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특성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Indoor Air Quality in Public Facilities
Author(s)
전명옥
Alternative Author(s)
Jun, Myung-Ok
Advisor
洪珉善
Department
산업대학원 환경공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0-08
Language
kor
Keyword
다중이용시설실내공기질 특성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관내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적용 대상 다중이용시설 중 68개소(대규모점포 10개소, 보육시설 4개소, 실내주차장 37개소, 의료기관9개소, 목욕장 8개소)를 선정하여 PM10, HCHO, CO², CO 등 4개 항목을 환경부의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내공기의 오염도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PM10 27.6 ~139.1 ㎍/㎥, HCHO 3.8 ~59.8 ㎍/㎥, CO² 308.3 ~900 ㏙, CO 0.4 ~10 ㏙으로 유지기준 이하였다. 2. PM10은 신축 건물일수록 오염도가 높고, 대규모 점포의 경우, 시설 이용자 1인당 사용공간면적(㎡/인)이 작을수록 오염도가 높았다. 3. HCHO는 신축 건물일수록 오염도가 높고, 시설 이용자 1인당 사용공간면적(㎡/인)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4. CO²는 건물 준공연도와는 연관성이 없고, 시설 이용자 1인당 사용공간면적(㎡/인)이 작을수록 오염도가 높았다. 5. CO는 건물 준공연도와 시설의 하루 이용자 1인당 사용공간면적(㎡/인)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6. 시설의 하루 이용자 1인당 사용공간면적(㎡/인)이 작을수록 CO²/CO농도비가 높았다. 신축건물의 건축자재에서 오염물질 방출이 더 야기되고 시설 이용자 가 많을수록 환기가 부족함에 따라 친환경자재의 사용이 요구되며 다중이용시설의 시설이용자수에 따른 환기 횟수와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예비 환기시설을 구비하여 시설이용자수 증가 시 환기량을 증가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lternative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zation of indoor air quality(IAQ) in public facilities. Indoor air samples were collected at 68 public facilities comprised of 10 large scale stores, 4 children care facilities, 37 indoor parking lots, 9 general hospitals, 8 saunas in Kyonggi Province. PM10, HCHO, CO²and CO were measured in the collected air samples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s between measured concentrations of the indoor air pollutants and the number of occupants per unit area or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facilitie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Indoor air pollutants (PM10, HCHO, CO², CO) ranged 27.6~139.1㎍/㎥ , 3.8~59.8㎍/㎥ 308.3 ~900 ㏙ and 0.4 ~10 ㏙, respectively. All of them met IAQ standards. 2. PM10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newer buildings and more crowded public facilities. 3. HCHO were measured higher in newer buildings due to the emission from construction materials. 4. CO² concentrations and CO²/CO ratios were higher in more crowded public facilities.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614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afety Engineer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