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역할수행 요구

Author(s)
박미영
Advisor
곽승주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8-08
Language
kor
Keyword
보조교사역할
Abstract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새로운 국가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는 영아반 보조교사 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영아반 보조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수행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반 보조교사 제도가 보완되어 더 질 높은 보육환경이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8개시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영아반 보조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306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보육교사의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는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현직 대부분의 보육교사들은 영아반 보조교사를 필요로 하였고, 영아반 보조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육 이수 조건으로는 보육교사 교육원 과정 졸업자를 가장 선호하였는데 이는 적어도 1년 정도의 교육기간을 거쳐 영유아에 대한 이해도를 가지고 있는 보조교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영아반에서 보조교사가 필요한 상황은 ‘교육활동 전개 시’, ‘화장실 사용 및 손 씻기 지도 시’, ‘간식과 식사지도 시’의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보조교사의 적정 연령대는 ‘만30세 이상’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하루 일과 중 보조교사가 필요한 시간은 ‘하루 평균 3∼4시간’ 정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이는 보육업무가 가장 집중되는 오전 일과시간에 보조교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아반 보조교사 투입 시 보육교사의 전문성 증진과 영아보육의 질 증진에 대한 인식은 거의 대부분의 교사가 ‘그렇다’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영아반 보조교사 선정 시 가장 중요한 자질로는 ‘인성과 품성’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보조교사 배치 시 교사 대 영아의 적정비율에 대한 결과는 ‘영아의 인원에 관계없이 각 반에 1명씩 배치되어야한다’ 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 요구를 분석한 결과 하위 영역에서는 ‘교직능력 함양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서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기대하는 영아반 보조교사의 업무는 단순히 보조교사로서의 역할에만 그치지 않고 영아에게 바람직한 모델로서 교사의 기본 태도와 자질 및 능력까지 요구하는 것으로 보이며, 신뢰감이 바탕이 되어 성인과 애착을 형성하는 영아기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서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수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혼합연령을 담당하는 보육교사와 소규모 어린이집의 보육교사가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역할수행 요구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발달의 차이가 큰 영아들로 구성되어 있는 혼합 연령반과 소규모의 어린이집일수록 영아반 보조교사의 지원 및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제도의 시행 초기에 있는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를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요구를 제시함으로써 영아반 보조교사 제도가 효율적으로 정착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4088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Early Childhood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