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전유영 | - |
dc.contributor.author | 손은정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22:49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22:49Z | - |
dc.date.issued | 2016-08 | - |
dc.identifier.other | 2310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379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2016.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손 은 정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전 유 영) (국문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이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변인에 따른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의 수원, 용인, 안양, 평택, 안산, 화성, 오산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그중 279부를 최종적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3가지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은 Davis(1980)가 개발한 대인관계 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를 박성희(2004)가 번안한 공감능력척도(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은 King과 Emmons(1990)가 제작하고 한정원(1997)이 번안한 정서표현성 척도(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EEQ)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은 Millard와 Bienvenu(1972)가 개발한 대인간 의사소통척도(Interpersonal Coummunication Inventory; ICI)를 신두균(1988)이 교사를 대상으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 그리고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과 t-tes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변인에 따른 공감능력은 대학원 이상인 유아교사가 다른 유아교사보다 상상하기가 높았고, 만 1세 이하 담당, 담당 학급의 인원수가 5명 미만인 경우 다른 유아교사보다 개인적 고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교사의 연령, 결혼 여부, 자녀 양육 경험,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공감능력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유아교사의 변인에 따른 정서표현성은 연령과 결혼 여부, 자녀 양육 경험, 최종학력, 교직경력, 담당 유아 연령, 담당 학급의 인원수로 구성된 모든 변인에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이 높았다. 유아교사-부모 의사소통에는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에서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이 높을수록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이 높았다.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에는 친밀한 정서표현과 긍정적 정서표현이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의사소통의 관계성을 인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1. 공감능력 7 2. 정서표현성 13 3.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16 4.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18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연구도구 25 3. 연구절차 28 4. 자료분석 29 Ⅳ. 연구결과 30 1. 유아교사의 변인에 따른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 30 2. 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46 3. 유아교사의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49 Ⅴ. 논의 및 결론 51 1. 논의 51 2. 결론 57 3. 제언 59 참고문헌 60 부 록 68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수준과의 관계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 - |
dc.date.awarded | 2016.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758807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109 | - |
dc.subject.keyword | 유아교사 | - |
dc.subject.keyword | 공감능력 | - |
dc.subject.keyword | 정서표현성 | - |
dc.subject.keyword | 의사소통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