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준 소설 연구 - 서사구조와 결말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f Novels by Lee Cheongjun -Focu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Ending-
Author(s)
최은수
Alternative Author(s)
Choi, eun-su
Advisor
송현호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인문사회계열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5
Language
kor
Abstract
소설에서 결말부분은 갈등의 최종해결을 나타내며 작가의 주제적 의도가 담긴 부분으로 중요한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 때의 결말은 단순한 결말 유형의 분류가 아니라 서사구조(이야기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구조 개념으로서의 결말이며 따라서 결말 연구는 서사구조와의 상관성과 함께 연구해야 그 기법적 의미나 타당성이 밝혀진다는 것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이청준 소설은 갈등 해결 양상에 따라 개방형 결말, 반전형 결말, 완결형 결말의 형태를 띠고 있다. 개방형 결말은 갈등을 종식시키지 않고 여전히 풀리지 않는 문제점을 남겨 둔 채 작품을 끝맺는 방식으로 ‘탐색의 과정’이라는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 탐색의 과정은 개방형 결말을 위한 의도적 구성으로 의혹과 해명을 통해 진행되던 이야기가 결말에 가서는 새로운 의혹으로 제시되면서 열린 채로 끝나게 된다. 반전형 결말은 서두에서 제기된 문제에 관해 탐색을 계속하다가 결말에 이르면 탐색하던 상황이 전환되거나 예상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바뀌는 결말 방식을 말한다. 반전형 결말은 ‘의혹의 제기 - 탐색에 대한 부정적 정보 제시 - 반전 - 새로운 가치’라는 이야기 구조로 진행된다. ‘승화의 과정’을 보여주는 완결형 결말은 어떤 갈등과 대립으로 이야기를 이끌어오다가 서사의 종결 부분에서 용서와 화해로 해결되며 이 과정으로 인해 더 높은 이상의 경지를 보여주며 끝나는 결말 방식을 말한다. 승화의 과정은 ‘회귀 - 과거회상 - 화해와 용서 - 미학적 완성’이라는 이야기 구조로 진행하며 이 서사구조는 화해와 용서를 통한 예술적 승화라는 이야기의 주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청준의 결말 유형을 살펴보면 그가 다양한 형식의 결말을 통해 작품의 주제와 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탐색의 과정이 보이는 개방형 결말은 독자의 문학적 상상력의 공간을 모색하기 위한 기법이며 독자가 능동적으로 작품 속에 참여하길 바라는 작가의 서술기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작가 스스로 독자와 동등한 입장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하는 희망을 개방형 결말을 통해 실현시킨 것이다. 즉 독자와 작가가 공유하는 공간을 만들기 위한 서사전략이라 할 수 있다. 반전형의 결말을 통해서는 주제를 강조하기 위한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반전형의 결말을 보이는 작품은 부정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전경화 하다가 결말에 이르러 이를 전복시키는 방식을 통해 작가가 궁극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관념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완결형의 결말을 통해서는 이야기 구조의 완성을 통해서 이야기 주제의 완성과 연결시킴으로써 미학적 완성을 추구하려는 의도였음을 알 수 있다.
Alternative Abstract
The ending of the novel is the final solution of the conflicts and has significant meanings and function by containing the authorial intention of the subject matter. Here, the ending is not a classification of the simple ending pattern, but a structure concept intimately related to the narrative structure(structure of the story). Thus the research on the ending should be made along with the correlation research of the narrative structure so as to examine the methodological meanings and reasonableness. Hence it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The novels of Lee Choengjun were shown with the ending patterns of open-ended ending, reversal ending and completion ending in accordance with the aspects of the conflict resolution. The open-ended ending is to conclude the novel with unsolved problems remained yet, instead of the conflict resolution. It has a narrative structure of the 'process of exploration' by which the developing story with intended structure through the suspicion and explanation for the open-ended ending is to be ended with a new suspicion at the end of the novel. The reversal ending is to continue exploring the problems presented at the beginning, then to change the situation which was being explored toward the end of the novel, or to reverse the situation betraying one's expectation. The reversal ending is developed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of 'suspicion presentation - presentation of the negative information on the exploration - reversal - new value'. The completion ending which shows the 'process of sublimation' is to develop the story with certain conflicts and confrontation, then to solve them by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resulting in showing the higher phase of the ideal caused by this process. The process of sublimation is developed by the narrative structure of 'regression - recollection of the past -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 aesthetic completion', and this narrative structure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story which is being aesthetically sublimated through the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To examine the ending patterns of Lee Cheongjun's works, it can be seen that he attempted to effectively reveal the subject matter and intention of his works through the various ending patterns. The open-ended ending with the process of exploration is a method to inspect the literary space for creativity of the reader, and a description method of the author who desir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reader onto the novel. Furthermore the author's wish to share the story with readers from the equal stance is realized by the open-ended ending. It can be considered as a narrative strategy to create the space shared by the author and readers. The reversal ending is a method to emphasize the subject matter. In the novels with the reversal ending, the story which is to be negated is developed in a general view, then to be subverted at the end of the novel so that the ultimate idealism of the author is reinforced thereby. Through the completion ending, it is intended to connect the subject matter of the narrative by the completion of the narrative structure, hence pursuing the aesthetic completion therewith.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609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