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K2의 지속적 활성화에 따른 유전체 불안정성 유도

Author(s)
박채린
Advisor
이재호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생명과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3-08
Language
kor
Keyword
RSK2chromosomal instability (CIN)microtubule
Abstract
Ra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신호전달 체계는 세포 생존, 세포 증식, 세포 성장, 세포 이동 등의 세포 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신호전달체계의 활성화나 돌연변이는 암의 발생에 있어서 중요하게 연관이 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암세포는 염색체의 수를 비정상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aneuploidy), 염색체의 비정상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비정상적인 염색체의 형태는 대부분의 암에서 나타나며, aneuploidy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유전체 불안정성 (chromosome instability, CIN) 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Ras/MAP Kinase 신호전달체계 중 하류에 위치한 RSK2가 지속적인 활성화를 가지면 유전체 불안정성이 유도되는지, 그 기전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지속적인 활성화를 보이는 RSK2변이체 (RSK2-Δα, RSK2-Y707A) 를 발현시킨 HeLa 세포에서는 anaphase동안 lagging chromosome, chromosome bridge 그리고 micro-nucleus가 증가되고, 유전체 불안정성 실험결과 유전체 불안정성 표현형을 갖게 됨을 관찰하였다. 유전체 불안정성을 유도하는 기전 중 RSK2가 지속적인 활성을 가지게 되면 spindle assembly checkpoint defects와 kinetochore-microtubule (KT-MT) attachment defect를 통하여 유전체 불안정성을 유도한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Kinetochore-microtubule (KT-MT) attachment의 변화 양상을 확인한 결과, RSK2의 지속적인 활성이 microtubule을 더 안정하게 만든다는 것을 cold stable assay와 nocodazole sensitivity assay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불어 microtubule을 depolymerization시키는 MCAK을 함께 넣어주면 RSK2활성에 의한 유전체 불안정성 현상이 억제됨을 확인함으로써 RSK2가 kinetochore-microtubule을 안정화함으로써 유전체 불안정성을 유발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RSK2의 지속적인 활성이 암화의 특징인 유전체 불안정성을 유도한다는 것과 그 기전을 보여 줌으로써 RSK2의 활성의 조절이 암의 형성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8245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Biomedical Sciences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