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 태아발육제한 임신에서 제대동맥 도플러 혈류속도 파형 변화가 주산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

Alternative Title
Mun, Se-Hui
Author(s)
문세희
Alternative Author(s)
Mun, Se-Hui
Advisor
김행수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7-02
Language
kor
Keyword
자궁내 태아발육제한제대동맥 도플러 파형주산기 예후
Abstract
목적: 자궁내 태아발육제한 임신에서 제대동맥 도플러혈류속도 파형에 따른 주산기 예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995년 9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아주대학교 병원에서 분만된 단태임신 신생아 중 자궁내 태아발육제한아를 분만한 산모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산전에 제대동맥 도플러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산모와 산전 초음파검사 및 염색체 검사에서 기형이 진단되었던 경우를 제외한 총 422명이 대상이 되었다. 제대동맥 도플러혈류속도 파형은 최고 수축기 혈류속도 (S)와 최저 이완기말 혈류속도 (D)의 비 (S/D)로 하여, 정상군 (1군)은 분만 전 마지막 측정한 제대동맥 S/D치가 3.0 미만인 경우, 비정상군은 S/D치가 3.0 이상인 군 (2군)과 최저 이완기말 파형이 소실되거나 역전된 군 (3군)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에서 모체 및 신생아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 군에서 산모의 나이나 산과력은 차이가 없었다. 각 군에서 분만 시 재태 연령은 37.3 ± 2.8, 36.0 ± 2.3, 32.4 ± 2.8주로 3 군이 가장 낮았고, 출생 시 신생아 체중은 2311.6 ± 371.3, 1963.1 ± 402.7, 1168.9 ± 413.6 gm 이었다 (p<0.001). 양수과소증의 빈도는 12.4%, 17.7%, 33.3% (p=0.005), 태아곤란증에 의한 응급제왕절개분만의 빈도는 13.7%, 23.9%, 5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2).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빈도는 41.0%, 81.2%, 1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01), 7점 미만의 낮은 5분 Apgar치의 빈도는 4.5%, 8.3%, 38.8% 이었다 (p<0.001). 마지막으로 도플러 파형을 측정한 날로부터 분만까지의 기간은 7.1 ± 8.1, 4.8 ± 4.8, 3.8 ± 3.2로 3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 (p=0.002). 뇌실주위 백질 연화증, 뇌실내 출혈, 괴사성 장염, 기관지 폐이형성증, 호흡곤란 증후군, 주산기 사망 중의 어느 하나라도 있는 경우를 불량한 신생아 예후로 정의한 경우 이의 빈도는 5.1%, 13.5%, 61.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불량한 신생아 예후 예측에 대한 제대동맥 도플러 S/D치는 제태연령을 보정한 후 odds ratio 2.4로 (95% 신뢰구간 1.2-5.6)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자궁내 태아발육제한 신생아에서 제대동맥 도플러 S/D치가 정상인 경우는 S/D치가 비정상인 군에 비해 양호한 신생아 예후를 보였다. 따라서 이들 군에 대한 산전 상담, 평가 및 분만 시기 등의 결정은 S/D치가 비정상인군과는 다르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Abstract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umbilical artery Doppler velocimetry in predicting perinatal outcome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infant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from Sep. 1995 to Feb. 2006, we retrospectively studied 422 singleton pregnancies with a diagnosis of SGA at delivery, who had no chromosomal abnormalities or major structural anomalies in antenatal ultrasound, in Ajou University hospital. From this population, three subgroups were formed: normal umbilical artery systolic/ diastolic ratio (UASD); UASD ≥ 3.0 ; absent or reverse end-diastolic flow (A/REDF). The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each groups. Results: No differences in maternal age and parity were observed. In each groups, the mean gestational age at delivery were 37.3 ± 2.8, 36.0 ± 2.3, 32.4 ± 2.8 weeks (p<0.001), and the mean neonatal birth weight were 2311.6 ± 371.3, 1963.1 ± 402.7, 1168.9 ± 413.6 gm (p<0.001). The incidences of oligohydramnios were 12.4%, 17.7%, 33.3% (p=0.005), and the cesarean section rate for fetal distress were 13.7%, 23.9%, 50.0% (p=0.00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s of admission to NICU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41.0%, 81.2%, 100%; p<0.001). The rate of Apgar score at 5 min< 7 were 4.5%, 8.3%, 38.8% (p<0.001), and the interval from last Doppler to delivery were 7.1 ± 8.1, 4.8 ± 4.8, 3.8 ± 3.2 days (p=0.002). The incidences of averse neonatal outcome were 5.1%, 13.5%, 61.1% (p<0.001), when the definition of adverse neonatal outcomes w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s: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PVL),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 grade 2),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and perinatal death. The logistic regression showed UAS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 in predicting the adverse neonatal outcomes (Odds ratio 2.4; 95% CI 1.2-5.6). Conclusions: SGA infants with normal UA Doppler flow showed better perinatal outcome than those with abnormal flow. Therefore, we suggest that SGA fetus with normal UA S/D may be had a different antenatal counselling, surveillence tests, and the time of delivery compared with those with abnormal flow.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6550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edicin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