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엽 문학의 극성 발현양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혜원-
dc.contributor.author박미경-
dc.date.accessioned2018-11-08T07:52:45Z-
dc.date.available2018-11-08T07:52:45Z-
dc.date.issued2012-08-
dc.identifier.other12771-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437-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2012. 8-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신동엽 문학에서의 극적 요소와 극적 특성을 바탕으로 극성의 발현양상을 살펴보았다. 신동엽은 시에 산문성을 끌어들이거나 극적인 요소들을 수용하였으며, 서정시 외에도 서사시, 시극과 오페레타 같은 장르들을 꾸준히 실험하였다. 우선 본고는 극적인물의 화자로서의 역할과 서술 양상을 살펴보았다. 신동엽의 서정시에서는 시대와 현실의 모순과 부조리를 드러내는 노동자, 실제 역사적 인물인 최제우와 전봉준, 설화적 인물인 아사달과 아사녀 등이 등장인물로 나타난다. 시인은 이러한 인물들을 통해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지배세력의 부정적 행태를 개혁하기 위해서 내부로부터의 개혁의지와 이를 뒷받침해줄 행동의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시인이 의도한 주제의식과 세계관은 극의 등장인물이면서 화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하는 인물들을 통해 관객에게 전달해주고자 하였다. 서사시 「금강」에서 역사적 인물들은 이전부터 지배세력으로부터 착취와 억압을 받아온 민중에게 연민의 감정을 느낀다. 그리고 허구적 인물인 신하늬 역시 교전으로 다치거나 죽어간 많은 민중을 향해 연민의 감정을 드러내는데, 이는 생명을 중시하고 하늘을 외경하는 것으로서 동학정신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화자로서의 인물은 이데올로기에 상처받은 민중들에게 연민의 감정을 느끼는데, 그는 생명을 중시하거나 하늘을 향해 외경의 자세를 가짐으로써 동학의 이념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시극과 오페레타에서 코러스는 집단적인 담화를 구사하여 공동체적인 성격을 드러내면서도 극의 전개를 객관적으로 전달하여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낸다. 신동엽의 시극과 오페레타에서는 서로 다른 양상의 코러스가 나타난다. 시극 「그 입술에 파인 그늘」에서는 인물의 낭송과 이중창이 나타났고, 오페레타 「석가탑」에서는 합창이 나타났다. 본고는 극적 사건으로 제시된 상황의 비극성을 살펴보았다. 신동엽의 서정시에서는 죽음의 모티브, 억압과 착취 또는 저항의 모티브 등이 제시됨으로써 여러 사건들이 중층적으로 환기되는 양상을 보인다. 각각의 사건들은 다른 나라의 영토를 무분별하게 개발하는 외부세력의 행태와 이농현상으로 인해 가족 붕괴의 현상이 일어나는 것, 민중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것 등으로 제시되었다. 이것은 개발이라는 명분아래에서 나타나며, 그것이 새로운 주종관계로 변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서사시 「금강」은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인물들이 농민군을 조직하여 연합군에 대항하는 양상을 주로 보여주었다. 농민봉기에서 민중들은 결사적으로 투쟁하는 모습으로 변화되는데, 농민군과 연합군의 치열한 교전은 극적 긴장감을 조성하였다. 시극 「그 입술에 파인 그늘」은 남녀주인공이 완충지대로 가려다가 갑자기 나타난 제트기의 공격으로 죽는 사건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오페레타 「석가탑」은 연못에 비친 석가탑의 그림자를 수리공주가 볼 것이라는 소문 때문에 아사녀가 죽는 사건이 발생한다. 이 두 작품은 이데올로기와 억압세력에 의해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공통된 구조를 보이는데, 인물들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극적 아이러니를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극적 언어를 활용한 현실비판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동엽 문학에서는 비일상적인 극언어로 횡설수설, 운문 대화, 장광설 등이 제시되었다. 횡설수설은 신동엽의 서정시에서 열거, 동음이의어의 말맞추기, 언어유희 등에서 나타난다. 운문 대화는 서사시 「금강」에서 나타나는데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태로, 과거부터 전승되어 온 지배구조의 모순을 비판하였다. 현대적으로 변하는 운문 대화에는 리듬감을 부여했다. 그리고 장광설은 시극과 오페레타에서 나타나는 극언어로, 주관적인 감정이 빈번히 개입되면서 말줄임표를 사용하였다. 이처럼 말줄임표의 빈번한 등장은 대사가 늘어지면서 극의 전개가 지연되지만 관객의 시선이 고정되는 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극적발화와 행동묘사에 나타난 세계관을 살펴보았다. 신동엽의 서정시에서 지배세력에 대한 민중의 저항의지는 등장인물의 명령형 대화체를 통해서 나타났다. 이것은 외부세력이 자본 종속국의 영토를 떠날 것을 촉구할 때 사용되었다. 그는 외부세력과 억압세력이 초래한 기계문명은 차수성의 세계이며, 민중이 돌아가야 할 곳은 원수성의 세계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서사시 「금강」에는 역사적 인물들을 바탕으로 동학정신과 동학이념을 제시하였고, 그로 인해 병폐적인 제도와 낡은 관습들을 바로잡으려고 노력하였다. 이들은 전쟁과 교전으로 혼란스러운 현재를 차수성의 세계, 전쟁이 없이 평화로운 곳을 원수성의 세계로 봄으로써 유토피아 지향의지를 드러낸다. 시극 「그 입술에 파인 그늘」에서 여주인공은 “물맛”을 그리워하고, 남주인공은 “호미”를 떠올리며 원수성의 세계를 추구하였다. 그리고 현재는 자연성을 상실한 차수성의 세계로 암시되었다. 오페레타 「석가탑」에서는 아사녀가 아사달을 만날 수 없는 현재의 상황을 차수성의 세계로, “유명한 점술쟁이가 예언한 이야기”를 원수성의 세계로 환기시켰다. 그리고 차수성 세계에서 원수성 세계로 돌아가는 귀수성의 세계를 암시하는 등 이들 작품에서 순환론적 세계관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신동엽의 시극에서는 인물 간의 담화가 필연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개인적인 정서를 뛰어넘어 역사의식이나 세계관과 같은 거대담론을 다루기 위한 시인의 의도를 보여준다. 그리고 여러 장르를 넘나들면서 실험을 한 것과 담화의 제시가 서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고는 아직 본격적으로 다루지 않은 신동엽의 시극과 오페레타까지 연구의 범위를 넓혀서 신동엽 문학의 극성 발현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들에서 드러나는 문학사적 의의는 장르실험의 최종적 결과에 ‘극성’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동엽 문학에서의 극성은 서정시와 서사시에서도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극성은 여러 예술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종합예술의 집합체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신동엽 문학의 극성은 다른 시극 작품이 탄생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했고, 뮤지컬과 오페라 등의 공연예술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핵심어: 극적 인물, 화자로서의 인물, 극적 사건, 비극성, 극적 아이러니, 극적 언어, 순환론적 세계관-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문제제기와 연구사 검토 1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8 Ⅱ. 극적인물의 화자로서의 역할과 서술 양상 17 1. 현실자각을 통한 이상적 공간의 제시 19 2. 연민과 외경의 표출과 평등사상의 실현 27 3. 노래로 제시되는 동질성의 확인과 구원의 양상 37 Ⅲ. 극적사건으로 제시된 상황의 비극성 44 1. 중층적 사건의 환기에 따른 리얼리티 확보 47 2. 치열한 교전의 제시에 의한 긴장감 조성 61 3. 죽음으로 인한 극적 아이러니 71 Ⅳ. 극적 언어를 활용한 현실비판 78 1. 횡설수설의 언어를 통한 민중과의 교감 79 2. 운문 대화에 의한 지배구조의 계승 비판 87 3. 감정적 지연이 개입된 장광설과 이데올로기의 비판 92 Ⅴ. 극적발화와 행동묘사에 나타난 세계관 97 1. 현실비판과 저항의 촉구를 통한 단호한 의지표명 99 2. 인물과 상황으로 제시되는 동학의 이념과 정신 107 3. 담화를 통해 지향하는 새로운 사고와 인식의 전환 116 Ⅵ. 결론 124 * 참고문헌 * Abstract-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신동엽 문학의 극성 발현양상 연구-
dc.title.alternativePark Mi-gyeong-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Mi-gyeong-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2.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70558-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71-
dc.subject.keyword극적 인물-
dc.subject.keyword화자로서의 인물-
dc.subject.keyword극적 사건-
dc.subject.keyword비극성-
dc.subject.keyword극적 아이러니-
dc.subject.keyword극적 언어-
dc.subject.keyword순환론적 세계관-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Abstract A Study of Dong-Yeop shin´s poetry focus on Dramatic attribute expression Park Mi-gyeo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d the dramatic nature revelation modality in Shin dong-yeop’s literature based on dramatic elements and dramatic characteristics. Shin dong-yeop drew prosaic nature into his poems and accommodated dramatic elements in them. In addition to the lyric poems, Shin dong-yeop continuously tested other genres such as epic poem, poetic drama and operetta.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role of dramatic character as a speaker and its narration. The characters in the lyric poems of Shin dong-yeop are; laborers who represent irrationality and contradiction between reality and time, historical figures like Choi Je-woo/Jeon bong-Jun and story characters like Asadal and Asanyeo. Through these characters, Shin dong-yeop expressed his thought that innovative willpower from inside and actions to support the willpower are required in order to reform the negative state by the ruling class from past till today. The theme and world view of the poet are transmitted to audience through these characters, who also take the role of a speaker in addition to the role of a character in the drama. In the epic poem [Geum-gang], the historical figures feel compassion for common people who had been exploited and oppressed by the ruling class since long time ago. The fictional figure, Shin Ha-neui, also feels compassion for people who were injured or died during the battle. These attitudes are regarding life as precious and dreading heaven, which can be said as a practice of Donghak Spirit. Here again, the speaker character feels compassion for the people who had been hurt by ideology. The character tries to practice the ideal of Donghak by regarding life as precious and dreading heaven. Chorus in Shin dong-yeop’s poetic dramas and operetta use group colloquy. Chorus objectively tell the development of drama to audience and draw their rapport while telling the community nature of the group. In the poetic dramas and operetta of Shin dong-yeop, chorus is used in difference form in each of them. For instance, recitation and duet by the characters appear in the poetic drama [The shadow dug on the lips], while chorus appears in the operetta [Seokga-tap]. Next, this study explored the tragic nature of situation given as dramatic events. In the lyric poems of Shin dong-yeop, various events are evoked in multi-layered form as the motifs of death, oppression, exploitation and resistance are given. The given events are; the behavior of external power that indiscriminately develops the territory of other country, the breakdown of family caused by rural exodus and oppressing/exploiting of other people by external force. They appear under the cause of development and transform into a new master-slave relation. The epic poem [Geum-gang] has the historical event,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its center. The characters organize Peasant Army and fight against the allied army of Korean government and Japan. During the peasant uprising, people struggle with death or glory spirit. The fierce battle between Peasant Army and allied army creates dramatic tension. In the poetic drama [The shadow dug on the lips],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are killed by the sudden attack of a jet fighter on their way to buffer zone. In the operetta [Seokga-tap], Asanyeo dies because of the rumor saying that Princess Suri will see the shadow of [Seokga-tap] reflected in the pond. These two works have common structure, in which a tragic ending is caused by ideology and oppressing power; while the sudden deaths of characters work as a major cause triggering the dramatic irony. Next, this study looked into the utilizing dramatic language criticism of reality. There are non-routine dramatic languages in Shin dong-yeop literature such as incoherent talk, dialogue in verse and lengthy speech. Incoherent talk appears in the forms of enumeration, homonym word guessing and word game in the lyric poems of Shin dong-yeop. Dialogue in verse appears in epic poem [Geum-gang]. As an intermediate form between verse and prose, the dialogue in verse in [Geum-gang] is used in criticizing the contradiction of ruling structure that had been inherited from the past. Shin dong-yeop also gave rhythmic sense to dialogue in verse changing into modern form. Lengthy speech is also a dramatic language used in his lyric poems and operetta. Ellipsis is used often in the long speech while subjective feeling frequently intervenes. The frequent use of ellipsis makes the dialogue longer and delays the dramatic development; however, it has the effect of capturing the attention of audience. As last, this study delved into the world view appeared in dramatic utterance and behavior description. In the lyric poems of Shindong-yeop, the resisting willpower of people against ruling class appears in the imperative dialogue of characters. The imperative dialogue is used in asking the external force to leave the territory of capital-depending country. Shin dong-yeop advocated that the machine civilization created by external force and oppressing power is the world of Chasoo-soeng(次數性) and the place, to which people should return, is the world ofWonsoo-seong(原數性). In the epic poem [Geum-gang], Shin dong-yeop emphasized the spirit and ideal of Donghak through historical figures and tried to correct the evil system and obsolete customs. The characters express their will directed to Utopia by seeing the confusing present caused by a war as the world of Chasoo-soeng and the peaceful place without war as the world of Wonsoo-seong. In the poetic drama [The shadow dug on the lips], the world of Wonsoo-seong is pursued when the female protagonist misses “taste of water” and the male protagonist thinks about “homi”. The present, which lost nature, is implied as the world of Chasoo-soeng in [The shadow dug on the lips]. In the operetta [Seokga-tap], the present situation, in which Asanyeo cannot meet Asadal, is evoked as the world of Chasoo-soeng and “the story foretold by a famous fortune teller” is evoked as the world of Wonsoo-seong. The world of Gwisoo-song (歸數性), which is returning to the world of Wonsoo-seong from the world of Chasoo-soeng, is also implied to express the poet’s world view based on cycle theory. In the poetic dramas of Shin dong-yeop, conversations between characters inevitably appear to express the intention of the poet, who wanted to talk on the mega-narratives such as historical consciousness or the world view he has.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the appearance of conversation and the poet’s testing of various genres ha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delved into the dramatic nature revelation modality in the literature of Shin dong-yeop by expanding the study scope to his poetic dramas and operetta, which had not been studied in detail as ye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exposed during the process lies in the fact that thereis “dramatic nature” in the final results of his genre tests. Dramatic nature in the literature of Shin dong-yeop partially appears in his lyric poems and epic poems. Dramatic nature means an aggregate of comprehensive arts when various forms of art work with each other in organic manner. It is significant that the dramatic nature in the literature of Shin dong-yeop did the role of motive power in the creation of other poetic dramas and it became the opportunity in the facilitating of performance arts such as the musicals and operas. Key words: dramatic character, character as a speaker, dramatic event, tragic nature, dramatic irony, dramatic language, world view based on cycle theory-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