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강경 위 전 절제술 이후 복강내 식도-공장 문합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상욱-
dc.contributor.authorByun, Cheul Su-
dc.date.accessioned2019-10-21T07:23:07Z-
dc.date.available2019-10-21T07:23:07Z-
dc.date.issued2014-02-
dc.identifier.other16869-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8402-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2014. 2-
dc.description.abstractKitano등에 의해 복강경 수술이 위암에 도입된 이래 복강경을 이용한 위아전절제술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복강경 위 아전 절제술의 수가 증대됨에 따라 많은 연구들을 통하여 복강경 위 아전절제술의 안정성과 수술의 효용성에 대한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복강경을 이용한 위 전절제술은 복강경 위아전절제술에 비해 보급 및 확대가 느리며 이를 막고 있는 가장 큰 요인이 복강경하 문합방법의 어려움이다. 개복 수술과 유사하게 작은 절개창을 통하여 복강외 문합을 시도하였으며 비만의 환자에서 매우 어려우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문합 방법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적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식도 공장 문합에 있어 선형 문합기를 이용한 문합은 가장 이상적이며 개복 수술에서 시행을 한다. 이를 복강경 수술에 적용하였을 때 어려운 부분이 anvil 을 식도 말단에 삽입하고 고정하는 것이다. Anvil 을 식도 말단에 고정하는 많은 방법들이 도출되었지만 아직까지 연구중이며, 개복수술과 유사하게 쌈지 봉합술을 이용한 방법이 이상적으로 보이나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우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연구자는 쌈지 봉합술을 시행하지 않고 anvil 을 식도 말단에 넣어 고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으며(ICEE), 본 연구를 통해 본 방법에 대한 소개와 함께 안전성과 효용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ⅰ TABLE OF CONTENTS ⅱ LIST OF FIGURE ⅲ LIST OF TABLE ⅳ Ⅰ. INRODUCTION 8 Ⅱ. MATERIAL AND METHODS 9 A. Patients 9 B. Surgeon 9 C. Surgical technique 10 D. Statistical analysis 11 Ⅲ. RESULT 12 Ⅳ. DISCUSSION 14 Ⅴ. CONCLUSION 15 REFERENCE 16 국문요약-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복강경 위 전 절제술 이후 복강내 식도-공장 문합법:-
dc.title.alternativeCheul Su Byun-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eul Su Byun-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3. 7-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608479-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86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edicin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