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pal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쓰기 교육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한호 | - |
dc.contributor.author | 이정실 | - |
dc.date.accessioned | 2019-10-21T06:47:00Z | - |
dc.date.available | 2019-10-21T06:47:00Z | - |
dc.date.issued | 2005 | - |
dc.identifier.other | 678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6622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2005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학습도구 중 하나인 전자메일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쓰기 능력과 문화적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최근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자원들이 영어과 교수-학습 활동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침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첫째, 인터넷은 실제적인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한다. 이것은 ‘제 2 언어로서 영어’(ESL)가 아니라 ‘외국어로서 영어’를 교육하는 우리의 영어 교수-학습 환경을 고려할 때, 실제적인 의사소통 경험과 자료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인터넷 활용 영어 교수-학습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둘째, 도구적, 통합적 동기 및 종합 교과적 학습기회를 제공한다. 학습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영어를 훈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정보를 얻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영어외적 영역에 대한 지식과 교양을 쌓을 수 있다. 셋째, 인터넷은 대상 문화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넷째, 인터넷은 자율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은 영어학습에 있어 문화가 언어재료의 한 기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외국어를 배우는 것은 문화를 배우는 것이며, 목표문화의 이해 없이는 목표언어의 성공적인 습득은 불가능하다. 인터넷은 영어사용권의 문화, 그들의 사고방식, 가치관 등을 여과 없이 살아있는 그대로 학습자에게 전달해 줌으로써 종래의 교실 위주의 학습이 지녔던 문화의 장벽을 낮추어 주어 학습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전자우편 교환이 영어과 교수-학습 활동 중 쓰기 및 문화 이해적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학생들이 제출한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적어져 무엇인가를 영어로 옮긴다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적어지고 영어일기를 쓴다거나 좋아하는 가요를 영어로 옮겨보는 등 새로운 시도를 하고자 하는 동기가 생기게 되었다. 둘째, 기본적인 어휘나 구문의 암기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어 어휘학습과 구문학습의 비중을 높이게 되었다. 셋째, 회수를 더해 갈수록 문장의 수가 늘어났으며 메시지 내용 또한 인터넷검색에서 얻은 판에 박힌 내용 보다는 내가 알고 싶은 내용, 말하고 싶은 내용으로 바뀌게 되었다. 넷째, 넷 상에서 우리 국어 뿐 만 아니라 영어에서도 간결한 텍스트문자를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걸 알았고, 생소한 것들이 있을 때는 무조건 도움을 구하기보다는 문맥에서 답을 구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었다. 교사에게 의존하는 정도가 점점 적어졌다. 다섯째, 영어권 메일 파트너들은 우리의 실수에 대해 관대하며 문법적 오류에 대한 피드백 보다는 명확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다시 물어보는 자상함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문법적인 정확성 보다는 내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 내용에 비중을 두게 되었다. 여섯째,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보다는 문화적상대성을 인정하려는 쪽으로 태도가 바뀌었으며 사고의 개연성을 갖게 되었다. 문화교류의 주역이라는 뿌듯함도 갖게 하고 문화충격과 문화적 상대성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는 가교 역할도 하는 것 같다. 일곱째, key-pal과 송수신한 메일내용을 학습자들 간에 다시 이메일로 공유함으로써 학습자간 상호작용 및 쓰기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었고 읽기의 양도 비례하여 늘어나게 되었다. 영어권 문화의 학생들과 전자메일을 교환함으로써 학생들은 인터넷의 효율성과 전자메일의 쓰기학습에 대한 효과적 측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대부분 앞으로도 계속 이메일 활동을 하기를 희망했다. 따라서 전자우편 교환 활동은 영어사용이 지극히 의도적이며 도구적 동기에 편승할 수밖에 없는 우리나라와 같은 상황에서 진정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영어교육 방안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인터넷 검색이 생활화 되어 있기는 하나 정확한 읽기능력의 부족으로 외국 사이트에 등록하는 것에 두려움을 가졌으며 학생들의 쓰기 부분에 대한 경험미숙으로 흥미는 있으나 자신감이 많이 결여되어 있는 듯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의 쓰기 분야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므로 교사가 오류수정을 통해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는 있겠으나 교사 혼자 여러 명의 학생들을 일일이 도와주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 또한 교사가 구사하는 언어가 자연스러운 영어인지, 문법적으로 오류는 없는지에 대해 모니터할 필요가 있을 듯한데 그 방법이 강구되어야겠다. 학생들이 읽기와 쓰기과정에서 authentic 한 영어표현들이나 어휘들에 관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창구의 마련이 시급한 것 같다. 또한 연구기간 이후에 제출하게 될 학생들의 보고서 내용을 자료화하고 일반화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겠으며 교수 학습 방안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을 통한 영어쓰기를 장기화 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E-mail 교환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입시위주의 영어학습으로 인해 시간적 압박감을 느끼는 학습자들에게 영어쓰기를 격려할 수 있는 적극적 동기가 마련되어야겠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전자우편 교환을 통한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의 향상 정도를 객관적이고 신뢰도 있게 측정하여 일반화 자료로 쓸 수 있는 다각적인 평가의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차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4 Ⅱ 영어교육에 있어 인터넷 활용 = 8 2.1. CALL의 개념 = 8 2.1.1 학습이론 변화에 따른 CALL 모델의 변화 = 8 2.1.2 CALL의 선행연구와 정의적 반응 = 12 2.2 인터넷의 개념과 특징 = 14 2.3. 인터넷 활용의 교육적 효과 = 16 2.4. 영어교육에 있어 인터넷 활용의 효용성 = 18 2.5. 영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 = 22 Ⅲ.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쓰기 교육 = 26 3.1. 영어쓰기 교육의 필요성 = 26 3.2. 인터넷을 활용한 쓰기의 특징 및 활용방안 = 28 3.2.1. 쓰기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 = 30 3.2.2. 전자우편 = 32 3.2.3. key-pal project = 34 3.2.3.1 key-pal project 의 장점 = 34 3.2.3.2 key-pal 파트너 찾는 방법 = 36 3.2.3.3 전자우편 교환지도 = 39 Ⅳ E-mail 교환을 통한 영어쓰기지도 = 41 4.1. E-mail = 41 4.2. 연구대상 = 43 4.3. 연구절차 = 44 4.4. 연구방법 = 46 Ⅴ 설문결과 및 논의 = 55 5.1 설문조사 결과 = 55 5.2 e-mail 결과 분석 및 변화 추이 = 63 5.3. e-mail을 활용한 영작수업을 위한 교안 제안 = 68 Ⅵ. 결론 = 70 참고문헌 = 73 부록1 Key-pal 활동 관련 설문(사전 설문 조사) = 79 부록2 Key-pal 활동 관련 설문(사후 설문 조사) = 81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Key-pal을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쓰기 교육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Jung-sil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 |
dc.date.awarded | 2005.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482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78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