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의 기업단위 벤치마킹을 위한 통합적 성과측정시스템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신동우 | - |
dc.contributor.author | 유일한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50:54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50:54Z | - |
dc.date.issued | 2007-02 | - |
dc.identifier.other | 199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925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2007. 2 | - |
dc.description.abstract | 기업 활동에 있어 성과측정은 경영성과의 평가, 인적자원의 관리, 그리고 전략이행의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건설산업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동시에 수행하며, 많은 투입자원을 통제하여야 하고, 여러 사업수행주체가 함께 참여하는 등 복잡한 관리업무 때문에 체계적으로 개발된 성과측정시스템(PMS)의 필요성이 타 산업에 비해 더욱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산업은 아직까지 재무적 손익 중심의 성과측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기존 PMS 연구는 프로젝트의 성과측정을 위한 모델을 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업 단위의 성과측정 및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아져가고 있다. 기업 단위의 성과측정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문헌고찰, 문제점 도출, 그리고 개념적 framework 제시의 단계에 머무른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건설산업의 체계적인 성과관리를 위해서는 프로젝트와 기업 단위의 성과가 모두 측정되고 관리되어야 하지만, 현재 기업 단위의 성과측정을 위한 실행 단계의 구체적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산업의 기업단위 벤치마킹을 위한 방법론과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건설산업의 성장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공통의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2)이러한 성과지표를 이용하여 건설기업들의 성과를 산정, 기업간 벤치마킹할 수 있는 통합적 시스템을 구축하며, 3)전략적인 성장관리를 위해 성과지표의 상호 인과관계 특성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는 크게 3단계의 연구과정으로 수행되었다. 우선, 선행연구 등 문헌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통합적 PMS 개발의 개념모델을 구축하였다. 이 개념모델은 Kaplan and Norton(1992)이 제시한 BSC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재무, 고객, 내부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의 4가지 관점을 측정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여러 단계의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통해 통합적 PMS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1)건설산업의 12개 성과영역, 2)성과영역을 대표하는 16개의 KPI, 3)지표별 측정방법 및 단위, 4)표준적인 성과산정방법, 5)활용 및 피드백 매카니즘의 5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한 성과분석을 수행하여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및 검증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국내 34개 건설기업의 성과데이터(data set)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가장 큰 의미는 건설산업의 기업단위 성과관리가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건설산업의 성장관리를 위한 결론적 논점을 제시하였다. 1) 산업의 성장관리를 위해서는 건설산업의 전략 및 목표에 적합한 성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지표는 계층적 구조(관점, 영역, KPI)를 갖도록 설계하여야만 체계적인 성과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2) 기업단위 성과측정에 적합한 지표를 선택하고 관리·보완하기 위해서는 지표의 타당성, 측정가능성, 비교가능성을 만족시키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검증하여야 한다. 3) 성과점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해서는 척도의 기준을 수립하여야 하는데, 건설기업들의 데이터 특성에 적합한 척도로는 비율척도, 상대적 순위, 절대기준, 분포의 구간, 5점척도 등이 유효할 수 있다. 4) PMS를 건설산업의 성장관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여야 하며, 시스템을 구성하는 지표의 상호 인과관계에 기반을 둔 전략지도(strategy map)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5) 본 연구의 PMS를 건설산업에서 지속가능한 순환형의 PMS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측정과 분석에 의한 체계적 피드백, 기술적 피드백의 개선조치를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6) 여러 가지의 후속적 연구가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본 연구의 PMS를 활용하여 건설산업의 성과표준과 벤치마킹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성과데이터를 수집하고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 1 1.2 문제의 제기 = 3 1.3 연구의 목적 = 5 1.4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6 1.5 논문의 구성 = 10 제 2 장 기존의 이론 및 사례 고찰 = 13 2.1 성과측정에 관한 일반적 이론 = 13 (1) 성과측정의 일반적 정의 = 13 (2) 성과측정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 = 15 (3) PMS 구축의 중점 고려사항 = 17 2.2 건설산업의 성과측정에 관한 기존연구 = 17 (1) 건설프로젝트의 성과측정 = 18 (2) 건설기업의 성과측정 = 19 (3) 기업과 프로젝트 성과측정의 개념 차이 = 20 2.3 기존 연구의 한계 및 문제점 = 23 (1) 영국 DETR(2000)의 모델 = 23 (2) Kagioglou et al.(2001)의 모델 = 26 (3) Bassioni et al.(2005)의 모델 = 27 (4) Minchin and Smith(2005)의 모델 = 28 (5) 기존 모델의 문제점 정리 = 29 2.4 본 연구의 문제개선 방향 = 31 (1) 문제개선을 위한 연구방향 = 31 (2) 문제개선 개념에 대한 정의 = 32 (3) 문제개선 방법이 갖는 기대효과 = 33 2.5 소결 = 35 제 3 장 통합적 성과측정시스템의 개념 = 37 3.1 시스템의 목표 = 37 (1) 건설산업의 중장기 발전전략 = 37 (2) 건설산업의 성장관리 목표 = 39 (3) BSC의 성과측정 목표 설정 = 41 3.2 시스템의 요구사항 = 44 3.3 시스템의 구성요소 = 47 (1) 건설산업의 성과영역 = 48 (2) 공통의 핵심성과지표 = 48 (3) 지표별 측정방법 및 단위 = 49 (4) 성과산정방법 = 50 (5) 활용 및 피드백 구조 = 51 3.4 시스템의 개념모델 = 52 3.5 소결 = 54 제 4 장 통합적 성과측정시스템의 요소 개발 = 57 4.1 건설산업의 성과영역 = 57 4.2 공통의 핵심성과지표 = 61 (1) KPI 개발 프로세스 = 61 (2) KPI 선택기준 설정 = 62 (3) 후보지표 목록 도출 = 65 (4) 예비 KPI 도출 = 70 (5) 예비 KPI 평가 = 74 (6) 최종 KPI 도출 = 81 (7) KPI의 적정성 검토 = 85 4.3 지표별 측정방법 및 단위 = 88 4.4 성과산정방법 = 94 (1) 척도변환기준 설정 = 96 (2) 상대적 가중치 도출 = 103 (3) 성과산출식 설정 = 105 4.5 활용 및 피드백 구조 = 110 (1) 체계적 피드백 = 111 (2) 기술적 피드백 = 112 4.6 소결 = 114 제 5 장 통합적 성과측정시스템 개발 = 117 5.1 시스템 아키텍쳐 = 117 5.2 시스템 기능 = 122 5.3 시스템 프로세스 = 125 5.4 사용자 인터페이스 = 128 (1) 성과입력 체계 및 방법 = 129 (2) 성과조회 체계 및 방법 = 134 (3) 시스템관리 체계 및 방법 = 138 5.5 소결 = 143 제 6 장 통합적 성과측정시스템의 검증 = 146 6.1 시스템을 이용한 성과산정의 유효성 검증 = 147 (1) 데이터샘플에 의한 성과산정 = 147 (2) 산정결과의 정규성 검토 = 150 (3) 산정결과의 분포 및 패턴 = 151 (4) 유효성 검증 결과 = 154 6.2 시스템의 편향 검증 = 154 (1) 그룹별 평균차이 검증 = 154 (2) 편향(bias) 검증 결과 = 156 6.3 시스템의 인과관계 특성 검증 = 157 (1) 회귀분석 = 157 (2) 상관분석 = 160 (3) 인과관계 특성 검증 결과 = 162 6.4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165 6.5 소결 = 168 제 7 장 결론 = 170 7.1 연구의 결론 = 170 (1) 핵심적 결과 = 170 (2) 결론적 논점 = 173 7.2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 = 177 7.3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 180 참고문헌 = 182 부록 용어정리 = 188 Abstract = 193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건설산업의 기업단위 벤치마킹을 위한 통합적 성과측정시스템 | - |
dc.title.alternative | Yu, Il-Han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u, Il-Ha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
dc.date.awarded | 2007.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5710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94 | - |
dc.subject.keyword | 건설산업 | - |
dc.subject.keyword | 성장관리 | - |
dc.subject.keyword | 성과측정시스템 | - |
dc.subject.keyword | 벤치마킹 | - |
dc.subject.keyword | 성과지표 | - |
dc.subject.keyword | 인과관계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Performance measurement is used as a business tool for evaluating management performance, managing human resources, and formulating corporate strategy. The need to systematically develop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PMSs) is more acute in construction industry due to their complex managerial work, including the simultaneous implementation of various projects and the control of many input resource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mainly relied on financially focused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studies on PMSs have been carried out at the project level. However, recently, the demand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management at the company level has increased. Existing research, which has been conducted as a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arison at the company level, is limited in the literature, and in identifying problems and developing a conceptual framework. To empower PMS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research into project performance and company performance needs to be carried out. Project-level PMSs are actively being advanced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program. However, detailed implementation and scoring techniques at the company level need to be investigated and used to develop the existing conceptual framework.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methodology and system for company-level benchmark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ore specifically, the research objectives were: (1) to establish a common set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to drive business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competitive benchmarking, (2) to develop integrated PMSs focused on the derivation of a common set of indicators, by which a comparison of a construction company's performance superiority could be made, and (3)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the quantified characteristics of the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for continuous growth improv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procedures used in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was to establish an conceptual model for developing a PM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oretical surveys. This model applies a balanced scorecard (BSC) as suggested by Kaplan and Norton (1992), which contains financial, customer, and internal business process details and incorporates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The second phase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PM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system includes performance criteria, KPIs, assessment tools (methods and units), rubrics, and feedback mechanisms. Finally, the third phase was to calculate a performance score using the measurement system developed in the previous phase, and to perform an analysis using the system. A cas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data set obtained from 34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to implement the third phase.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system and methodology for the company-level benchmark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summary, to apply this integrated PMS in performance measurement and growth management practice, the following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1) It is very important to choose appropriate performance measures (which can be representative of the strategies, goals, and target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when establishing the measurement system at Levels 1 (perspectives), 2 (performance criteria), and 3 (KPIs). 2) The KPIs should satisfy the conditions, such as validity, measurability, and comparability to feasibly evaluate the performance. 3) The scoring rubrics for computing performance scores, which are mainly represented as common scales, strict limits, distributional range, and the relative ranking need to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data characteristics. 4) The feasibility of the system should be verified for use of the PMS for performance management, and it is effective to draw a strategy map based on causal relationships. 5) Technical and systematic feedback is necessary for a sustainable PMS through periodical monitoring and analysis. 6) To suggest performance norms and benchmarking standard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ore types of data need to be collected and database should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