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국어 교육과 내의 역할과 방향에 대한 모색으로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제재와 성취기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의 양상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으며, 한국적 다문화상황과 국어과 교육의 범교과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문화교육의 범주를 인종과 민족의 문화다양성 측면으로 한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가 설계한 다문화교육의 범주와 교육 내용에 따라 교과서 제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취기준과 다문화적 교육 내용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국어과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1,2차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논의 및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과서 제재 분석결과에서 다문화 문학 제재에서는 세계대전과 같은 전쟁을 바탕으로 국제적 관계아래 인종과 민족의 문제를 다루는 작품들이 많았으며, 오늘날의 다문화적 상황을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작품들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국외 작품의 목록은 서구지역에 치우친 작품들이 많아, 한국의 다문화적 상황을 고려한 다양한 작품군들의 수집 및 발굴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비문학 다문화 제재의 경우 ‘가공 제재’가 많았지만, ‘실제 제재’로서 출처와 소통 맥락이 확실하고 양과 질적인 측면서 다문화 제재로 활용가능성이 충분한 제재는 본 연구에서 목록화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다문화교육의 범주를 인종과 민족의 문화 다양성뿐만 아니라 성, 사회계층, 장애 등과 같은 광의의 개념으로 확장하였을 때, 층위에 따라 전략적으로 활용가능한 다문화 제재를 체계적으로 수집 및 발굴하여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교과서 제재 분석 시, 확인된 ‘잠재적 문학 다문화 제재’와 ‘확장용 다문화 제재’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과서 제재 분석과 성취기준의 설문 조사 결과 다문화적 특성이 두드러지는 특정 성취기준은 존재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성취기준이 다문화교육과 관련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제재 분석 결과, 대부분의 성취기준에서 다문화 제재가 포진된 것과 교사의 설문결과에서 대부분의 성취기준에서 중요도가 높게 나온 것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국어과의 전반적인 교육 내용 자체가 다문화교육과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다만, 영역별 비중면에서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제재 분석 결과에서는 다문화 제재의 빈도가 문학과 문법 영역이 높았고, 교사의 설문 결과에서는 듣말과 읽기 영역이 중요도면에서 높았다. 이에 대한 간극을 좁히는 교육 내용의 계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셋째, 교과서에서 활용가능한 다문화 제재는 1차적 상위 목표인 성취기준 및 활용양상의 영향에 따라 제재의 교육 내용의 방향성이 결정된다. 이에 다문화 제재를 수집하고 발굴하여 정리하는 과정에서 국어과 성취기준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다문화 제재가 유의미하게 사용되기 위한 적절한 활용방식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즉, 국어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때 다문화 제재와 성취기준과의 긴밀한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교육 내용이 계발될 때 다문화 제재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학교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논의 및 제안점이 국어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설계하고 실천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