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Cellular senescence란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세포 증식이 억제되고 세포내 항상성 유지가 어렵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cellular senescence는 tumour cell에서도 일어나는데 tumour cell에서의 senescence는 그 결과가 tumour-suppression 으로서도 작용하지만 tumour-promotion 으로서도 작용되어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전자인 TIS21은 TPA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21번째 sequences로서 anti-proliferative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이다. 이 유전자는 mouse에서는 TIS21(TPA inducible sequences 21), human에서는 BTG2(B-cell translocation gene-2), rat에서는 PC3(pheocromocytoma clone-3)로 존재하는 동등 유전자이다. TIS21는 세포내의 전사 보조 인자, 신경세포 분화인자 및 성장억제인자로서 thymocyte 의 stage-specific expansion 을 매개하는 중요인자이고 조혈모세포 증식억제인자로 보고된 바 있다. 이 외에도TIS21은 암 억제, 세포사멸(Apoptosis), cell cycle 조절인자, DNA 수복 조절인자, transcriptional co-regulator, 배아세포의 분화 기작 조절인자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TIS21의 기능은 TIS21이 cell cycle 조절인자들을 조절함으로서 세포의 노화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상 세포에서 TIS21과 동등유전자인 BTG2가 세포노화를 유도한다는 사실에 기반을 두어 암세포에서의 TIS21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암세포의 세포노화환경을 만들고자 사용한 Doxorubicin은 대표적인 anti-cancer drug로서 DNA 염기서열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α-helix구조의 변형을 초래하여 DNA damage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Doxorubicin은 농도에 따라 세포노화를 일으키거나 세포사멸을 일으킬 수 있다. 저농도의 Doxorubicin은 세포노화를 유도할 수 있지만 Doxorubicin에 의해 유도되는 노화기전은 아직 정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간암세포주인 Huh7 에 저농도의 doxorubicin을 이용하여 유도되어진 세포노화현상에 anti-proliferative gene 인 TIS21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Huh7 세포에서 TIS21단독으로는 세포노화 과정에 관여하지만 흥미롭게도 Doxorubicin을 이용해 노화를 유도한 Huh7 간암세포에서는 오히려 Doxorubicin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노화를 억제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몇 가지 대표적인 노화 표지들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먼저 TIS21을 단독으로 발현시켰을 경우 control에 비해 SA-β-galactosidase 활성도가 미약하게 증가하였고, proliferation이 억제되었으며 , actin filament가 가늘어지고 끊어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doxorubicin으로 노화를 유도한 간암세포에 TIS21을 과발현 시킨 경우 SA-β-galactosidase 활성도가 떨어졌고, doxorubicin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actin filament의 remodeling이 감소하였으며, doxorubicin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 (ROS)의 발생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TIS21단독으로는 간암세포의 노화에 주된 역할을 하기엔 역부족이지만 간암세포노화과정에 기여하고, anti-cancer drug인 doxorubicin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간암세포노화에서 TIS21은 doxorubicin에 의해 유도되어지는 간암세포의 노화를 억제한다고 생각되어진다. 또한 이를 short-hairpin RNA를 이용하여 TIS21의 발현을 Knockdown 시켜 이를 확인하는 단계를 진행 중이다. 이러한 이유로 TIS21 발현에 의한 Huh7 간암세포의 노화 조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핵심어: TIS21, doxorubicin, 세포노화유도, Huh7 , shR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