높았고, 연평균 습도는 1% 높은 지역일수록 인구 10만 명당 연평균 표준화발생률은 0.803명 높았다. 대도시와 지방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대도시 내에서는 산림비율, 최고기온, 습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환자 표준화발생률이 높았고, 지방 내에서는 농가인구비율, 최고기온이 높은 지역일수록 환자 표준화발생률이 높았다. 10년간 환자 표준화발생률의 변화율에 영향을 준 요인은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공원증가율, 최고기온, 습도였다. 전체지역에서 연평균 최고기온이 1℃ 높은 지역일수록 10년간 환자 표준화발생률의 변화율은 0.358배 높았고, 습도가 1% 높은 지역일수록 10년간 환자 표준화발생률의 변화율이 0.09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지역과 지방 내에서는 공원증가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환자 표준화발생률의 변화율이 높았으나 대도시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각 지역의 최고기온이 그 지역의 쯔쯔가무시증 환자 표준화발생률과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향후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은 환자 발생률이 높은 지역과 환자발생이 없거나 적은 지역에 동시에 영향을 주어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률을 가속화 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보건대책 수립과 본 연구에 포함되지 못한 매개체 자료를 이용하여 쯔쯔가무시증 환자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추가 분석, 기후요인과의 관련성을 입증할 수 있는 보다 정밀한 연구 설계를 통한 확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8658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edicine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