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성인 버킷 림프종(Burkitt lymphoma,BL) 은 아프리카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 매우 드문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s lymphoma, NHL)으로서 국내에서는 몇몇 증례 보고와 소아과 및 병리과에서 소아와 전체 환자군을 대상으로한 보고만이 있어 성인 환자에서의 발생 빈도와 특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또한 조직 진단에 있어 세계 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가 제시한 조직 분류 기준을 사용하여 연구 대상을 정하고 진단과 관련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를 확인하며 Epstein-Barr Virus(EBV) 감염과의 관련성 정도를 관찰하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원자력 의학원에서 비호지킨 림프종(NHL)으로 진단된 1422명중에서 버킷 림프종으로 진단된 2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면역표지자 발현 여부를 보기위한 면역조직화학염색과 EBV 발현 여부를 알기 위하여 EBER-1 in situ hybridization(ISH) 방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버킷 림프종은 26예로 전체 비호지킨 림프종중 1.8%를 차지하였고, 남자가 14명 여자가 12명이었다. 발생 연령의 중앙 나이는 40.5세이고 모두 혈청 HIV 항체 음성이었다. 림프절 외 장기침범은 22명(84.6%)이며, 진단 당시 병기는 국소 병변(Ann Arbor stage Ⅰ,Ⅱ)이 38.5%, 진행병변(Ⅲ,Ⅳ)이 61.5%이었다. IPI(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상 저위험군이 8명, 중저위험군이 4명, 중고위험군이 4명, 고위험군이 10명이었으며, 진단 당시 골수침범은 30.8%, 뇌척수액 침범은 11.5%이었다. B증상은 6명, 종양융해증후군(TLS)은 치료 전 3명, 치료 후에 4명에서 발생하였다. 치료는 25명에서 시행되었고 치료방법은 CHOMP(CHOP with ITMX)를 비롯하여 단기 고용량 화학요법 및 자가 골수이식등을 시행하여 63.6%의 완전관해를 보였다. 전체 환자의 생존기간 중앙값은 15.9개월 (범위: 0.4-38.2개월), 무병 생존기간은 6개월 (범위: 3.8-8.2개월)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결과 대부분 CD20(+), CD10(+), CD3(-), Bcl-2(-), CD138(-)을 보였고 증식능(Ki-67) 100%를 보였다. p53의 종양세포 내 단백발현은 33% (7/21)였고 EBER-1 in situ hybridization을 통해 확인한 EBV감염과의 관련성은 25%로 낮았다.
결론: 성인 버킷 림프종은 매우 드물고 급진행하는 임상 경과를 보였으나 적극적인 치료로 완전관해를 보인 경우 좋은 예후를 나타냈다. 드문 질환으로 인하여 아직 치료에 대한 정립된 방침이 없어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어져야 하겠다.
Alternative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immunohistochemical stains and treatment outcome of patients with sporadic Burkitt lymphoma (BL) in adults.
METHODS: A survey of 1,422 NHL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t Korea Institute of Radiological & Medical Sciences between 1993 and 2003 identified 26 patients with BL (1.8%). All these cases were reviewed by experienced hemato-pathologist. The clinical data of these 26 pati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We did immunohistochemical stains for immunophenotype determination and EBER-1 in situ hybridization (ISH) for evaluatin of relationship between EBV infection and BL.
RESULTS: Among the 26 patients, there were 14 men and 12 women (median age: 40.5, range: 16-67 years). All patients were HIV-negative. The ileo-cecal region represented the most frequent site of involvement (42.3%). Bulky disease was 26.9%(7/26). Bone marrow and Cerebrospinal fluid involvement were 30.8%(8/26) and 11.5%(3/26), respectively. Twenty-five patients were treated with chemotherapy. Chemotherapy regimens included CHOMP, CODOX/IVAC, and high intensity chemotherapy with brief duration. Among these, thre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igh dose chemotherapy(HDT) with atuo-transplantation(ASCT). Response rate to initial chemotherapy was 81.8%(CR 63.6%, PR 18.2%). We experienced treatment-related deaths in 3 patients. The median overall survival and event-free survival were 15.9months(95% C.I.: 0.4-38.2) and 6.0 months (95% C.I.: 3.8-8.2), respectively. Characteristic immunophenotype illustrated by immunohistochemistry was CD20(+), CD10(+), CD3(-), Bcl-2(-), CD138(-), Ki67(+,100%). EBER-1 in situ hybridization(ISH) showed positive results at 25% of studied patients.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at BL is a rare disease among adults in Non-Hodgkin lymphoma (NHL) and a highly aggressive malignancy in spite of the initial good response. However, patients with complete reponse after aggressive treatment have good prognosis with long-term survival. Further investigation to identify biologic feature and treatment modality with more patients should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