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권, 직무만족도,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수준과 그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수준, 직무만족도,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수준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성남시, 수원시, 안산시,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평택시, 화성시) 국공립, 민간, 법인, 직장,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총 114문항으로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 6문항, 교권 43문항, 직무만족도 36문항,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2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의 신뢰도 평균값은 교권 .898, 직무만족도 .875,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970으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수준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권수준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경우 Scheff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수준과 직무만족도,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수준과 직무만족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며, 보육교사의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대체로 높은 편이었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권수준과 직무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근무기관의 유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보육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직무환경이 교권수준과 직무만족도에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은 보육교사의 연령, 교육경력, 담당 영유아의 연령, 근무기관의 유형에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수준과 직무만족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권수준의 하위요인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특별히 ‘노동 및 휴식에 대한 권리’가 직무만족도와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가 있어 ‘노동 및 휴식에 대한 권리’의 보장을 중요시 여겨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수준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역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어 보육교사의 ‘노동 및 휴식에 대한 권리’ 및 ‘교육에 대한 권리’ 그리고 ‘신분 및 사생활 보장에 대한 권리’와 ‘재산에 대한 권리’는 교사-영유아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과 의미 있는 관계가 있다고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가 지각한 교권수준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교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개인적, 사회적, 국가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