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국가의 국가브랜드 정책 비교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성빈 | - |
dc.contributor.author | 송선영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03:26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03:26Z | - |
dc.date.issued | 2011-08 | - |
dc.identifier.other | 12047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9931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행정학과,2011. 8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4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6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개념적 분석틀 9 제 1 절 국가브랜드의 전략적 관리 9 1. 브랜드와 국가브랜드의 정의 11 2. 국가브랜드 정체성과 이미지 16 3. 국가브랜드 제고를 위한 평가기능과 역할 20 제 2 절 국가브랜드와 국제경쟁력의 이론적 논의 29 1. 국제경쟁력의 정의 33 2. 국가브랜드와의 관계성 38 3.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평가기능과 역할 42 제 3 절 비교연구를 위한 개념적 분석틀 49 1. 비교분석의 논리와 쟁점 49 2. 분석틀 52 제 3 장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정책 55 제 1 절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55 1. 대한민국 각 정부별 국가브랜드 정책 55 2. 조직의 구성과 역할 및 기능 58 제 2 절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63 제 3 절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66 제 4 절 요약 66 제 4 장 주요 국가별 국가브랜드 정책 72 제 1 절 주요 국가별 국가브랜드 정책 사례분석 72 제 2 절 주요 국가별 국가브랜드 정책 사례분석 75 1. 경쟁형 국가의 국가브랜드 : 영국과 미국 75 1) 영국 75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75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78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83 2) 미국 87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87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90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92 2. 개입형 국가의 국가브랜드 : 독일과 일본 94 1) 독일 94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94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96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99 2) 일본 101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101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102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108 3. 절충형 국가의 국가브랜드 : 스위스와 뉴질랜드 110 1) 스위스 110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110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111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112 2) 뉴질랜드 113 ① 국가브랜드 정책의 역사제도적 기반 113 ② 국가브랜드 정책의 대두와 전개 115 ③ 국가브랜드 정책의 산출과 결과 118 제 3 절 요약 119 제 5 장 연구의 결론 124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124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128 1. 이론적 시사점 128 2. 정책적·실무적 시사점 130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31 참고문헌 133 1. 국내문헌 133 2. 국외문헌 138 3. 기타 142 Abstract 14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주요 국가의 국가브랜드 정책 비교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Song, Sun Young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ong, Sun You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공공정책대학원 행정학과 | - |
dc.date.awarded | 2011.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9665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047 | - |
dc.subject.keyword | 국가브랜드정책(Nation Branding Policy) | - |
dc.subject.keyword | 국가경쟁력(The World Competitiveness) | - |
dc.subject.keyword | 지역.도시브랜드(Region and City Brand) | - |
dc.subject.keyword | 국가브랜드위원회(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 Branding) | - |
dc.subject.keyword | 제도주의(Institutionalism)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analyzes Nation Branding Policy Active and Policy drive system by looking at thos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s at this point of time, Korea successfully held the G20 Seoul summit in 2010 and will hold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in 2018, it is worthy of attention that this study focuses on nation branding which is a kind of strategy of soft power, because Korea lacks resources of government positive policy while has many negative images: inter-Korean issue, labor dispute, ward-heeling politics, etc.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Nation Branding Policy among the countries around the world. Some emphasize on government involvement on nation branding policy but others do not. Which makes this happen? This study tries to this question from new institutionalism, both historical and sociological institutionalism. To find the answer, firstly, this study empirically reviewed and analyzed the basic and detailed concepts of nation branding from the communicational point of view which are nation branding, nation branding identity and image, nation branding personality and association. Secondly, this study will seek to find some implications of the Korean Nation Branding through the findings. The advanced countr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referred to as competitive(British and the U.S), interventionist(Germany and Japan), and eclectic(Switzerland and New zealand). This study analyzes each group's characteristics, main policy, etc based on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Nation Branding policies among three state groups are closely related to difference in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mong them. It is interesting that the nation branding mechanism and interaction of all variables within each group are very similar.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on advanced countries' nation branding policies in this study finally gives rise to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goal of the Korean Nation Branding Policy and the strategy for it.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sophisticated with full consideration of the nation branding, subdivided periods and done by integrated approach in respect of public administration.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