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건축물 본인증 공동주택의 거주 후 평가에 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李揆仁 | - |
dc.contributor.author | 김부희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56:21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56:21Z | - |
dc.date.issued | 2011-02 | - |
dc.identifier.other | 1131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67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2011. 2 | - |
dc.description.abstract | 건축에서 친환경성을 강조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친환경 건축은 건축의 활동 자체가 환경을 파괴하는 행위이므로 건축 활동을 최소화시켜야 한다는 소극적 친환경 건축과 건축의 환경에 대한 부하를 인정하되 오히려 건축활동과 파괴된 환경의 복원을 함께하는 적극적 친환경 건축의 두 가지 서로 다른 개념으로 접근되어 왔다. 이 두 가지 개념 중에서 적극적 친환경 건축의 개념으로 시도된 접근 중의 하나가 건축물의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인증시스템이다. 본 연구는 친환경 건축물 본인증을 획득한 공동주택단지 세 곳을 대상으로 거주자들의 친환경 인증에 대한 인식 조사와 인증 평가지표 항목에 대한 만족도 및 불만족의 원인을 조사하고, 인증 득점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 인증기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현재 시행중인 친환경 인증제도의 평가지표를 분석해보면 평가의 내용이 토지이용, 에너지 및 자원, 생태환경, 실내 환경 등의 폭넓은 평가범위에 대하여 일부 항목에 의해 포괄적이고 단순한 기준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 실질적으로 생활하고 있는 거주자들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아 거주자 측면의 평가지표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친환경 건축물 본인증을 획득한지 최소 1년이 넘은 세 단지를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각 단지가 공통적으로 득점한 항목에 대하여 거주자들에게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평가항목에 대해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은 친환경 주거단지에 관련된 연구문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전문가의 자문과 연구진들의 심층적인 토론과정을 거쳐 주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생활하면서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는 17가지의 평가항목을 뽑아 설문 항목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거주자 만족도를 7점 척도를 통해 매우 불만족(-3점)에서 매우 만족(+3점)까지로 조사하였다. 거주자의 친환경 인증제도에 관한 의식 조사결과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대다수의 거주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득점비율은 A단지, B단지, C단지 순으로 나왔으나 만족도는 B단지, C단지, A단지순으로 나와 득점을 가장 많이 한 A단지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왔으며 친환경 인증제도에 대한 득점비율과 만족도를 상관분석 결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어 이 연구의 결과인 평가지표의 개선방안을 통해 득점과 만족도의 상관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인증제도의 개선방향으로는 친환경성에 대한 득점과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1그룹(만족도 및 득점비율 평균이상), 2그룹(득점비율은 평균 이상, 만족도 평균 이하), 3그룹(만족도 및 득점비율 평균이하), 4그룹(만족도는 평균 이상, 득점비율 평균이하)으로 나누어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친환경 건축물 본인증을 획득한지 1년 이상 된 공동주택단지 세 곳을 대상으로 거주자들의 친환경 인증에 대한 인식 조사와 인증 평가기준 항목에 대한 득점과 만족도 및 불만족 원인을 조사하여 단지간의 득점 비교분석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거주자 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거주자 만족도의 효과적인 향상을 위한 평가항목의 우선순위와 인증제도 개선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개선 시 방향 설정의 근거 자료로 활용하여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건축물과 외부공간에만 국한된 평가가 아닌 공동주택 단지의 유지관리와 그 지역 특성에 알맞은 인증제도의 개발과 지연환경과의 공존 공생을 통한 주거자의 삶의 질까지 고려하는 평가체계를 확립하는 범위까지 연구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6 2.1 지속가능한 개발 6 2.1.1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과 동향 6 2.1.2 지속가능한 건축설계의 개념 8 2.1.3 지속가능한 주거단지의 계획방법 및 구성요소 10 2.2 친환경 주거 11 2.2.1 친환경 주거단지의 정의 11 2.2.2 환경친화형 주거의 목적 12 2.2.3 환경친화형 주거단지의 발생 배경 13 2.2.4 시대별 환경친화형 주거 14 2.3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 고찰 15 2.3.1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15 2.3.2 국외의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16 2.3.2 국내의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23 2.4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 검토 27 2.4.1 관련 연구현황 27 2.4.2 선행연구와의 차이 31 3장 친환경성 평가지표 설정 33 3.1 거주자 만족도 평가지표 선정과정 33 3.1.1 거주자 만족도 조사를 위한 평가지표 33 3.1.2 거주자 만족도 조사를 설문항목 도출 35 제4장 거주자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 37 4.1 친환경 공동주택의 거주자 만족도 조사 37 4.1.1 조사대상 공동주택의 개요 37 4.2 설문조사 40 4.2.1 설문조사의 개요 40 4.2.2 조사 대상자의 개요 40 4.2.3 조사 대상자의 친환경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43 제5장 만족도 조사결과 분석 46 5.1 인증제도 전체 각 단지 만족도 분석 46 5.2 인증제도 부문별 각 단지 만족도 분석 47 5.2.1 인증제도 평가지표별 각 단지 만족도 분석: 1. 토지이용 및 교통 50 5.2.2 인증제도 평가지표별 각 단지 만족도 분석: 2. 에너지 자원 및 환경부하 54 5.2.3 인증제도 평가지표별 각 단지 만족도 분석: 3. 생태환경 58 5.2.4 인증제도 평가지표별 각 단지 만족도 분석: 4. 실내환경 61 5.2.5 인증제도 평가지표별 각 단지 만족도 분석: 5. 추가항목 63 5.2.6 인증제도 평가지표별 각 단지 만족도 분석: 6. 기타분석 65 5.2.7 만족도 조사결과 종합분석 66 제6장 결론 69 6.1 결론 69 6.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2 참고문헌 부록 감사의글 Abstract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친환경 건축물 본인증 공동주택의 거주 후 평가에 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the KGBCC Certified Apartment Estates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Bue-Hee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
dc.date.awarded | 2011.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9289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314 | - |
dc.subject.keyword | 친환경 건축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Since the environmental friendless has been emphasized in architecture, The two theories, one that building construction activity should be reduced to its nature of destroying the nature, and another that the load the building construction activity should be recognized and restoration effort should be induced along with the construction activity, have been coexisted. Among the approaches based on the latter theory is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ess of a building in quantitative mann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environment friendly structures affects the satisfactory level of residents and suggests the priority of evaluation items and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more effective improvement in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 residents,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on the 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of the residents, and the scores, satisfactory level and unsatisfactory causes on the standard items to evaluate the certification targeted by certified A, B and C complex at least one year old.. S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 ways of KGBCC through Post Occupancy Evaluation in term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valuation index of the 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that has been currently performing, the evaluation has been performed by only some items in a broad range of land usage, energy and resource, ecological environment, and internal environment based on the extensive and simple standard, not considering the life style of the people who are actually living 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ex with considerations on the residents’ position. As a study range, this study took three complexes as a target, which certified at least 1 year old. For the study method, the complexes as evaluating targets have been classified into land usage, transportation, energy, material and resource, environmental pollution, maintenance, ecological environment, and internal environment, and evaluated under the evaluation items, called ‘Environment Friendly Structure Cert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total 44 evaluation items. Then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references related to the environment friendly housing complexes and through the advices from the specialists and the intensive discussion of researchers, the survey questions have been finally prepared with the selected 17 evaluation items in order to evaluate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 residents. The study survey has requested the residents for the evaluation on the housing complexes from Moderate (1 point) to Very Important (7 points) as a maximum 7 points for the satisfactory level. From the result of the survey on how much the residents recognize the 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Many residents are positive in the 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From the result, the 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score rate become firstly A complex, followed by B complex, C complex but Satisfaction level become firstly B complex, followed by C complex, A complex. As a result, Satisfaction level of A complex which get top score in score rate is lowest. from the result of the survey on correlation analysis,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level and score r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ex with considerations on the residents’ position. As a direction to improve the certification system, 4 groups are sugges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friendly scores and satisfactory levels, including Group 1 (both satisfactory level and score rate are higher than average), Group 2 (score rate is higher than average, but satisfactory level is lower than average), Group 3 (both satisfactory level and score rate are lower than average), and Group 4 (satisfactory level is higher than average, but score rate is lower than averag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environment friendly structures affects the satisfactory level of residents and suggests the priority of evaluation items and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more effective improvement in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 residents,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on the environment friendly certification of the residents, and the scores, satisfactory level and unsatisfactory causes on the standard items to evaluate the certification targeted by certified A, B and C complex at least one year old. Based on the result from this study, the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the evaluation standard for the evaluation index by establishing the direction when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environment friendly structures is reformed. Also the study range must be extended to the evaluation system to consider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housing complex and the life quality of the residents through the coexistence of natural environment, rather than limiting to the structures and external space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