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분석을 통한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문법교육 연구: 중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재형-
dc.contributor.author김미향-
dc.date.accessioned2019-10-21T06:48:18Z-
dc.date.available2019-10-21T06:48:18Z-
dc.date.issued2006-02-
dc.identifier.other944-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6915-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2006. 2-
dc.description.abstract국제화,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인터넷이라는 정보통신 수단의 발전과 함께 정보 교류의 매개체로서 언어의 중요성도 증가되었는데, 그 중 국제 공용어로서의 영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도 과거의 단순 암기와 언어규칙들을 기본으로 영문 해석에 의존하는 문법-번역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보다 실용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그 초점을 두고 계속적인 발전과 변화를 시도해 왔다. 교육과정 이전기(1946-1954)에는 각 교과목별 분과주의에 입각한 교과활동이 이루어졌고, 제 1차 교육과정기(1954-1963)가 시작되면서 경험을 중요시하는 통합원리에 의한 새로운 교육과정의 틀이 마련되었다. 그리고 제 2차 교육과정기(1963-1973)에는 급격한 시대적 변화와 함께 대대적인 교육개편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 3차 교육과정기(1973-1982)에는 학문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게 되었다. 또한 제 4차 교육과정기(1982-1988)에는 대화능력을 기초로 하여 언어의 4기능 즉,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신장을 중요시하게 되었고, 이러한 교육과정에 부분적인 보안 개정을 실시하여 보다 심화․발전시킨 것이 제 5차 교육과정기(1988-1992)이다. 이러한 변화를 거쳐 제 6차 교육과정기(1993-1997)에는 보다 실용적 가치 추구를 위한 유창성을 바탕으로 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영어 교육의 목표로 설정함에 따라 교육현장에서 문법의 역할은 점점 감소되었다. 하지만 동시에 ‘과연 문법은 가르칠 필요가 없는 것인가?’ 라는 의문과 함께 6차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이 이해․표현으로 포괄적으로 진술되어 있어 해석상 애매한 부분들이 많으며 교수요목 자체가 비체계적이라는 등 몇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그래서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문법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여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과 문법중심 교수요목을 잘 절충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고 소재를 다양화함에 따라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본적이고 실용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기본 목표로 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문법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의 일부로서 다루어져야 하며,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지향하면서 단순히 문법 지식을 암기하고 이해시키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의사소통 활동을 이용하여 문법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영어 교육이란 교사와 학습자 그리고 교과서가 상호 작용하는 과정이고 영어 교과서는 영어 학습을 촉진시키는 언어 환경이며(배두본, 1995), 수업은 교사, 학습자, 교재의 3대 구성요소가 상호작용하는 것이다(Allwright, 1981). 따라서 영어 교과서는 교사, 학습자와 함께 수업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며,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상황인 우리나라에서는 자연스럽게 영어 환경에 노출되기보다는 교실에서의 수업 속에서 영어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교과서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문법 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유창성과 정확성이 균형을 이루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문법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수업 지도 방안의 제시를 위해 교사와 학생들의 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교수의 내용과 유형에 대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어 교과서의 문법 내용과 그 제시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어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문법 내용과 문법 내용의 제시 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육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에 따른 보다 효과적인 문법 수업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1.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연구의 구성 4 1.3.연구의 제한점 5 Ⅱ.이론적 배경 6 2.1.문법의 정의 6 2.2.문법교육의 역사적 배경 8 2.3.문법 교육의 필요성 13 2.3.1.의사소통 능력과 문법적 능력 13 2.3.2.문법 교육의 효과 19 2.3.2.1.제 2 언어 습득과 문법교육의 역할 19 2.3.2.2.문법 교육의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 22 2.4.영어 교과서와 문법 교육 29 2.4.1.영어 교과서의 역할 및 중요성 29 2.4.2.영어 교과서에서 문법 제시의 필요성 31 2.5.효과적인 문법 지도 방법 32 2.5.1.문법 지도 방법의 종류 32 2.5.1.1.연역적 지도와 귀납적 지도 32 2.5.1.2.명시적 지도와 암시적 지도 33 2.5.2.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지도 35 2.5.2.1.효과적인 문법 지도 단계 35 2.5.2.2.문법 지도 단계에 따른 의사소통 활동 36 Ⅲ.연구 방법 41 3.1.분석 대상 41 3.2.분석 기준 46 Ⅳ.연구 내용 및 분석 47 4.1.교과서 분석 47 4.1.1.교과서별 언어 형식 내용분석 47 4.1.2.각 교과서의 단원 내 영역별 언어 형식 제시 49 4.1.3.교과서별 문법 자료 제시 방법 비교 54 4.2.수업 모형 제시 73 4.2.1.‘현재 완료' 수업 지도안 73 4.2.2.문법 지도 단계별 Activities 75 Ⅴ.결론 및 제언 87 참고문헌 91|표 목 차 <표 1> 연결(chain)과 위치(slots)의 관점에서 본 문법 7 <표 2> 문법 교육에 대한 실증적 실험 연구 24 <표 3> 교과서 별 언어 형식 제시 영역 41 <표 4> 교과서별 단원 내 구성 체계 44 <표 5> 교과서별 언어 형식 내용 47 <표 6> 각 교과서의 언어 형식 제시분포에 대한 영역별 분류1 50 <표 7> 각 교과서의 언어 형식 제시분포에 대한 영역별 분류2 51 <표 8> 각 교과서의 영역별 언어 형식 제시 분포 53 <표 9> 교과서 별 언어 형식의 제시 및 활용 부분 비교 72 그 림 목 차 <그림 1> The Monitor Model 10 <그림 2>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모형 12 <그림 3> 언어 능력의 구성 요소 17 <그림 4> 의사소통적 언어 사용의 구성 요소 18 <그림 5> A model of L2 acquisition 3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교과서 분석을 통한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문법교육 연구: 중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교육대학원 영어교육-
dc.date.awarded2006.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5342-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44-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English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