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이야기 읽기를 활용한 귀납적 문법 지도가 고등학생의 문법 능력과 독해력 및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존의 연역적 문법지도의 결과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전 문법성 판단 평가와 독해력 평가, 정의적 영역 등에서 동일 집단으로 판명된 안산시 소재의 C고등학교 2학년 4개반 160명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의 구성은 2개 반씩 80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1은 연역적 문법 지도반으로, 실험집단 2는 귀납적 문법 지도반으로 지정하고 수업방식을 달리하여 지도하였다. 문법 지도 요소는 고등학교 2학년 교과서에서 많이 나오는 언어 형식인 수동태, 현재/과거분사, 조동사, 관계대명사절, 가정법 등으로 정하고 연역집단에서는 기존의 PPP모형의 문법지도를 통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귀납집단에서는 목표 언어 형식이 반복적으로 포함된 이야기 읽기를 통한 문법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실험 기간은 후속 평가를 포함하여 총 12주 동안 지속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역적 수업과 귀납적 수업 모두 문법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 수업 이후 문법성 판단 평가를 실시한 결과, 연역집단과 귀납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문법 능력이 향상되었다. 반면, 연역적 수업과 귀납적 수업의 방법적 차이는 단기적인 학습자의 문법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는 곧 문법 학습 효과면에서 연역적 지도와 귀납적 지도 두 가지 방식이 병행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실험 수업 4주 후에 실시된 후속 평가에 따르면 연역집단과 귀납집단의 문법 학습에 대한 지속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연역집단의 점수 하락 정도가 귀납집단의 정도보다 3.95점 컸다. 이 결과로 귀납적 수업 방식이 연역적 수업에 비하여 학습의 지속도에 더 효과적이라고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 교사의 설명으로 시작하여 학습자들이 수동적인 학습 자세를 취하기 쉬운 연역적 수업에 대한 보완으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유도하는 귀납적 수업의 적극적인 활용이 좀 더 이상적인 수업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연역집단과 귀납집단의 독해력 평가의 결과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지만 집단 간 사후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영어 이야기를 읽으며 문법 지도를 했던 귀납적 수업 학습자들의 점수 향상이 9.37점으로 연역집단의 4.12점보다는 크게 높았다. 이는 귀납집단이 다섯 편의 이야기를 읽으며 문법 수업을 했기 때문에 문법 규칙을 배우기 위해 단문만을 다뤘던 연역집단에 비해 단기간에 독해력이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설문을 통해 연역집단과 귀납집단의 영어, 문법, 영어수업 그리고 문법에 대한 불안도에 대한 변화를 조사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학습자들의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는데,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던 연역집단과 달리 귀납집단은 매우 큰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귀납적 문법 지도가 학습자들의 태도에는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인터뷰를 통해 각 집단의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문법 활용도와 흥미도, 수업 활용도, 자기주도학습 태도의 변화 등을 조사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수업을 받은 후 독해활동에서 문법 활용을 더 많이 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수업의 흥미도나 자기주도학습 측면에 대한 응답에서는 귀납집단이 연역집단보다 수업 자체의 새로움과 조별 협동 수업, 자신의 적극적인 참여 등으로 더욱 긍정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모든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연역적 수업과 귀납적 수업의 방법적 차이가 학습 성취도와 학습의 지속도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는데, 이는 기존의 연구 결과, 즉 연역적인 문법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과는 대치된다. 이는 귀납적 수업 방식도 기존의 연역적 수업 방식의 대안으로서 활용하더라도 학습의 성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두 가지 방식 모두 학습자의 문법 능력과 독해력 영역의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귀납적 방법의 문법 수업에서도 학습자들이 학습 성취 효과와 지속성을 보여주었고 정의적 영역의 태도 변화에 있어서는 연역적 방법보다 훨씬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의식 변화에서는 귀납집단이 연역집단보다 더 적극적인 자세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야기 읽기를 활용한 문법 지도는 문법 지식을 익힘과 더불어 독해력도 함양하며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포괄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다. 앞으로 고등학생을 위한 읽기 자료를 활용한 귀납적 문법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인지영역과 정의영역을 함께 포괄하면서도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문법 지도 모형이 더욱 구체화되기를 바란다. 또한, 고등학생들의 문법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별 읽기 자료를 데이터로 구축하고, 문법 항목 교수에 적합한 읽기 자료를 선별하고 효과적인 교수방법론을 모색하는데 있어 현장의 많은 교사들의 공동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더욱 많은 교사와 연구자들이 현장수업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며 다양한 지도방법을 시도하고 자료를 공유한다면 학교 현장에서의 문법 수업은 더욱 알차고 즐거운 시간이 되리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