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평생교육 관점에서는 전 생애주기에 걸친 단절 없는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교육과 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그런 점에서 경력단절 여성은 결혼과 출산에 의해 일과 학습이라는 생애주기의 단절을 겪게 된 경우로 평생교육의 매우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경력단절 여성들은 가족주기의 측면에서 임신 출산 양육 등의 발달과업을 겪으며 일과 학습의 단절을 보완하게 되므로 생애주기 중에서도 특히 가족주기에 관련된 변인들의 영향관계에 주목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경력계획 수립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을 검토해 본 결과 경력단절 여성들의 경력단절 및 경력계획의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주요 변인들은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경우가 드물었고, 특정 변인들 간의 단편적 관계 분석이나 질적 연구로 접근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관련 변인과 경력계획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중요 관련 변인인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과 자아존중감, 가족지지가 경력단절 여성들의 경력계획에 미치는 경로에 따른 영향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15개의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하고 있는 경력단절 여성 545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편의표집방법으로 수집되었다. 그리고 자료 분석과 설정한 연구문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 빈도분석, 신뢰성검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에는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과 Mplus 7.0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들의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은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때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는 경력단절 여성들의 경력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경력단절 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은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를 통하여 경력계획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적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이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에 미치는 경로에 따른 영향력은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이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모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는 경력계획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력단절 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들이 성공적 경력계획에 효과적 기제가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 결과가 지니는 의의는, 첫째, 본 연구가 경력단절 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 경험이 경력계획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구명했다는 점이다. 이는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가족주기와 관련하여 ‘생활사건’이라는 변인이 경력단절 여성들에 있어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단적으로 입증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평생 교육적 관점에서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교육을 기획, 개발, 제공함에 있어 생애주기와 가족주기를 강조하여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생활사건 스트레스 경험을 긍정적으로 승화, 극복하기 위한 교육을 개발하여 제공해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둘째,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이 가족지지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새롭게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경력단절 여성이 인식하는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의 하위 요인들은 가족과 관련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경력단절여성들이 가족들로부터 받게 되는 스트레스와 그로인한 가족 지지 감소를 극복할 수 있는 가족관계 교육 프로그램 등을 개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한 증가와 함께 사회적으로나 교육적으로 중요한 연구 대상 집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이론과 실천적 교육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밝혀진 구조적 모형과 영향력 관계 등을 기초로 경력단절 여성 이론화 가능성과 그 실천적 교육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또 다른 의의가 된다. 후속연구 제언으로 평생교육기관에 등록하지 않은 경력단절 여성들을 포함한 전체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표집 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질적 분석이 보완된 혼합연구가 필요하며, 경력단절 여성에게 지지체계로서 가족들과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할 것을 제언한다.
주요어: 경력단절 여성, 생활사건 스트레스경험,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경력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