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 연결어미의 의미에 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재연 | - |
dc.contributor.author | CUI, Chao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02:54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02:54Z | - |
dc.date.issued | 2011-08 | - |
dc.identifier.other | 1178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9813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11.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조건 연결어미의 의미 및 그 하위분류를 밝혀 조건 연결어미‘-으면’‘-거든’‘-아야’가 어떤 조건 의미를 나타내는지, 조건의 의미장에서 어떤 의미 영역을 갖는지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주로 조건과 양보, 인과, 그리고 가정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조건, 인과, 양보의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조건 연결어미, 인과 연결어미, 양보 연결어미가 나타내는 선‧후행절 사이의 관계도 다르다. 조건이 인과나 양보의 상위어라고 하기는 어렵고, 이들은 접속문의 선‧후행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낼 때 대등적인 관계를 갖는다. 또한 가정은 아직 사실이 아닌 것을 임시로 사실로 잡는 것이며, 선행절에만 관여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선‧후행절 사이의 관계를 나타낼 수 없다. 한국어에서 가정은 하나의 연결어미로 나타날 자격이 없으며 조건의 하위 범주에 속한다. 3장에서는‘-으면’‘-거든’‘-아야’의 통사적인 제약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들 조건 연결어미들은 선어말어미‘-더-’와의 결합에서 모두 제약을 받는 반면, 선어말어미‘-았-’과의 결합은 모두 가능하다. 선어말어미‘-겠-’은‘-으면’‘-거든’과의 결합에서는 제약이 따르지 않지만 ‘-아야’와는 결합하지 못한다. 의향법에 있어서‘-으면’도 제약이 따르지 않는다.‘-거든’은 시킴법과 꾀임법에 자연스럽게 쓰이지만 서술법과 물음법에는 화자나 청자의 의지와 관련된 것에만 한정적으로 쓰인다. 이와 반대로‘-아야’는 시킴법과 물음법에 제약되며 서술법과 단순 판정의문문, 수사의문문에만 쓰인다. 한편으로‘-으면’과‘-아야’조건문에서는 주어의 제약은 받지 않으며‘-거든’조건문에서는 후행절 주어가 3인칭이나 무정물일 때 제약을 받는다. 마지막으로‘-으면’은 보조사‘야’,‘은’과 결합할 수 있으나‘-아야’는 보조사‘만’과만 결합할 수 있다. 4장에서는 조건 연결어미의 의미에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조건을 일차적으로 사태조건, 인식조건, 발화조건으로 나누었다. 사태조건은 선행절 사태가 후행절 사태가 실현될 수 있는 조건으로, 인식조건은 선행절이 후행절 사태를 인식할 수 있는 조건으로, 발화조건은 선행절이 후행절이 자연스럽게 발화될 수 있는 조건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사태조건을 다시 가정조건과 단순조건으로 구별하였다. 가정조건은 조건문의 선행절에서 비사실이거나 반대사실적인 사태를 사실로 가정하여 후행절에서 이 가정된 조건에 따른 결과를 나타낼 경우를 말한다. 단순조건은 조건문에 선행절이 이미 사실이거나 사실이 아니더라도 선행절의 사실성 여부에 중점을 두지 않고 단순히 선‧후행절 사이의 조건관계를 강조하는 경우를 말한다. 조건 연결어미 중에서‘-으면’은 사태조건, 인식조건, 발화조건에 모두 쓰일 수 있지만‘-거든’과‘-아야’는 사태조건에서 단순조건에만 쓰일 수 있다.‘-으면’의 사태조건 중에서 가정조건은 선행 조건의 실현 가능성에 따라 실현 가능한 가정조건과 실현 불가능한 가정조건으로 세분화하고 단순조건은 다시 조건관계가 성립하는 근거에 따라 법칙적 조건, 경험적 조건, 논리적 조건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으면’‘-거든’‘-아야’는 모두 단순조건을 나타낼 수 있지만 각각의 단순조건이 똑같지는 않다.‘-으면’‘-거든’이 충분조건을 나타내는 데에 반해 ‘-아야’는 필요조건을 나타낸다. 이들의 조건관계의 형성과정을 보면‘-으면’과 ‘-거든’은 먼저 조건을 알고 이 조건 하에 어떤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지를 드러내며,‘-아야’는 먼저 결과를 알고 이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경우 중 필수로 나타나야 하는 것을 선택하여 필요성을 부여한다. 또한‘-거든’은 조건의 실현성에 대한 주관적인 믿음을 나타내며‘-으면’보다 조건의 실현 가능성이 높다. ‘-으면’ ‘-거든’ ‘-아야’의 조건 의미는 조건의 의미장에서 서로 배타적으로 자리를 잡고 대등적으로 존재한다. 이들은 통사적으로는 대치할 수 있어도 의미적으로는 대치할 수 없는 것이다. 5장은 결론으로서 본고의 논의를 정리하고 요약하였다. 핵심어: 조건 연결어미, 사태조건, 인식조건, 발화조건, 의미장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차 례 <국문초록> i 1. 서론 1 1.1. 연구목적과 대상 1 1.2. 선행연구 2 1.3. 연구방법 6 2. 조건과 인접 범주의 관계 8 2.1. 조건과 양보 8 2.2. 조건과 인과 10 2.3. 조건과 가정 12 3. 조건 연결어미의 통사적 제약 16 3.1. 선어말어미와의 통합제약 16 3.2. 의향법의 제약 19 3.3. 주어의 제약 22 3.4. 보조사와의 통합제약 24 4. 조건 연결어미의 의미 26 4.1. 조건 연결어미에 대한 기본 논의 26 4.2.‘-으면’의 의미 29 4.2.1. 사태조건 29 4.2.1.1. 가정조건 30 4.2.1.2. 단순조건 32 4.2.2. 인식조건 34 4.2.3. 발화조건 36 4.2.4. 조건 외의 의미 37 4.3.‘-거든’의 의미 40 4.3.1. 사태조건 41 4.3.2. 조건 외의 의미 47 4.4.‘-아야’의 의미 49 4.4.1. 사태조건 49 4.4.2. 조건 외의 의미 53 4.5. 조건의 의미장 54 5. 결론 58 <참고문헌 > 61 <中文摘要> 64 표 차례 [표1] 조건 의미에서 ‘-으면’의 의미 영역 분포 37 [표2] 조건 의미에서 ‘-거든’의 의미 영역 분포 47 [표3] 조건 의미에서 ‘-아야’의 의미 영역 분포 52 [표4] 조건 연결어미의 의미 영역 분포 59 그림 차례 [그림1] 조건의 의미장 56 [그림2] 조건의 하위분류 59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조건 연결어미의 의미에 대한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 |
dc.date.awarded | 2011.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9633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80 | - |
dc.subject.keyword | 조건 연결어미 | - |
dc.subject.keyword | 사태조건 | - |
dc.subject.keyword | 인식조건 | - |
dc.subject.keyword | 발화조건 | - |
dc.subject.keyword | 의미장 | - |
dc.title.subtitle | -‘-으면’ ‘-거든’ ‘-아야’를 중심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