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과 운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적 가치와 효과,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과 운영현황, 교사의 역할, 활동수준, 실시 현황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과 운영 수준은 어떠한가?
가. 영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나. 영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운영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과 운영 수준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과 운영 수준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중 수원시, 안양시, 오산시, 용인시, 평택시, 화성시에 소재한 곳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영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은 9문항, 교육적 가치 및 효과 12문항, 교사의 역할 18문항, 장애요인 17문항, 운영현황 10문항, 활동 종류 14문항, 실시 현황 3문항으로 총 8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도구의 척도 신뢰도는 전체 0.879로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신뢰할 만한 수준이다.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을 위하여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 계수를 산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수준이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t 검정, F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들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은 교육적 가치와 효과에 대해 상호작용을 통한 이해 능력이나, 의사소통 능력이 증진된다고 인식하는 경우는 낮게 인식하는 반면, 바깥놀이를 통해 다양하고 풍성한 감각적 경험을 하거나 대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영유아교사들은 장애요인에 대해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환경적 변화로 인한 미세먼지, 황사, 자외선, 오존 등의 불가피한 환경적 장애요인으로 인하여 실시하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영유아교사들의 바깥놀이에 대한 운영 수준은 바깥놀이에 하루 일과의 많은 비중을 두지는 않지만, 바깥놀이의 활동의 계획이나 목표에 많은 비중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들은 다양한 교사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안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감독자의 역할을 많이 하는 운영 수준을 보였다. 또한 다양한 활동 종류의 바깥놀이 활동이 아닌 단순하고, 편중된 내용으로 바깥놀이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 아직도 낮은 수준의 바깥놀이 운영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유아교사는 실내놀이 활동과 바깥놀이 활동 모두 선호하고 있으며, 기관 근처 바깥놀이터를 주고 이용하고, 자연물을 많이 이용하는 실시 현황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배경 변인들과 영유아교사들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수준을 비교해 볼 때 기관유형 외의 다른 변인들은 영유아교사의 바깥놀이 인식 및 운영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 종류를 제외한 바깥놀이 인식 및 운영 수준은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의 기관평가여부에서는 교사의 역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의 결혼여부와, 자녀유무에서는 교육적 가치와 효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