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단지 출입구 차량 진출입 동선과 회차공간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諸海成-
dc.contributor.author정세훈-
dc.date.accessioned2018-11-08T07:56:22Z-
dc.date.available2018-11-08T07:56:22Z-
dc.date.issued2011-02-
dc.identifier.other11434-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678-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2011. 2-
dc.description.abstract아파트 단지 출입구는 공적공간인 도시가로와 사적공간인 주거단지를 연결하는 접점이며 사회적, 물리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전이공간 이다. 그러나 과거 단지 출입구는 단순히 보행자와 자동차의 진출입 기능만을 고려해 보도와 차도, 경비실 설치 등에 국한되어왔다. 2000년이후 Sh공사, 대한주택공사(현, LH)등 공사 중심으로 공동주택 현상설계가 활발히 도입되면서 설계 수준의 질적 향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다.이 결과 최근 단지계획 경향중의 하나는 녹지공간의 확대와 옥외공간 로그램 다양화 등 주거만족도 향상을 위해 지상의 주차장과 차량동선을 최소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아파트 브랜드의 등장으로 다양한 특화 계획요소를 도입하고 있으며 특히 단지 출입구 문주는 대부분의 건설사에서 차별화 계획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단지 출입구의 계획은 디자인 요소 중심으로 치우쳐 있고 자동차의 통행, 보행자의 안전 확보등 가장 중요한 기능적 요소는 배제되고 있는 실정 이다. 이는 보행자와 차량의 통과 기능만을 고려한 계획으로 원활한 흐름을 위한 진출입 차로배분 자가나 서비스차량 이용자를 위한 승하차장과 회차로 등 단지 출입구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행위를 고려한 동선계획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유치원차, 학원차를 이용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안전사고는 증가하고 있으며, 택시 등 서비스 차량의 대기와 승하차가 출입구 주변 도로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이용자의 안전 및 교통흐름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전국의 80개 입주단지를 대상으로 현황분석 결과 500세대이상 단지의 출입구에서 3개 차로로 계획된 사례가 41.3% 가장 많았고 세부적으로 진입2+진출1 차로유형 45.5%, 진출2+진입1 차로 유형 54.5%의 비율로 나타났다. 차량 진출입 대기공간의 유무를 파악할수 있는 차량통제 차단기의 경우 단지경계부에 설치된 사례가 45.0%, 셋백된 사례가 55.0%로 파악되었다. 회차공간(승하차장 및 회차로)의 경우 적용된 사례는 3개 단지에 불과 했다. 이는 단지출입구에서 발생하는 차량정체와 증가하는 외부차량에 대한 처리 계획 없이 단순 통과 기능만을 고려해 계획된 결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현재 주택건설기준등에 규정 등 법규상 관련 기능의 설치 기준은 없으며 도입기능에 관한 연구도미 비 한 실정 이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지 출입구의 차량대기공간과 진출입 차로배분, 회차공간이 거주자 및 이용자의 진출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민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이들 계획 요소들이 차량진출입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함으로써 향후 단지설계 과정에서 단지 출입구 계획을 위한 실질적인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은 차량 진출입 동선의 유형분류와 유형별 거주자 의식조사 이용자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의 고찰과 현황분석을 통해 단지 출입구의 기능적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차량동선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용인시와 화성시의 아파트를 대상으로 9개의 유형별 대표 단지를 선정하여 경비실 위치, 진출입 차로배분, 차단기 설치 위치, 승하차장, 회차로의 5가지 계획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경비원, 학원차 운전자등 이용자의 심층면접을 통해 현재 단지 출입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로수와 경비실 위치가 차량 진출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지 출입구의 차로는 3개 차로보다 4개 차로로 계획된 단지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비실 위치는 진출방향 설치보다 진입방향 설치 단지의 거주자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외부차량 진입시 관리 보다 용이하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모든 단지에서 출입구의 차로배분은 진출로보다 진입로가 많은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층면접에서 확인된 차량정체의 주원인인 외부차량 진입시 발생하는 차량정체에 대한 주의식이 반영된 결과이며, 3개 차로로 계획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판단된다. 셋째, 차량 통제 차단기 위치는 조사대상 모든 단지에서 경계부 설치보다 셋백 설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층면접에서 확인된 진출입시 교차로 정체 및 접촉사고에 대한 주민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진출입 차량의 대기공간 확보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향후 단지설계 과정에서 차량 통제 차단기의 설치 위치는 진출입 차량의 대기공간 확보 가 가능하도록 단지별 현황에 따라 셋백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료된다. 넷째, 단지 출입구에 서비스차량을 위한 승하차장과 회차로가 차량 진출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회차공간(승하차장+회차로)이 계획된 단지의 만족도가 계획되지 않은 단지의 만족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조사 대상 단지에서 회차공간 설치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단지 출입구에서 회차공간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시사하며 향후 단지계획시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마지막으로, 회차공간 설치시 검토사항을 도출하였다. 회차공간의 위치는 거주자와 관리자 모두 차량통제 차단기 진입 전 단지 외부공간에 설치 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최근 학원차의 크기는 25인승 이상 대형 차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한 승하차장과 회차로의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보행로와 회차공간은 분리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문제 1 1.1.1 연구의 배경 1 1.1.2 연구의 목적 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2.1 연구의 범위 3 1.2.2 연구의 방법 4 1.3 용어의 정의 6 1.4 연구의 과정 7 제2장 이론적 고찰 9 2.1 단지 출입구 관련 계획기준 9 2.1.1 대한주택공사 계획기준 9 2.1.2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정 10 2.1.3 주택건설기준등에 관한 규칙 12 2.1.4 도로의구조시설등에 관한 규칙 14 2.2 단지 출입구에 관한 선행연구의 고찰 16 2.2.1 단지 출입구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16 2.2.2 단지 출입구의 교통시설에 관한 연구 17 2.3 회차공간의 정의 18 2.3.1 회차공간의 개념 18 2.3.2 회차공간 계획사례 18 2.4 소결 20 2.4.1 단지 출입구 관련 계획기준 20 2.4.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0 제3장 아파트 단지 출입구 현황분석 23 3.1 아파트 단지 출입구 조사 23 3.1.1 조사단지의 선정 및 방법 23 3.1.2 단지 출입구 계획현황 24 3.2 아파트 단지 출입구 현황분석 35 3.2.1 계획요소별 적용현황 35 3.2.2 차량 진출입 동선 유형분류 38 3.3 소 결 40 제4장 단지 출입구 계획요소별 사용자 평가 43 4.1 조사 개요 43 4.1.1 조사의 목적 43 4.1.2 조사대상 단지개요 43 4.1.3 조사의 방법 47 4.1.4 자료의 분석방법 51 4.2 거주자 설문조사 52 4.2.1 단지별 표본의 특성 52 4.2.2 계획요소에 대한 만족도 55 4.2.3 진출입 차로수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56 4.2.4 진출입 차로배분에 대한 거주자 의식분석 56 4.2.5 차량통제 차단기 설치위치에 대한 거주자 의식분석 57 4.2.6 경비실 설치위치에 대한 거주자 의식분석 58 4.2.7 회차공간에 대한 거주자 의식분석 59 4.3 이용자 심층면접 61 4.3.1 단지별 표본의 특성 61 4.3.2 승용차량 진출입에 관한 심층면접 62 4.3.3 서비스차량 진출입에 관한 심층면접 64 4.4 소결 66 제5장 결론 69 5.1 연구의 결과 69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70 참고문헌 72 부록 74 Abstract 79-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아파트 단지 출입구 차량 진출입 동선과 회차공간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Jeong, Se-Ho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g, Se-Hoon-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1.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9292-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434-
dc.subject.keyword아파트 단지-
dc.subject.keyword출입구-
dc.subject.keyword차량 진출입-
dc.subject.keyword동선-
dc.subject.keyword회차공간-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apartment complex gate area is a point of contact between public space, that is the urban street, and private space, that is the resident area, and it is also important transitional space where social and physical exchanges occur. However, in the past, this gate area only had limited functions of managing inflows and outflows of pedestrians and curs: thus there were only sidewalks, roadways, and security offices. Since 2000, due to active discussion of apartment housing designs in SH Construction and Korea Housing Corporation (now LH), the design quality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One of the recent trends in the site planning is expanding green spaces and diversifying outdoor programs, and the spaces allotted for upper ground parking and vehicular circulation are minimized in order to increase residents' satisfaction. Furthermore with the advent of apartment brand value, various differentiating factors are introduced, and erecting a stone monument at the front of the apartment village has been used as such factor by most construction companies. However, focusing entirely on planning apartment gate area gives most weight to design element and excludes other important functional elements, such as vehicular circulation and safety. The current plans considered only the passage of pedestrians and cars, and a plan that takes into account various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the apartment gate area, such as apportioning of the roadways for inflows and outflows for smooth traffic, and drop-off and turning zones for cars and users of service shuttles, is lacking at the moment. Specifically, the number of negligent accidents that involve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use kindergarten or academic institution shuttles has been increasing and as taxis' and service shuttles' wait time and drop-offs usually occur near the gate area, this causes safety risks and inconvenience to other users. Analyzing conditions of 80 apartment complex nationwide from 2005 to 2009, the paper found that, for apartment complex with more than 500 households, the highest number was found to have 3 lanes in the gate area (41.3%), and 45.5% had 2-lane entry and 54.5% had 2-lane exit. As for traffic regulator that can identify presence and absence of waiting space, 45.0% had installed it in the housing boundary, 55.0% had reported set-backs. As for drop-off zone (drop-off and turning zone), only 3 apartment complex had it. This is a necessary consequence of considering only the passage function without giving regards to the stopped traffic and the increased number of outside cars that can occur in the gate area. However, at present, there are no legal ordinances dealing with the subject and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conducted on its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of constructing car waiting area, allotting traffic lanes for inflows and outflows, and constructing drop-off zones in the gate area on the residents' and other users' satisfaction rate, and to examine residents' preferences. As the paper explains the effects of various planning elements on inflows and outflows, its findings can be used as practical guide for planning apartment complex gate area in the future. As research methodology, the paper classified vehicular circulation, conducted attitude survey on residents per type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n users. Through reviewing prior researches and relevant literature, and analyzing present conditions, the paper identified planning elements of the apartment gate area, and classified types of vehicular circulation. Focusing on apartments in Youngin City and Hwaseong City, the paper selected 9 representative types of apartment complex, and conducted survey about five types of planning elements, namely, location of security office, allotment of inflow and outflow traffic, installment of traffic regulator, drop-off zone, and turning tone. Furthermo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curity guards and shuttle bus drivers, the paper discovered some problem areas and examined ways to resolve them.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the paper found that number of lanes and location of security office affected satisfaction rate on car's entry and exit. People tended to prefer 4 lanes over 3 lanes in the apartment complex gate area. As for the location of security office, having it near the entry lane was preferable over having it near the exit lane.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easiness of regulating the entry of outside cars. Second, as for lane allotment in the gate area,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people preferred there being more lanes allotted for entry area than for exit area. Through in-depth interview, the paper found that this was the result of the stopped traffic when outside cars enter the village, the main cause for the stopped traffic; thi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building 3-lane roadways. Third as for the location of traffic regulator, people preferred set-back installation over boundary install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 the paper found that this was the result of the occurrences of stopped traffic and minor collision during inflows and outflows, and this indicated the need to secure waiting space for entering and exiting cars. Therefore, the traffic regulator is better to be installed as set-back depending on each apartment complex's conditions after waiting space has been secured. Fourth, the paper found that drop-off and turning zones for service shuttles around gate area affected satisfaction rate on vehicular access to gate. People showed higher rate of satisfaction in apartment complex that had drop-off zones (drop-off and turning zones) than those that did not. Furthermore, in all apartment complex, people showed high for the of indicat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nstructing drop-off zones in gate area and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future construction. Lastly, the paper deduced a checklist in installing drop-off zones. Both the residents and managers preferred that it be located before traffic regulator in a place outside the apartment village. Lately, a number of large-sized shuttle bus accommodating over 25 person has increased, and this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constructing drop-off and fuming zones. Further, pedestrian road and turriing zones must be separately build for pedestrian safety.-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Architec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