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효과성 인식의 영향요인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왕재선 | - |
dc.contributor.author | 노창규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56:51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56:51Z | - |
dc.date.issued | 2011-02 | - |
dc.identifier.other | 1144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850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행정학과,2011. 2 | - |
dc.description.abstract |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은 일자리로부터 배제되어 있는 취약 계층에게 일자리를 공급함으로서 그들의 경제적 안정을 도모할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자립․자활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자본주의 체제 아래 큰 경제적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동시에 일자리를 잃어버리는 취약 계층의 숫자도 크게 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에 대한 관심은 세계적으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관심의 고조로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일자리 창출사업 참여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회적 기업의 역할에 관한 연구,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 등으로 그 유형을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연구의 대상자를 사업 참여자로만 한정하고 있거나 정책적 측면의 시각에서 봤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을 시행하는 실무자를 중심으로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과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실무자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서 보다 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에 관한 연구가 고령자 고용의 관점에서 많이 고찰된 것과 달리 취약계층 고용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연구의 대상 역시 사업 참여자가 아닌 기관 실무자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첫째, 실무자의 성별과 연령, 근무 기간의 개인적 속성은 사업효과성 인식에 일부 속성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실무자의 근무여건과 사업효과성 인식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무자의 직무만족, 사업평가, 사업인식은 모두가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효과성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에 있어 사회적 일자리창출사업의 효과를 단순히 경제적 지위 상승에 둘 것이 아니라 다각적인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직무여건에 있어 업무의 양이나 육체적 문제보다는 기관의 환경이나 동료와의 관계가 사업효과성에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사회적일자리사업을 참여하는 기관마다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불어 실무자의 인식은 사회적 일자리 사업의 효과성에 큰 영향을 미침으로 사업효과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업과정과 사업평가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실무자 역시 사업과정에서 취약계층의 고용창출과 함께 이에 따른 수익 또한 취약계층의 자립을 위해 재투자 되어야 하는 공공재임을 다시 한 번 되새기는 인식이 필요 할 것이다. 또한 예비사회적기업의 실무자로서 지역사회통합, 취업제공, 사회서비스 확충, 조기자립기반조성 등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 인해 표본의 대상이 제한적이었음으로 이를 토대로 전반적인 사업효과성 인식을 살펴보기에는 한계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토대로 더욱 넓은 범위의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3. 연구 질문 4 Ⅱ. 이론적 배경 5 1. 사회적 일자리의 개념 및 특성 5 2.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관련 선행 연구 고찰 11 Ⅲ.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정책 현황 18 1.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정책의 전개 과정 18 2.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현황 20 3.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정책의 평가 27 Ⅳ. 연구방법 29 1. 자료수집 29 2. 변수측정 31 Ⅴ. 연구결과 34 1. 신뢰도 분석 34 2. 사업효과성에 대한 인식 분석 36 3. 사업효과성 인식과 각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 분석 43 4. 사업효과성 인식의 영향요인 분석 45 Ⅵ. 결론 48 참고문헌 51 설문지 53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 효과성 인식의 영향요인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Roh, Chang-Gyu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Roh, Chang-Gyu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공공정책대학원 행정학과 | - |
dc.date.awarded | 2011.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9350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449 | - |
dc.subject.keyword | 사회적일자리 | - |
dc.subject.keyword | 일자리창출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e social employment creation project is aimed at promoting the vulnerable class' economic stability and offering them a chance to stand on their own and support them through providing jobs to them who are left out of these jobs. How sad that the big economic development coexists with the big numbers of people who lose their jobs under the capitalist system. Thus the world is interested in the social employment creation project, and Korea is no exception. For the highly-elated, we become to realize the needs of the social employment creation project, and also studies about it get to be active. According to the stream, previous studies are classified as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he social job participant, the role of the social enterprise,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social employment creation project. But most studies limit the object of them to the job participant or see from the policy perspective. So the study is to discuss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employment creation project of the workers who perform the project, and suggest the method for better efficiency by looking into the understanding of its efficiency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er's private characteristics of gender, age and service term exerted partly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ject's efficiency. Second, relations between the worker's working condition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project's efficiency were no significant. Third, the worker's job satisfaction, project evaluation, and project understanding significantly exerted influenc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ject's efficiency.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er's policy proposals from the results. First of all, people who educate the worker to the social employment creation project shouldn't put emphasis its effect on the upturn of economic position, should educate to approach from multilateral aspects, and evaluate them by various relational aspects as well as working or keeping employment. Next considering i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each organization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ts environment and relations between colleagues, because not the amount of work they do or physical fatigue but environment and relations can have an effect on the project's efficiency. And because the worker's awareness has more influence on the project's efficiency, each organization should be interested in its process and evaluation to reinforce it. Also the workers need to ruminate up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social employment creation project is aim at not generating profits, but the class' job creation, and its profits are public goods to be reinvested for their self-reliance. And as the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workers, they should try to promote its progress to social enterprises through the integration into the community, offering jobs, expanding social service, creating the early self-reliance base, etc. Finally, because the study performs a questionnaire on the worker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e samples are restrictive and their numbers are not enough, so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to se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its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thus it is expected that afterwards diverse and in-depth researches will be made with this study. | - |
dc.title.subtitle | 사회복지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