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대상지 조합원의 선호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s on Apartment Remodeling Projects.
Author(s)
김원중
Advisor
제해성
Department
산업대학원 도시개발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1-02
Language
kor
Keyword
공동주택리모델링
Abstract
본 연구는 공동주택 조합원이 선호하는 리모델링 사업 추진방향을 알기위해, 리모델링 사업이 거론되는 분당지역 중심으로 조합원의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실증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공동주택 리모델링 의식에 따른 리모델링 의식, 리모델링 추진 과정 중 거주자 의식, 리모델링 시행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한 결과에 대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공동주택 리모델링 의식에 따른 사전 주민동의율, 바람직한 공사 진행 방식, 공사기간과 공사비 절약 시 이주 의사, 비용부담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x²(p)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에 있어서 가장 큰 이점은 ‘성능 개선’으로 나타났으며, 필요한 이유는 ‘현실적으로 재건축이 어려워서’의 경우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경우가 높은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리모델링 사업 추진 과정 중 거주자 의식에 따른 공동주택 리모델링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을 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살펴보면, 리모델링 사업에 대해 인지도가 높을수록 공사비용 조달 방법의 해결을 위해 금융기관에서 장기저리로 리모델링 비용의 80% 정도를 융자해 준다고 한다면 리모델링을 하겠다고 하는 경우가 높았으며, 전용부분의 경우는 세대당 자기부담금에 대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실내 인테리어 공사, 베란다 샷시 및 창호, 현관문 교체, 구조 중 구조체 보강과 외벽 및 옥상 방수공사의 경우 개별부담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난방설비, 전기설비, 급배수설비, 정보통신설비, 방범시설, 주차장 증설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에 인지도가 높을수록 개별 부담하여 야외 놀이터 시설보완, 주민 공동 생활공간,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의 경우 개별 부담의 필요성을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리모델링 사업 시행의 경우 이주한 후에 리모델링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고 답하였으며,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에 대해 인지도가 높을수록 정부의 국민주택기금이나 금융기관의 장기저리융자 지원금을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에 낮을수록 ESCO 자금을 지원 받기를 원하거나 생각해 본적이 없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Alternative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preference of direction of apartment remodeling project by residents. For this purpose, I have conducted survey targeting the residents at Bundang where remodeling business is being mentioned.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plo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arget respondents. Second, in order to explore the recognition of remodeling, residents' recognition during remodeling and execution of remodeling, I have performed one 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n significant results. Third, in order to explore the percentage of pre-agreement, advisable methods of construction, construction period and intention of moving out, method of payment, etc., I have performed cross-analysis x²(p).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largest benefit of apartment remodeling turned out to be "improvement of performance". As for the reason of remodeling, "rebuilding is practically difficult" was normal, and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were not aware of remodeling. Second, as for the problems regarding the residents' recognition that need to be solved for successful apartment remodeling business, those who were aware of remodeling were willing to remodel when 80% of the cost were covered by loan by financial institutions and regarded the cost as reasonable. Also, they were willing to pay for interior construction, replacement of veranda, chassis, window and front door, reinforcement of structures and waterproof construction of outer wall and rooftop and well aware of the necessity of facilities for heating, electricity and water supply/drainage, IT facilities, anti-crime facilities, etc. More were they aware of apartment remodeling, more did they value the necessity of individual payment for improvement of playground, residents' common area and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Third,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prefer that remodeling is performed after they move out. Also, more they were aware of apartment remodeling, they had more knowledge of subsidy such as national housing fund or long-term low-interest loan of financial institutions.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737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 Department of Urban Development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