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중싱상업지구 보행몰의 계획적 특성과 이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韓知亨 | - |
dc.contributor.author | 한재원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55:56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55:56Z | - |
dc.date.issued | 2011-02 | - |
dc.identifier.other | 11613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532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2011.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도심 보행공간의 활성화는 도시경제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지역의 정체성을 이루게 하는 요소로서, 보행공간의 중요성에 대한 이용자 의식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보행공간에 대한 계획 및 조성에 있어 질적인 측면보다 양적인 측면에 치우쳐 있으며, 보행자중심의 공간이 아닌 전시행정의 결과물로서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이용자를 위한 보행 공간 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 이용자 만족도를 높임으로서 보행공간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요소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못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도시공간의 정체성을 살리고, 보행공간이 단순 통과 및 상업기능의 수행이 아닌 도시 거주민의 일상생활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조성하여 수도권 신도시 중심상업지구 내에 설치된 보행자중심도로를 분석하려고 한다. 도시설계 차원에서 이용자 만족도를 높임으로 보행활성화를 유도하여 보행공간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용자들이 느끼는 보행공간의 계획 요소에 대해 각 대상지별로 비교 분석하여 보행공간의 문제점과 계획 시 우선해야 할 계획의 항목을 제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보행공간의 계획 및 설계 시 고려되는 주요항목(보행공간, 공간구성요소, 지역특성)과 그것을 대표하는 세부항목들을 중심으로 보행공간 조성실태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와 이용자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계획 요소의 세부항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각 대상지의 이용자 설문과의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시간적, 내용적, 공간적으로 유사한 3개의 조사 대상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업 시행된 요소들의 그 성과와 한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지역은 분당, 평촌, 산본 신도시 내 중심상업지구 보행자전용도로로 하였다. 산본 지역은 분당, 평촌과는 달리 보행로가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계획 되었으며, 대상지 지하에는 공영주차장이 조성되어 있어, 이용자들의 차량을 통한 접근을 고려한 것을 발견하였으며, 분당 중심업무지구 내 설치된 보행자전용도로의 경우 대상가로의 중심에 대형 쇼핑몰과 연계한 아케이드가 조성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들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 조사 결과 이용자들의 전체 만족도에 있어 분당 보행자전용도로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가로환경의 만족도에 있어 평촌 보행자 전용도로 이용자의 만족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특성을 물어보는 항목에 있어 분당 보행자전용도로 이용자들의 만족 수준은 다른 두 대상지역의 이용자들 보다 높음을 확인 하였다. 넷째, 평촌 보행자전용도로 이용자들은 가로 청결과 관련하여 만족 수준이 낮음을 확인 하였다. 끝으로, 신도시 중심상업지구 내 조성된 보행자전용도로는 보행공간의 단순 통과 및 상업기능을 넘어서 일상생활이 일어나는 도시 공간으로서 주변 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도시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3 1.2.1 공간적 범위 4 1.2.2 내용적 범위 5 1.2.3 시간적 범위 7 1.3 연구 방법 및 내용 8 제2장 이론적 고찰 8 2.1 보행자 공간의 개념과 구성 8 2.1.1 보행자 공간의 개념 8 2.1.2 보행자 공간의 유형 10 2.1.3 보행자 공간의 구성 11 2.1.4 보행자 공간의 특징 12 2.2 보행자 전용도로의 개념 및 유형 15 2.2.1 보행자 전용도로의 개념 15 2.2.2 보행자 전용도로의 설치기준 16 2.3 수도권 1기 신도시 중심상업지구 보행몰 계획과 의미 18 2.3.1 수도권 1기 신도시 개발결과 및 특성 18 2.3.2 수도권 1기 신도시 중심상업지역 도시설계 방향 19 제3장 보행자전용도로의 계획요소와 특징 21 3.1 신도시 보행자 전용도로 이용자 조사를 위한 설문지표 도출 21 3.1.1 보행자 공간 계획요소 도출 21 3.1.2 신도시 보행자전용도로 계획요소 도출 23 3.2 신도시 보행자전용도로 조성 현황 24 3.2.1 분석 대상지 일반현황 24 3.2.2 보행자전용도로 주변 보행공간 현황 27 3.2.3 보행자전용도로 주변 공간구성요소 현황 31 3.2.4 보행자전용도로 지역특성 현황 33 3.3 분석대상의 계획현황 및 설문항목 추출 35 3.3.1 예비설문을 통한 설문문항 재구성 35 3.4 설문의 구성 및 분석 방법 37 3.4.1 모집단 및 표집방법 37 3.4.2 자료의 수집 37 3.4.3 설문지 구성 38 3.4.4 설문 분석 방법 38 제4장 보행자전용도로 이용자의 만족도와 의식조사 39 4.1 세부항목별 단순 만족도 비교 분석 39 4.1.1 대상지 선징 및 조사내용 39 4.1.2 이용자 일반적 특성 41 4.1.3 단순 보행 만족도 43 4.2 계획요소별 만족도 비교 46 4.2.1 보행공간 만족도 비교분석 46 4.2.2 공간구성요소 만족도 비교분석 47 4.2.3 지역특성 만족도 비교분석 48 4.2.4 이용자 단순 만족도 비교 종합 50 4.3 계획요소별 상관관계 분석 52 4.3.1 보행공간 전체 만족도 계획요소별 상관관계분석 52 4.3.2 공간구성요소 전체 만족도 계획요소별 상관관계분석 54 4.3.3 지역특성 전체 만족도 계획요소별 상관관계분석 56 4.4 요인분석을 이용한 인자추출 52 4.4.1 분당 중심상업지구 보행몰 이용자 대상 인자추출 52 4.4.2 평촌 중심상업지구 보행몰 이용자 대상 인자추출 54 4.4.3 산본 중심상업지구 보행몰 이용자 대상 인자추출 56 4.5 회귀분석을 통한 중요도 산출 52 4.5.1 분석 대상지의 인자별 중요도 산출 52 4.5.2 중요도 추출 결과분석 56 제5장 결론 57 5.1 결론 57 참고문헌 부록 감사의글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신도시 중싱상업지구 보행몰의 계획적 특성과 이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Han, Jae-Wo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an, Jae-Wo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
dc.date.awarded | 2011.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9269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613 | - |
dc.subject.keyword | New Town | - |
dc.subject.keyword | Pedestrian Street | - |
dc.subject.keyword | Plan elements | - |
dc.subject.keyword | User Satisfaction Factors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Active center of the pedestrian space of the city's economy as well as active, as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region's identity, user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pedestrian space is increasing. But here in the country made plans for the pedestrian space in terms of quality and composition shifted to more quantitative aspects, and not a pedestrian-oriented exhibition space to exist as the result of the administration is also true. The walking space planning and design for users in the user satisfaction by increasing pedestrian space and a concrete plan to be activated based on the elements are not as clear.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going to save the identity of urban space, pedestrian space, and commercial functions performed through a simple non-residents of the city as the arena of everyday life by building new towns 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pedestrian roads are installed to try to analyze . Increase user satisfaction in terms of urban design and pedestrian space by inducing activation of the pedestrian can enrich the users feel that the criteria proposed pedestrian space for elements of the plan by each study area by comparing the problems and planning of pedestrian space prevail proposed plan to the topic. The assays of the pedestrian space planning and design considerations of the key items (walking spaces, landscape environment, local characteristics) and it represents the details, mainly in the pedestrian space composition Analysis for the site survey and user's perception to measure survey was conducted. Field survey focused on the details of the planning element was evaluated by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survey were users of the site. Particular time, substantial, spatially analyzing whether a similar survey three different projects undertaken by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elements was suggested. Bundang, Pyeongchon, Sanbon Newtown Road pedestrian mall 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were to. Sanbon area Bundang, unlike Pyeongchon footpath has been planned to intersect the vertical, underground public parking study area are facilitated, and user access via a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was found, per installed in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of pedestrian If the target is linked to the shopping malls and arcades in the center is built, you can see that. Analysis of these result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survey results in full satisfaction of users Bundang, higher pedestrian road users' satisfaction. Second, in satisfac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pedestrian Pyeongchon user's satisfaction level was lower. Third, ask the locality's per item pedestrian users' satisfaction level of the other two target areas was higher than users. Fourth, Pyeongchon pedestrian users satisfi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evel of cleanliness was low. Finally, the new town center business district, the pedestrian space in the landscaped pedestrian, transit and commercial functions beyond the simple everyday life takes place around the city as a space to enable the city region through cooperation with possible. | - |
dc.title.subtitle | 분당,평촌,산본을 중심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