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기관 평가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곽승주 | - |
dc.contributor.author | 이윤아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26:42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26:42Z | - |
dc.date.issued | 2018-02 | - |
dc.identifier.other | 27363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78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2018.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 연구에 대한 전반적 경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7년까지의 유아교육기관평가 관련 주제의 학위논문, 학회지를 아우르는 총 302편의 선행연구들을 면밀히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기관평가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관한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연구 시기별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관한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연구주제별 동향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관한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연구방법별(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 수집방법, 자료 분석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설정된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 기준을 세우고 동향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논문과 학술지 유형에 따른 시기별 연구동향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평가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2010년 이후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추세를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면 연도별 동향은 ‘기관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기관평가의 효과’를 조사한 연구, ‘기관평가 지표 및 평가준거 개발’을 조사한 연구 순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주제별로 살펴보면, 2009년부터 유아교육기관 평가 연구의 감소 추세와 함께 기관평가 지표 및 평가 준거 개발의 연구는 더욱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연구주제에 대한 기관유형별 동향은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한 기관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가 전체대상 인식조사 연구 중 104편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 졌고, 다음으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한 기관평가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41편, 유치원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한 연구가 27편 이루어 졌다. 또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한 기관평가의 사후관리가 17편 이루어진 반면 유치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연구방법별 동향분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을 기관유형에 따라 나누고 이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기관유형에서 단일유형 대상 논문은 282편(93.3%), 혼합유형 대상 논문은 20편(6.6%)으로 단일 대상의 논문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일 대상을 가진 논문 중 어린이집 대상 논문이 222편(73.5%)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유치원 대상 논문이 54편(17.9%)으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어린이집대상 연구는 2008년이 되면서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유치원 평가는 2011년 이후로 감소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기준을 유아교육기관 평가 관련 연구에 참여한 인적대상 및 문헌대상을 중심으로 재분석 해보았는데, 단일대상연구에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논문이 95편(31.5%)으로 매우 높은 편수를 차지하였다. 유아교육기관 평가 관련 논문의 연구 유형의 동향은 302편중 중복표기가 8편으로 총 310중에 양적연구가 220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질적 연구는 35편 다음으로 문헌연구, 양적·질적연구로 확인되었다. 양적연구 중에는 조사연구가 222편(71.6%)으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유아교육기관 평가 관련 논문의 수집 방법을 살펴보면 중복표기를 포함한 총 320편중 229편(72.6%)으로 질문지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면담법 42편(13.1%), 문헌연구법은 32편(10.0%)으로 나머지 자료 수집 방법들은 연구되지 않거나 아주 적은 편수로 사용되었다. 유아교육기관 평가 관련 논문의 자료 분석 방법을 살펴보면 기술통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차이분석, 질적 분석 순으로 나타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유아교육기관 평가의 개념과 필요성 및 목적 8 가. 유치원 평가 8 나. 어린이집 평가인증 12 2. 유아교육기관 평가의 운영절차 16 가. 유치원 평가의 과정 16 나. 어린이집 평가인증의 과정 19 3. 유아교육기관 평가의 지표 21 가. 유치원 기관평가 지표 21 나. 어린이집 평가인증 지표 23 4. 유아교육기관 평가 컨설팅 24 가. 유치원 컨설팅 25 나. 어린이집 평가인증 컨설팅 26 5. 유아교육기관 평가의 추진 결과 32 가. 유치원 평가의 결과 처리 및 활용 32 나. 어린이집 평가인증의 추진경과 및 사후관리 35 6. 선행연구 고찰 41 Ⅲ. 연구방법 48 1. 분석대상 및 범위 48 2. 연구의 분석기준 및 분석 방법 49 가. 연구 주제 50 나. 연구 대상 51 다. 연구 유형 52 라. 자료 수집 방법 53 마. 자료 분석 방법 55 3. 연구절차 55 4. 자료 분석 5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58 1. 연구시기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58 가. 학위논문과 학술지 유형에 따른 시기별 연구동향 58 2. 연구주제에 대한 동향분석 60 가. 연구 주제에 대한 연도별 동향 60 나. 연구 주제에 대한 기관유형의 동향 63 3. 연구 방법에 따른 동향 분석 66 가.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동향 66 나.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연구유형에 따른 연구동향 72 다.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자료 수집 방법에 따른 연구동향 74 라.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자료 분석 방법에 따른 연구동향 76 Ⅴ. 논의 및 결론 80 1. 연구시기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80 가. 학위논문과 학술지 유형에 따른 시기별 연구동향 80 2. 연구주제에 대한 동향 분석 82 가. 연구 주제에 대한 연도별 동향 82 나. 연구 주제에 대한 기관유형별 동향 83 3. 연구 방법에 따른 동향 분석 84 가.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동향 85 나.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연구유형에 따른 연구동향 86 다.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자료 수집 방법에 따른 연구동향 87 라.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자료 분석 방법에 따른 연구동향 88 참고 문헌 91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 - |
dc.date.awarded | 2018.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800699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363 | - |
dc.subject.keyword | 유아교육기관평가 | - |
dc.subject.keyword | 유치원평가 | - |
dc.subject.keyword | 어린이집평가인증 | - |
dc.subject.keyword | 동향 | - |
dc.title.subtitle | 2007년 ~ 2017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