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의 생태학적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이장익, 최운실 | - |
dc.contributor.author | 박선경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8:02:50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8:02:50Z | - |
dc.date.issued | 2011-08 | - |
dc.identifier.other | 11948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9799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2011.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평생학습공동체의 핵심 요소인 평생학습활동을 인간의 생명과정으로 전제하고, 이러한 평생학습공동체를 형성하는 공동체학습 활동과정을 생태학적으로 조망하여 그 특성을 밝힘으로써, 평생학습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생명성, 상호작용으로 지속가능한 성장과 변화의 메커니즘으로서의 평생교육학적 의의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평생학습공동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을 생태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거나, 평생학습 현장과 현상을 탐구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학습공동체를 보는 관점에 따라 공동체 자체를 학습공동체로 보는 광의적 개념과 학습을 주목적으로 하는 집단을 학습공동체로 보는 협의적 개념으로 이분화되어 연구가 진행되어왔는데, 이러한 연구가 학습과정이나 학습주체, 학습 촉진방안 등 학습이라는 요소에만 초점이 맞추어지다보니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전체적인 학습현상을 깊게 고찰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안에서의 평생학습을 다루는 데 있어 구성원들의 학습결과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 초점을 두고 그 전개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현상을 생태학적으로 접근하여 그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행군마을에서 이루어진 평생학습마을 조성을 위한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행군마을 배움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공동체 학습활동 과정을 참여 관찰하고, 참여자들의 요인 및 비공식면담, 제보자, 문헌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행군마을의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은 기반 조성기, 적응기, 유지기, 성장기 등 4단계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단계인 기반 조성기에는 마을회관의 기능과 역할의 재구조화를 통해 평생학습체제 기반을 조성하였다. 두 번째 적응기는 질서와 혼돈이 공존했던 시기로 일상적 삶과 평생학습 환경 간의 괴리감과 내재적 갈등, 리더의 교체 등 혼돈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행군마을 주민들의 수용적 태도와 신임이장의 책임감과 리더들 간의 연대로 정체성을 확립하면서 오히려 평생학습 활동영역을 확장하는 창발현상을 통하여 혼돈의 가장자리로 진입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세 번째 유지기는 공동체 학습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된 시기로 배움터 사업이 정착하며 마을주민들의 다양한 참여성향, 가시적인 학습 성과, 학습효과성 등으로 성취감과 학습전이가 일어났다. 네 번째 성장기는 삶과 학습이 조화롭게 이루어진 참획의 시기로 자발성과 능동성을 전제로 한 역동적인 공동체 참여 학습이 확장되며 전개되었다. 이러한 네 단계에 걸친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을 통해 행군마을에는 구조적, 주체적, 학습활동, 네트워크 등 4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첫째, 마을회관에서 배움터로의 구조적인 변화를 비롯하여 문화적, 인지적 변화를 통한 평생학습마을로의 틀 바꿈이 일어났다. 둘째, 행군마을 주민들은 주변인에서 수용적 학습자로의 변화를 거쳐, 학습주체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능동적인 구성적 인식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역동적인 학습유기체로 변화되었다. 셋째, 호혜적인 공동체 참여 학습을 비롯하여, 상호 의존적인 상호학습과 협력학습, 생활과 밀접한 쓰임새학습의 생활화로 상생의 학습추동력과 그 생명력을 유지하였다. 넷째, 서로 호혜적이고 의존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수평적이고 다양한 평생학습관계망을 형성하였다. 지금까지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과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생태학적 특성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행군마을의 평생학습공동체를 형성하는 운영체제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복잡성을 띠고 있었다. 둘째, 평생학습의 생명력을 유지하는 능동적인 학습주체들은 자기진화를 거쳐 외연적 관계들과 상호작용하며 함께 성장하는 과정 속에 평생학습의 공진화체계가 이루어졌다. 셋째, 개인과 마을의 성장을 위한 상호 신뢰와 협조를 바탕으로 상호 의존적인 평생학습망이 형성되었다. 넷째, 다양한 학습관계 맺기를 통하여 ‘강사의존성·리더 신뢰성·수용성’, ‘자기 조직성·능동성’, ‘상호역동성·구성적·분화성’ ‘상호역동성·통합성’ 등 성장 메커니즘으로서의 학습역동의 특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와 가치로는 첫째, 평생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학습역동은 다양한 배움의 기회제공은 물론 개인과 마을의 성장 기제로 발휘되는 등 평생학습의 도구화가 아닌 평생학습 자체가 주요 목적사업으로 진화하고 성장하는 성장체제로서의 평생학습적 의미를 갖는다. 둘째, 호혜적 외부기관 및 전문가(학습그루)들과의 ‘학습 관계 맺기’는 인적‧물적 자원이 열악한 농촌고령화마을에서의 학습활동을 전개하고 기반을 확고히 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마을 구성원들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평생학습활동의 기틀을 마련함으로써 총체적 평생학습 관계망 속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셋째,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의 생태학적 조망은 평생학습공동체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연구 지평이 확대되고 학문적 논의 활성화와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 가능성을 마련했다는데 그 가치가 있다. 마지막으로 평생학습공동체 연구의 새로운 접근방법은 기존의 학습공동체에 대한 개념을 재해석하고 그 공동체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메커니즘으로서의 평생학습을 조명하는 데 큰 가치가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공동체 개념 및 정의의 한계를 느끼며 평생학습공동체를 재해석함으로써 향후 후속연구에서도 이러한 평생학습공동체에 대한 재해석 논의가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되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둘째, 본 연구는 평생학습공동체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생태학적 접근 가능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평생교육 분야에서의 선행연구 부족으로 인한 한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평생학습 공동체 연구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의 가능성과 가치를 보여주는 데에 공헌한 바, 향후 학습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평생학습공동체에 대한 논의가 심도 있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에서는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있어 외부적 요인들에 대하여 단순한 촉발요인으로 규정짓고 깊게 고찰하지 않았으나,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령화된 농촌마을인 행군마을의 경우 열악한 인적·물적 자원을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외적요인의 중요성이 발견된 바,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외부적 요소들의 기능과 역할 등을 깊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I. 서 론 = 1 1. 문제 제기 = 1 2. 연구 문제 = 3 3.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1. 평생학습공동체의 이해 = 5 2.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의 이론적 탐구 = 13 3. 평생학습공동체의 생태학적 접근 = 16 Ⅲ. 연구방법 = 30 1. 현장 이해와 연구 구상 = 30 2. 자료 수집과 자료 분석 = 35 3. 책임성과 연구 윤리 = 37 Ⅳ. 행군마을의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 = 40 1. 행군마을의 구성적 맥락 이해 = 40 2. 마을배움터로의 재구조화 : 기반 조성기 = 48 3. 질서와 혼돈사이 : 적응기 = 54 4. 공동체학습활동 전개 : 유지기 = 60 5. 참획의 삶과 학습의 조화 : 성장기 = 68 Ⅴ.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행군마을의 변화= 74 1. 평생학습마을로의 틀 바꿈 = 74 2. 성장하는 역동적 학습주체 = 76 3. 상생의 학습추동력과 폐기학습 = 95 4. 호혜적 평생학습 네트워크 형성 = 104 Ⅵ. 분석 및 논의 = 119 1. 역동적 상호작용의 평생학습운영체계의 복잡성 = 119 2. 평생학습의 공진화 = 122 3. 상호 호혜적 평생학습망 = 123 4. 성장 메커니즘으로서의 학습역동 = 125 Ⅶ. 요약 및 결론 = 129 1. 요약 = 129 2. 결론 = 136 참고문헌 = 140 ABSTRACT = 156 부록 1. 전사자료 = 159 부록 2. 분석자료 = 162 부록 3. 연구참여동의서 = 164 |표 목차 표 1. 면담 참여자 배경변인(요인 및 비공식면담) = 33 표 2. 행군마을 주민의 구성적 맥락 이해 = 47 표 3. 행군마을 배움터 프로그램 현황 = 60 표 4. 행군마을의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 분석 내용 = 73 표 5.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행군마을의 변화 분석 내용 = 118 표 6.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의 생태학적 특성 분석 내용 = 128 그림 목차 그림 1. 학습공동체에 대한 복합 정의 = 9 그림 2.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 따른 학습역동 = 127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의 생태학적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Park, Sun Kyoung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Sun Kyou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 |
dc.date.awarded | 2011.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9617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48 | - |
dc.subject.keyword |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 | - |
dc.subject.keyword | 학습생태계 | - |
dc.subject.keyword | 생태학적 접근 | - |
dc.subject.keyword | 공동체 학습 | - |
dc.subject.keyword | 학습관계 | - |
dc.subject.keyword | 복잡성과 공진화 | - |
dc.subject.keyword | 평생학습망 | - |
dc.subject.keyword | 학습역동 | - |
dc.subject.keyword | 쓰임새학습 | - |
dc.subject.keyword | 폐기학습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ABSTRACT An Ecological Study on the Proces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Development Park, Sun-kyoung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The essential factor of this study regards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as the life process of human being. Looking through the formation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with ecological view,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harmony of human and vitality through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as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oncept of the mechanism change. Although much research has conducted abou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little known abou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in perspective of ecology. As the perspective of learning community, a community is differentiated in two other meaning; one regards community as learning community in broad meaning, the other sees only purposed learning group as learning community. These kinds of perspectives limit focuses on the learning process, the learning subject, the way to promote learning. Because of that, the learning phenomena in the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is not reflected.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does not try to focus on the result of learning but provides the learning phenomena character in view of ecological approach within the form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members and environment.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proces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in Hang Gun, this study us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four steps as the formation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in Hang Gun; foundation forming, adopting, maintaining, growing. First, in foundation forming, the function and role of community hall is restructured. In adopting stage, in spite of confliction between the gap of routine life and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chaotic situation like the replacement of leader, the leadership of new village foreman and the residents of receptive attitude make it possible to establish identity toward edge of chaos. In the period of maintaining, the learning policy was established. Residents participate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nd the learning outcome were vividly visible. This learning effect goes with satisfaction and learning transfer. The community participating learning is extended with participating and planning over participating based on spontaneity and activity. Through this lifelong learning process, structure, independent, learning activity, and network have been changed. Firstly, the whole structure of village was transformed through cultural, cognitive changes into lifelong learning village. Plus, the community hall performs as a learning place. Secondly, residents are changed into dynamic active learner through receptive learner from outsider. Thirdly, the vitality and impetus of learning community are maintained by reciprocally participation learning, interact dependant mutual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usage learning as ordinary life style. Lastly, mutual reciprocal and dependant interaction make it possible to form lifelong learning networks. So far now, some ecological character are found out through looking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change. First, the operation system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consists of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interact dynamically with complexity. Active learners who keep the vitality of learning ability grow up with interacting outer relationship. Active learners and outer relationship convolute each other. Second, the foundation of lifelong learning networks is based on mutual belief and cooperation for both personal and village growth. Through various learning relationship, 'dependent on lecturer·the belief of leader·acceptability', 'self-systemicity·activity', 'interpersonal dynamic·constructive·differentiating' 'interpersonal dynamic·integrity' was the character of learning dynamic. The implication and value of this study can verified in following. First, the lifelong learning process itself became the purpose of main policy not regarding lifelong learning as a tool In this process, lifelong learning does not represent means of tool but growth system. Second, the ‘contracting learning relationship' with reciprocal external institutions and specialists contributes the firm formation of on going learning activities with not enough human? physical resources in farm aging village. It makes residents participate actively and voluntary to form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All these activities implies significant meaning in whole lifelong learning networks. Third, this study triggers the variety of study prospect and activate practical adoptable possibility to lifelong education field. At last, the new way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study has importance on focusing lifelong learning as mechanism to change community and reinterpret the approaching way of existing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proposes followings for the future research. First, follow-up studies have to cover various perspectives related to lifelong learning community. previous studies have limited perspective toward lifelong learning community. Second, this study has limit because of limited precedent studies. In later studies, the approach of learning ecology should be discussed deeply based on this study. Third, precedent studies have not focused on external factors as only simple trigger factor. However, farm aging village does not have proper human? physical resources, external factors have significant roles to overcome the situation. Thus, research on external factor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carefully conducted in the futur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