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소로 치환된 서브프탈로시아닌-아연포피린 다이오드 및 여러가지 BODIPY-전자받개 시스템의 합성과 물성에 관한 연구

Alternative Title
Ryu, Jung Bok
Author(s)
유정복
Alternative Author(s)
Ryu, Jung Bok
Advisor
계광열
Department
일반대학원 화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8-08
Language
kor
Keyword
서브프탈로시아닌아연포피린다이오드BODIPY
Abstract
불소로 치환된 서브프탈로시아닌-아연포피린 다이오드 및 여러가지 BODIPY-전자받개 시스템의 합성과 물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Properties of Fluorine-Substituted Subphthalocyanine-Zinc Porphyrin Dyad and Various BODIPY-Acceptor Systems 본 연구에서는 전자주개 (electron donor) 와 전자받개 (electron acceptor) 를 한 분자내에 다이오드 (dyad) 형태로 연결시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전하이동 현상을 규명하고자 강한 전자유발 효과를 가진 불소로 치한된 서브프탈로시아닌 (Subphthalocyanine, acceptor, 이하 SubPc 로 표시) 과 아연-포피린 (Zinc (II)-porphyrin, donor, 이하 Zn-Por 로 표시) 을 치환시켜 목표화합물 1 을 합성하였다. 여기에 수반된 비교물질로는 Zn-Por 에 고리화 (Cyclization) 하여 Tetrakisphenyl 기를 가진 화합물을 비교화합물 2 로 하였고, 불소로 치환된 12F-SubPc 에 Phenoxy 기가 도입된 비교화합물 3 을 합성하여 목표화합물 1 과의 ET (electron transfer) 을 비교하였다. 또한 전자 유발의12F-SubPc (fluorine-subphthalocyanine) 을 전자받개로 하고 최근에 고안된 화합물인 4,4-Difluoro-4-Bora-3a,4a-Diaza-s-Indacene (이하 BODIPY 로 표시) 를 전자주개로 구성된 Dyad를 목표화합물 4로 하였고 Hydroxy-BODIPY의 14화합물과 ET (electron transfer)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높은 전자 친화력 (high electron affinity) 을 가진 강한 전자받개인 Fullerene (C60) 과 전자주개인BODIPY 로 배열한 합성화합물을 목표화합물 5로 하여, Aldehyde-BODIPY 화합물 19와 ET (electron transfer) 특성을 비교하였다. 부록. 새로운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BODIPY-시아노아세틱에시드의 합성과 물성에 관한 연구 Appendix.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 Novel BODIPY- Cyanoacetic acid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부록 (appendix) 에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Cyanoacetic acid 기를 BODIPY-Aldehyde에 Knoevenagel condensation 하여 합성된 새로운 BODIPY계 염료 합성 화합물 6 을 수록하였다. 이와 같은 광유도 전자전이 현상에 대한 연구는 광합성과 같은 자연 현상에서 일어나는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는 물론 모방 시스템 개발에 응용할 수 있으며, 3세대 대체에너지원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dye-sensitized solar cell) 의 다양한 염료계 유도체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 열거한 목표화합물 1, 4, 5와 6과 비교화합물 2및3 의 합성에 대해 1H-, 19F-NMR, 13C-NMR과 MALDI-TOF Mass 등의 기기분석을 통해 화학적 구조를 확인 하였다. 또한, 본 연구목적인Dyad Systems으로 배열된 화합물들의 전자주개로부터 전자받개로의 분자 내 전하 이동 (intermolecular charge transfer) 현상을 예측하기 위해서 Steady-state에서 UV-Vis 분광법과 방출 (emission) 분광법을 측정하여 각각의 목표화합물들의 물성을 정성적으로 관찰하였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333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Chemistr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