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와 시공 정보의 효율적 연계를 통한 BIM기반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 구축 방안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BIM-based Construction Information Database Structure through the Link 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Author(s)
이동건
Alternative Author(s)
Dong-gun Lee
Advisor
차희성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5-02
Language
kor
Keyword
건설정보관리문서정보관리BIM데이터베이스분류체계
Abstract
건설 산업은 다양한 분야의 참여자가 상호 협동을 통하여 진행되는 산업의 형태를 가지고 있음으로 인하여, 각 건설 단계별로 다양한 정보가 발생되고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건설과정에서 발생한 정보의 효율적 관리는 공사의 생산성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는 문서의 형태로 정보가 발생됨으로 인하여 문서 보존과정의 분실 및 파기로 인한 정보의 손실과 정보 검토 및 확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고 있다. 또한, 문서를 통하여 발생된 정보에 대한 관리 방안미비로 인하여 연속적이고 체계적인 정보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현장 내 정보의 개인관리화가 증대됨으로 인해 일회성으로 현장 정보가 관리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정보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BIM이 대두되고 있지만, 현장의 정보관리 및 활용측면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축적 및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종이문서 기반의 현장 정보관리 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BIM기반 설계 및 시공정보 통합을 위한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서를 통하여 건설정보를 파악한 후, 분류체계를 통한 문서 내부 정보의 재분류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을 통하여 축적된 정보와 BIM을 연계하여 정보 축적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정보분류체계(IBS)와 기존 분류체계(WBS, CBS 등)를 통하여 재분류하기 위하여 현장 발생 문서를 조사하였으며, 재분류된 정보에 공간분류체계(SBS)를 통한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BIM모델과 건설정보를 연계한 데이터베이스의 체계를 제안하였다. 현장 문서정보의 재분류 및 BIM과의 연계를 위한 분류체계(SBS, IBS)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표준 정보분류체계를 검토를 통하여 작성을 하였으며, 공간분류체계(SBS)는 BIM모델과 건설정보의 연계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이 하기 위하여 IFC파일의 Object구성 체계와 공동주택의 공간구분을 통하여 분류체계를 작성하였고, 정보분류체계(IBS)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의 효율적 활용(정보의 검색 및 확인)을 목적으로 건설정보를 분류한 것으로서 Uniclass의 Uniclass A 정보의 형태와 Uniclass B 주제분야의 체계를 활용하여 분류체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분류체계를 통하여 재정리된 문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작성하였으며, 해당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시나리오에 적용 하여 문서정보의 축적과 축적된 정보의 활용부분에 대한 부분에서 데이터베이스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정보의 축적 및 활용에 용이할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설정보의 효율적인 축적 및 활용을 위하여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체계를 제안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통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축적 및 관리를 통하여 인력중심의 노하우 축적이 아닌 기업차원의 노하우 축적이 가능하다는 점과 BIM모델을 통한 정보의 검색 및 활용으로 건설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3210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Architecture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