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대학생의 니코틴 의존도 예측모형

Alternative Title
Park Bo-yeong
Author(s)
박보영
Alternative Author(s)
Park Bo-yeong
Advisor
이영진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9-02
Language
kor
Abstract
2. 가설적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5개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으며,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대학생의 자율성지지는 기본심리욕구에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 로 유의하였다(β=.122 p=.032). 2) 흡연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는 기본심리욕구에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다(β=.706, p<.001). 3) 흡연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는 자기결정성 동기에 영향을 미치며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β=.657, p<.001). 4) 흡연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는 니코틴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며 통 계적으로 유의하였다(β=-.580, p<.001). 5) 흡연대학생의 니코틴 의존도 예측모형은 성별 간 차이가 있으며 기본심리욕구가 자기결정성 동기(∆χ² =4.410, p=.036)에, 자기결정성 동기가 니코틴 의존도(∆χ² =6.351, p=.012)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의미 있는 사람으로부터의 자율성지지와 미래지향목표가 높을수록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됨을 알 수 있었으며 충족된 기본심리욕구는 건강행위 이행을 위한 자기결정성 동기를 향상시켜 흡연대학생의 니코틴 의존도를 낮추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자 흡연대학생 집단이 남자 흡연대학생 집단보다 기본심리욕구가 자기결정성 동기에, 자기결정성 동기가 니코틴 의존도에 미치는 인과관계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흡연대학생의 니코틴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자기결정성 동기 부여를 강화할 수 있는 중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으며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되는 환경에 노출되면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결정성 동기가 부여되고 이를 통해 건강행위 이행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흡연대학생들에게 자기결정성 동기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금연에 관한 지침을 안내하고, 성별 간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이면서 영향요인을 고려한 교육과 상담을 통해 흡연대학생들이 흥미 있고 선호하는 방법을 스스로 선택하여 동기를 부여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 결과가 흡연대학생의 금연율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5188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Nursing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