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일반학생 부모의 인식 수준 비교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미화 | - |
dc.contributor.author | 김민희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51:08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51:08Z | - |
dc.date.issued | 2009-02 | - |
dc.identifier.other | 9453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009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2009. 2 | - |
dc.description.abstract | 국문초록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일반학생 부모의 인식 수준 비교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전공 연 구 자 : 김 민 희 지도교수 : 박 미 화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인인 일반교사와 일반학생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여 바람직한 통합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생 부모들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통합교육과 관련하여 일반교사와 일반학생 부모들은 어떠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일반교사와 일반학생 부모가 갖고 있는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학업영역, 생활태도영역, 통합교육이 일반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통합교육이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등 5개의 영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기간은 2008년 6월부터 7월까지 이며,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초등학교의 일반교사 150명과 일반학생 부모 198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전체적인 인식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전반적인 통합교육의 이점에 대해서는 동의하면서도 실제로 통합교육을 적용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학업영역이나 생활태도영역 등에 대한 문제에 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내었다. 둘째,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학생 부모들의 인식 또한 긍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25개의 문항 중 거의 모든 문항에서 과반 수가 넘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여 그 긍정적 경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몇몇의 문항에서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인 일반학생이 통합교육 하에서 혹시라도 얻게 될 수 있는 손해에 대하여 다소 걱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부모들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부모들에 비해 교사들의 인식이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애학생이 일반학생의 학습활동을 방해하는 측면과 교실 전체 질서를 해치는 측면, 또한 교사 스스로의 통합교육에 대한 준비에 대한 인식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통합교육을 실제로 적용하는 데에 있어 교육 현장에서 직면해야할 어려움에 대하여 교사들이 학부모들에 비하여 많은 부담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위 세 가지의 결론을 살펴보았을 때, 통합교육에 대한 정보 제공과 교육 기회 마련, 통합교육을 위한 자료 및 시설의 확충, 학급 당 인원 수 조정 및 보조교사의 활용, 조기 통합 경험 제공 등을 통하여 교육 주체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결과적으로 보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미래를 내다 볼 수 있을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국문초록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통합교육의 개념 5 2. 통합교육의 효과 7 3.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조건 10 4. 선행연구 고찰 17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연구도구 21 3. 연구절차 23 4. 자료처리 및 분석 23 Ⅳ. 결과 및 해석 25 1.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인식 25 2.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학생 부모들의 인식 30 3.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일반학생 부모의 인식 차이 비교 36 Ⅴ. 논의 및 제언 45 1. 논의 45 2. 제언 47 참고문헌 49 부 록 53 |<표Ⅱ-1> 특수교육대상학생 배치 현황 11 <표Ⅲ-1> 일반교사의 특성 20 <표Ⅲ-2> 일반학생 부모의 특성 21 <표Ⅲ-3> 설문지 문항 영역별 신뢰도 22 <표Ⅳ-1>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25 <표Ⅳ-2> 교사의 학업영역에 대한 인식 26 <표Ⅳ-3> 교사의 생활태도영역에 대한 인식 28 <표Ⅳ-4> 교사의 통합교육이 일반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29 <표Ⅳ-5> 교사의 통합교육이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30 <표Ⅳ-6>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31 <표Ⅳ-7> 부모의 학업영역에 대한 인식 32 <표Ⅳ-8> 부모의 생활태도영역에 대한 인식 33 <표Ⅳ-9> 부모의 통합교육이 일반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35 <표Ⅳ-10> 모의 통합교육이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36 <표Ⅳ-11>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차이 37 <표Ⅳ-12> 학업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차이 39 <표Ⅳ-13> 생활태도영역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차이 40 <표Ⅳ-14> 통합교육이 일반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차이 42 <표Ⅳ-15> 통합교육이 장애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차이 43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일반학생 부모의 인식 수준 비교 연구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특수교육 | - |
dc.date.awarded | 2009.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7413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53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