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O 침지법을 거친 폐오일샌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광물고정화 반응 공정 모사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n the Process Simulation of Carbon Dioxide Mineral Carbonation using Spent Oil Sand through CaO Soaking
Author(s)
박성권
Alternative Author(s)
Sung-Kwon Park
Advisor
김형택
Department
일반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부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0-08
Language
kor
Keyword
CO2 fixation광물고정화
Abstract
오일샌드는 비츄멘(Bitumen)이라 하는 중질유와 모래, 점토, 흙 등이 섞여 있는 것을 말하는데, 이 오일샌드에서 비츄멘을 추출하는 공정에서 비츄멘이 추출된 후 남게되는 폐오일샌드와 추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천연가스로 인해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여기서 발생하는 폐오일샌드와 이산화탄소의 후처리가 필요해짐에 따라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이산화탄소 저장 방법 중 광물고정화 방법을 이용하여 폐오일샌드에 이산화탄소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또한 이를 통해 연속식 이산화탄소 고정화 반응 공정 모사에 관해 다루었다. 비츄멘을 추출하고 남은 폐오일샌드에는 XRF분석 결과 이산화탄소 광물고정화에 필요한 Mg, Ca등의 알칼리 토금속 성분이 거의 전무하므로 1 M의 CaO 혼합수액을 이용하여 폐오일샌드를 3 hr동안 침지함으로써 부족한 Ca를 첨가하여 이산화탄소와의 탄산염 반응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2M의 황산 수용액을 이용하여 2 hr동안 침지시켜 전처리를 수행해 폐오일샌드의 비표면적을 크게 하여 CaO 혼합수액에서의 CaO 입자가 폐오일샌드 입자와 잘 흡착하게 만들어 이산화탄소와의 고정화 반응이 더욱 수월하게 하였다. 전처리가 끝난 폐오일샌드는 이산화탄소와의 탄산화 반응성이 어떤 조건에서 가장 큰 반응성 조건을 갖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온도, 압력, 시간을 변수로 최적 반응 조건 도출 실험을 하였다. 반응성 실험은 전처리된 폐오일샌드와 CO2를 반응시킨 후 반응물인 CaCO3를 열중량 분석(TGA:Thermogravimetry)을 통해 600~800 ℃에서 탈탄산화 시키면서 빠져나간 CO2의 무게를 측정하여 탄산염 반응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은 먼저 반응 시간을 변수로 하여 1, 2, 3, 4, 5, 6, 10 hr 의 7가지 시간 조건으로 반응성 실험을 한 결과 5 hr에서 28.31 %의 질량감손률을 보여 가장 큰 탄산화 반응성이 확인되었고, 반응 온도를 변수로 하여 300, 400, 500, 600, 700 ℃ 등의 5가지 온도 조건으로 실험을 한 결과 500 ℃에서 28.74 %의 질량감손률을 보여 가장 큰 탄산화 반응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반응 압력을 1, 5, 10, 25, 40 atm으로 하여 각각 실험해본 결과 25 atm에서 12.42 %의 질량감손률을 보여 가장 큰 탄산화 반응성을 지닌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폐오일샌드와 이산화탄소와의 고정화 반응 공정을 Aspen plus를 통하여 모사해보고 앞선 실험 결과들을 대입해 본 결과 탄산염 전환율이 97.1 %로, 실험시 도출되었던 45~77 %보다 월등히 높은 결과가 나타나 실험에서 도출된 최적 조건 입력시 거의 이론상 최대 전환율과 가까운 반응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989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Energy Systems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