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성 교정장치를 사용하여 매복치를 견인하는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면 치근 흡수와 같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어 최근 임시 골성 고정원과 고무줄을 사용한 매복치의 견인 방법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성 고정원과 고무줄을 사용하여 매복 상악 견치를 견인하였을 때 견인 기간과 속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조사하기 위함이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총 1339명의 환자 중 골성 고정원과 고무줄을 이용하여 매복 상악 견치 견인을 완료한 환자 27명의 치아 31개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의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영상을 CT 분석 프로그램인 Simplant로 계측점, 계측선, 계측평면을 설정한 후 견치 높이, 절치 치축과의 각도, 소구치 치축과의 각도, 교합평면과의 각도, 이동 거리, 인접 절치와의 수평 관계, 인접 절치와의 수직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후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매복 견치를 인접치의 절단연 혹은 교합면 높이까지 견인하는 동안 걸린 총 기간과 응급 내원을 포함한 내원 횟수에 대하여 각 항목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제3대구치를 제외한 매복치가 존재한 환자는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전체 환자의 15.68%를 차지했으며 매복 상악 견치의 비율은 39.64%였다. 분석 결과 매복 상악 견치 치축과 인접 소구치 치축 간의 각도, 최종적인 가상의 위치까지 이동 거리, 인접 절치에 기준한 견치 교두첨의 수직적인 높이가 매복 견치를 견인하는 데 소요된 기간 및 환자의 내원 횟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각 요인들에 대한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다.
2차원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 비해 3차원 CBCT를 이용하면 매복 상악 견치의 위치를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매복 상악 견치를 골성 고정원과 고무줄을 사용하여 견인하는 경우 기존의 방법에 비해 보다 빠르고 적은 내원 횟수로 견인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고정성 교정 장치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과는 다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치근 흡수나 예상치 못한 부작용 등을 방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