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압화학기상증착을 이용한 Ni 합금선의 비저항 조절

Alternative Title
Jeong Geun Bak
Author(s)
박정근
Alternative Author(s)
Jeong Geun Bak
Advisor
김창구
Department
일반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7-02
Language
kor
Keyword
저압화학기상증착Ni-alloywire비저항
Abstract
저압화학기상증착을 이용하여 Ni 합금선에 주석을 반응시켜 Ni 합금선의 비저항을 조절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Ni 합금선을 반응온도 300℃ ~ 900℃에서 반응시켰으며 반응온도에 따른 시료의 비저항 변화를 확인하였다. Ni 합금선의 비저항이 변화하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박막 증착 분석이 용이한 Ni foil에 우선 실험하였다. Ni foil의 비저항은 반응 온도가 400℃ 일 때 10 μΩ•cm에서 12.5 μΩ•cm로 증가하였다. 이후 반응 온도가 100℃씩 증가할 때마다 비저항이 0.3 μΩ•cm 정도 증가하여 반응 온도가 900℃ 일 때 Ni foil의 비저항은 14.2 μΩ•cm까지 증가하였다. Ni foil의 비저항이 변화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로 Ni foil 시료 표면에 생성된 물질의 형상을 관찰하였고 X-ray diffractometer(XRD)로 시료 표면에 Ni/Sn 합금 박막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SIMS)를 통하여 주석이 Ni foil 내부로 거의 확산되지 않았음을 알아내었다. 다음으로 박막 증착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Ni/Sn 박막 증착속도를 분석하여 속도결정단계를 정하였다. 흡착율을 고려하여 개선한 박막 증착속도식으로 증착속도를 MATLAB으로 시뮬레이션하여 Ni/Sn 박막 증착 반응의 속도상수 및 활성화에너지를 구하였다. 개선한 박막 증착속도식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구체 유량에 따른 박막 증착속도를 측정하였다. MATLAB으로 얻은 속도상수와 활성화에너지로 유량에 따른 박막 증착속도를 계산하였고 오차율은 약 2%였다. Ni 합금선은 Ni/Cr wire와 Ni/Fe wire로 각각 실험하였다. 반응온도는 300℃에서 900℃까지 변화시켰다. Ni/Cr wire는 반응온도가 400℃ 일 때 비저항이 113.0 μΩ•cm에서 121.5 μΩ•cm로 증가하였다. 이후 500℃ ~ 700℃ 일 때는 비저항 변화가 거의 없다가 700℃ ~ 900℃ 일 때 비저항이 117.2 μΩ•cm 로 감소하였다. SEM과 XRD 분석을 통하여 Ni/Cr wire 시료 표면에 Ni/Sn 합금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Ni/Fe wire는 반응온도가 300℃ ~ 500℃ 일 때는 비저항이 변화하지 않았으며 550℃ 이상일 때 비저항이 증가하였다. Ni/Fe wire의 비저항은 550℃ ~ 900℃ 일 때 39.5 μΩ•cm에서 43.2 μΩ•cm까지 증가하였다. 이후 SEM과 XRD 분석을 통하여 Ni/Fe wire 표면에 Ni/Sn 합금과 Fe/Sn 합금이 생성된 것을 밝혔다. Ni/Sn 박막 증착 메커니즘과 증착속도식으로 시료의 주석 함량을 예상하고 비저항을 예측하였다.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X)를 통하여 Ni foil, Ni/Cr wire, Ni/Fe wire 표면 조성을 각각 알아보았다. Ni foil의 주석 함량은 반응온도가 300℃ ~ 400℃ 일 때 12% 증가한 후 400℃ ~ 900℃ 일 때는 15%까지 증가하였다. Ni/Cr wire의 주석 함량은 반응온도가 300℃ ~ 400℃ 일 때 15% 증가한 후 400℃ ~ 700℃ 일 때는 거의 변화하지 않다가 400℃ ~ 700℃ 일 때는 9%까지 감소하였다. Ni/Fe wire의 주석 함량은 반응온도가 550℃ ~ 700℃ 일 때 4% 증가한 후 700℃ ~ 900℃ 일 때 20%까지 증가하였다. 이로써 시료의 주석 함량과 비저항이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아내었다. 증착 메커니즘 분석을 통하여 반응온도에 따른 증착속도와 주석 함량의 관계를 알아내었고 이를 통하여 시료의 비저항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시료별 비저항 변화 양상이 다른 이유를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Ni/Sn 박막 증착 메커니즘과 시료의 비저항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1152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Energy Systems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