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공감과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 및 또래관계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이 부·모의 공감과 청소년의 또래관계 간에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2,3학년 430명을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부모공감 척도,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 또래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료 분석은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와 모의 공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청소년이 지각한 부와 모의 공감의 하위변인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하위변인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공감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일련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에서 부의 공감은 모의 공감과 높은 수준의 정적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인식 명확성 및 또래관계와는 보통수준의 정적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의 공감 역시 정서인식 명확성 및 또래관계와 보통수준의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서인식 명확성의 경우는 또래관계와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정적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부와 모의 공감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는 공감반응 전체뿐만 아니라 하위요인 중 정서지각, 관점수용, 공감적 정서반응, 과민한 정서반응에서 부와 모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부·모 공감의 하위요인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하위요인이 또래관
계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먼저 부·모의 공감의 하위요인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하위요인이 또래관계의 하위요인인 주도성에 미치는 효과는 부모의 공감반응 중에서 부의 정서지각, 청소년 자녀의 정서인식 명확성의 하위요인 중에서 정서에 대한 인식, 정서에 대한 주의, 정서개선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의 공감의 하위요인과 정서인식 명확성의 하위요인이 또래관계의 하위요인인 협동/공감에 미치는 효과는 부모의 공감반응 중에서 부의 관점수용, 모의 공감적 정서반응, 정서인식 명확성의 하위요인 중 정서에 대한 인식, 정서에 대한 주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의 공감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부의 공감에 대한 지각은 청소년 자녀의 또래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매개변수인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모의 공감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모의 공감에 대한 지각은 청소년 자녀의 또래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매개변수인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모공감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정서인식 명확성이 긍정적인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부모의 공감은 자녀에게 정서적인 안정을 줄 뿐 아니라, 청소년 자녀에게도 공감능력을 습득하고, 이를 또래와의 관계에서도 확장시켜 적용하게 함으로써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