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전도를 기반으로 한 어깨관절 가동범위 분류 및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명철-
dc.contributor.author곽두환-
dc.date.accessioned2018-11-08T08:02:33Z-
dc.date.available2018-11-08T08:02:33Z-
dc.date.issued2013-02-
dc.identifier.other13409-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9734-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공학과,2013. 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동작분석기와 EMG를 사용하여 어깨 관절 가동범위 및 어깨 관련 근육의 근 활성도 평가 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근육의 근 활성도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 구간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실험의 피 실험자는 남성 10명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어깨 관절 가동범위와 이때 발생되는 근 활성도는 3차원 동작분석기와 무선 표면 근전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ummation 근 활성도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방향과 가동범위에 따라 Summation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외전, 굴곡, 내전, 신전, 외 회전, 내 회전 순으로 Summation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Summation 근 활성도를 토대로 동작 구간을 구분하면, 굴곡 동작 5 그룹, 신전 동작 3 그룹, 외전동작 6 그룹, 내전동작 5그룹, 외 회전동작 3 그룹, 내 회전동작 3 그룹으로 구분된다. 어깨 근육에 대한 근 활성도 분산 분석 결과 방향, 가동범위, 근육에 따라 각 근육의 근 활성도는 모두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전, 굴곡, 내전, 신전, 외 회전, 내 회전 순으로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방향에 따라 각 근육의 근 활성도 결과를 비교해보면, 굴곡 동작은 전면삼각근, 중앙삼각근이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흉근이 근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신전 동작은 극하근, 중앙삼각근이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흉근이 근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외전 동작은 중부 승모근, 중앙삼각근이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흉근이 근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내전 동작은 전면삼각근, 중부 승모근이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흉근이 근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외 회전 동작은 극하근, 대원근이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중앙 삼각근이 근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내 회전 동작은 하부 승모근 근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후면 삼각근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동적인 자세 평가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데 참고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감사의 글 iv 국문요약 v 제1장 서론 1 제2장 문헌 조사 4 제1절 상지 관련 생체역학 정보 4 제2절 관절 가동범위에 대한 정보 5 제3절 위팔 체절의 관절 가동범위 7 제4절 위팔 동작 시 사용되는 근육 9 제5절 위팔 동작 시 사용되는 각 근육의 근활성도 평가 13 제3장 실험 방법 15 제1절 피 실험자 15 제2절 실험 장비 15 제3절 상지 모델 16 제4절 실험 계획 20 제5절 실험 절차 22 제6절 데이터 분석 29 제4장 결과 31 제1절 가동 범위 31 제2절 Summation 근 활성도 32 제3절 어깨 근육에 대한 근 활성도 49 제5장 결론 및 검토 62 제1절 가동 범위 62 제2절 Summation 근 활성도 63 제3절 어깨 근육에 대한 근 활성도 75 제4절 현 연구의 장점 및 활용방안 81 제5절 향후 연구과제 82 참고문헌 83 Abstract 8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근전도를 기반으로 한 어깨관절 가동범위 분류 및 평가-
dc.title.alternativeDoo Hwan Kwak-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Doo Hwan Kwak-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산업공학과-
dc.date.awarded2013.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70907-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409-
dc.subject.keyword근전도-
dc.subject.keyword가동범위-
dc.subject.keyword어깨 관절-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