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목적: Toluene diisocyanate (TDI)-천식 환자의 50% 이상에서 노출회피 및 적절한 약물치료에도 천식 상태가 지속되나 그 기전에 대해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다. 저자들은 TDI-천식의 질병경과 중 새롭게 발생하는 흡입성 항원에 대한 감작이 천식 증상의 악화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새로운 감작의 감작률 및 예측인자를 조사하고 질병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TDI-천식으로 진단받고, 3년 이상 추적관찰한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원인물질로부터 완전 회피와 적절한 약물치료를 하고 있었으며, 추적관찰 기간중 피부단자시험 및 흡입성 항원에 대한 특이 IgE를 측정하여 흡입성 항원에 새로 감작된 군과 감작이 발생하지 않은 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간의 임상 특징과 치료경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TDI-천식 환자 36명중 13명(36.1%)에서 새로이 흡입성 항원에 대한 감작이 발생하였으며, 두 군간에 성별, 나이, 진단 당시의 폐기능검사, PC20 methacholine치 및 혈청 총 IgE, TDI 노출력, 천식 유병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감작군에서 알레르기비염이 84.6%, 아토피가 61.5%로 비감작군에서의 52.2%, 45.5%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전신스테로이드 요구량은 감작군에서 381.1 ± 888.5 mg/month로 비감작군의 148.1 ± 231.7 mg/month에 비하여 더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감작군에서 감작전 13.95 ± 13.12 mg/year에 비해 감작후 37.10 ± 35.74 mg/year으로 더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respectively).결론: TDI-천식의 질병경과 중 1/3의 환자에서 새로이 흡입성 항원에 대한 감작이 관찰되었고, 이는 천식 증상의 악화를 유발하여 천식증상의 지속에 기여할 가능성을 관찰하였으며,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Alternative Abstract
Background: It has been reported that half of toluene diisocyanate (TDI)-induced asthma patients had persistent asthmatic symptoms even after complete avoidance. We hypothesized that new sensitization to common inhalant allergens may contribute to persistent and aggravation of asthmatic symptoms.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new sensitization to common inhalant allergens in patients with TDI-induced asthma.
Subjects and methods: Thirty-six TDI induced asthma patients who had been followed for more than three years were enrolled.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newly-sensitized group and not-sensitized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of skin-prick test and serum specific IgE antibodies to common inhalant allergens monitored every year. The clinical features, drug requirements for systemic steroids, frequency of admission and degree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irteen (36.1%) of 36 patients with TDI-asthma developed new sensitization to common inhalant allergens during follow-up periods. The mean onset time was 4.93 ± 2.49 years. The prevalence of atopic status and allergic rhinitis tended to be higher in newly-sensitized group. The duration of asthmatic symptoms before the diagnosis was significantly longer in newly-sensitized group (p<0.05). The drug requirements for systemic steroids during the follow-up period to control asthmatic symptoms tended to be increased after the new sensitization in newly-sensitized group.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new sensitization to common inhalant allergen in TDI-asthma may be associated with chronic persistent asthmatic symptoms. New sensitization to common inhalant allergens should be monitored regularly in TDI induced asthmatic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