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와 학습활동서 쓰기 활동 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현옥 | - |
dc.contributor.author | 류현이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7:17:49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7:17:49Z | - |
dc.date.issued | 2011-02 | - |
dc.identifier.other | 11373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910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2011.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기반을 두고 제작된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와 학습활동서 3종에 제시된 쓰기 활동 자료가 제 7차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성취 목표에 부합하도록 구성되었는지를 교과서와 학습활동서에 제시된 쓰기 활동 자료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와 학습활동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의 절차는 3종의 교과서와 학습활동서를 선정하여 쓰기 영역으로 구분된 활동들을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 쓰기 성취 기준’과 ‘Rivers(1981)의 쓰기 지도 단계 기준’의 두 개의 분석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들을 종합하여 영어 쓰기 활동 자료의 방향을 모색하는 순서로 이루어 졌다. 먼저 3종의 교과서에 제시된 쓰기 활동 자료가 제 7차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성취 기준에 부합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가 쓰기 성취 기준을 따르고는 있지만 각 항목의 빈도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3종의 학습활동서에 제시된 쓰기 활동자료가 쓰기 성취 기준에 부합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항목마다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교과서가 성취 기준을 따르고 있었다. 또한 수준별로 쓰기 활동 자료가 비교적 골고루 분산되어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3종 교과서의 쓰기 활동 자료를 단계별 활동에 따라 살펴본 결과, 약 36-87%의 통제작문과, 약 9-36%의 유도작문, 약 5-27%의 자유작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활동이 거의 통제작문에 몰려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3종 학습활동서의 쓰기 활동 자료를 단계별 활동에 따라 살펴본 결과, 약 76-79%의 통제작문과, 약9-16%의 유도작문, 약 9-12%의 자유작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종의 학습활동서는 통제・유도・자유작문의 순서로 자료의 비중이 낮아 졌으나, 2종의 학습활동서의 경우 통제・자유・유도작문의 순서로 자유작문이 유도작문보다 많은 특징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학습활동서에 제시된 수준별 활동만을 수준별로 분석해 본 결과 ‘상’ 수준이 약 35-44%, ‘중’ 수준이 약 25-34%, ‘하’ 수준이 약 31%의 활동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모든 학습활동서에서 공통적으로 통제작문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유도작문과 자유작문의 비중은 적었다. 통제작문의 경우, ‘하’ 수준으로 갈수록 그 활동 빈도가 높아지며, 유도작문의 경우는 대부분의 활동이 ‘상’과 ‘중’ 수준에 나타났고, 자유작문의 경우 ‘상’ 수준에서 대부분의 활동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분석 결과를 가지고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다른 언어 기능들과 쓰기 기능이 통합된 학습 자료를 제시하여야 하며,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성취 기준에 부합하는 학습 자료를 만들어야한다. 둘째, 통제작문에 치우치기 보다는 유도작문과 자유작문의 비중이 높아져야 할 것이다.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면 많은 자유작문을 제시하기는 어렵지만, 통제작문과 병행하여 새로운 유형을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일정 통제작문의 유형에만 치우쳐 있는 활동들을 다양한 유형으로 만드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장에서 교사의 학습자 지도 능력이 필요할 것이다. 학습활동서의 활용 비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다양한 수준의 학습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교재에 나온 쓰기 자료를 응용, 동료와 함께 프로젝트를 통해 쓰기를 학습할 수 있는 쓰기 활동을 개발, 활용하여 과정적 접근 방식의 쓰기 지도를 시도할 것을 제안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2 1.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2.1 쓰기의 정의 4 2.2 영어 쓰기 지도의 중요성 6 2.3 최근 영어 쓰기 교육에 대한 접근 방식 8 2.3.1 결과 중심 접근법(product-based approach) 8 2.3.2 과정 중심 접근(process-based approach) 9 2.4 제 7차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 11 2.4.1 제 7차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11 2.4.2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 쓰기 목표 13 2.5 영어 쓰기 지도 16 2.5.1 영어 쓰기 지도 단계 16 2.5.2 영어 쓰기 활동 유형 21 2.6 선행연구 24 Ⅲ. 연구 방법 27 3.1 분석 대상 27 3.1.1 분석 교과서의 분석 영역 28 3.2 연구 내용 28 3.3 분석 방법 35 3.3.1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 쓰기 성취 기준에 따른 분석 35 3.3.2 Rivers(1981)의 쓰기 지도 단계에 따른 분석 36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9 4.1 분석 교과서의 구성 39 4.2 교과서 분석 40 4.2.1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 쓰기 성취 기준에 따른 분석 40 4.2.2 Rivers(1981)의 쓰기 지도 단계에 따른 분석 42 4.3 학습활동서 분석 52 4.3.1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영어 쓰기 성취 기준에 따른 분석 52 4.3.2 Rivers(1981)의 쓰기 지도 단계에 따른 분석 55 Ⅴ. 결론 및 제언 77 5.1 결론 77 5.2 제언 79 참고문헌 82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와 학습활동서 쓰기 활동 분석 | - |
dc.title.alternative | An analysis of Writing Activitie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Ryu Hyun Yi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 |
dc.date.awarded | 2011.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9383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373 | - |
dc.subject.keyword | 쓰기활동 | - |
dc.subject.keyword | 중학교 1학년 | - |
dc.subject.keyword | 개정 7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학습활동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