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의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유문숙 | - |
dc.contributor.author | 임대순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49:53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49:53Z | - |
dc.date.issued | 2005 | - |
dc.identifier.other | 312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599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2005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관련요인을 조사함으로써, 간호사의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2004년 7월 12일부터 8월 2일까지 수원시에 소재한 A대학병원의 일반병동, 중환자실,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중 임종환자를 경험해 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총 130명을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전문직업관에 대한 연구도구는 Fingerhurt의 professional attitude scale을 Yoo등(1987)이 번역한 도구를 수정보완한 유문숙, 유일영 및 이규영(2002)의 4점척도 15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의 연구도구는 Thorson과 Powell(1988)의 죽음에 대한 성향 도구를 박성춘(1992)이 번안하여 사용한 4점척도 23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rogram 11.0을 이용하여 실수, 평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전문직업관 정도는 4점 척도에서 평점 3.47±.29의 결과를 보였다 2. 대상자의 죽음에 태도 정도는 최대 92점에서 총평점 58.63±8.14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전문직관과 죽음 대한 태도와의 관계는 유의한 약상관관계를 보였다(r=.185, p=.035).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전문직업관 차이는 최종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84, p=.02). 학력에서 있어서는 석사이상인 경우가 전문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uckey를 이용한 사후검정에서 3년제 대학졸업자와 석사이상 학위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86, p=.02).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의 대한 태도 정도를 분석한 결과 종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92, p=.03). 즉, 종교가 있는 간호사보다는 종교가 없는 간호사가 죽음에 대한 태도에 있어 부정적으로 나타 났으며, 사후검증결과 기독교와 무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3.22, p=.02).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전문직업관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는 중간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는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 일반적 특성 중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관계는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학력, 종교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들이 전문직업관이나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성향을 지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간호사의 종교나 학력에 대한 고려와 함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간호사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의료인을 대상으로 한 도구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는 바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내용목차 내용목차 = ⅰ 표목차 = ⅲ 국문요약 = ⅳ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2 3. 용어의 정의 = 3 4. 연구의 제한점 = 4 Ⅱ. 문헌고찰 = 5 1. 전문직업관 = 5 2.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 8 Ⅲ. 연구 방법 = 12 1. 연구설계 = 12 2. 연구대상 = 12 3. 연구도구 = 12 4. 자료수집방법 = 13 5. 자료분석방법 = 13 Ⅳ. 결과 = 14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4 2. 대상자의 전문직업관 = 16 3.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 = 18 4. 대상자의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 20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차이 = 20 Ⅴ. 논의 = 22 1.대상자의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 = 22 2.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 23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 차이 = 24 Ⅵ. 결론 및 제언 = 26 1. 결론 = 26 2. 제언 = 27 참고문헌 = 28 설문지 = 32 ABSTRACT = 37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간호사의 전문직업관과 죽음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Nursing Profession and Attitudes Toward Death of Nurses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Im, Dea Soo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의학계열 | - |
dc.date.awarded | 2005.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4428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312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is study was conducted aiming to use as basic data in relation to a nurseing profess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by examining a nurseing profess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and surveying the relevant factors. In terms of data collection, it analyzed totally 130 persons targeting nurses who had ever experienced the dying patient among nurses working at the general wards, the intensive care units, and the emergency rooms for A university hospital where is located in Suwon-si, from July 12 to August 2 of 2004. In terms of a research tool about a nurseing profession, it measured by using the tool with 15 items of 4-mark scale by Yu Mun-suk, Yu Il-yeong and Lee Gyu-yeong(2002), which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e tool translated by Yoo and others(1987) as for professional attitude scale by Fingerhurt, and in terms of a research tool about a nurse's attitude toward death, it measured by using the tool with 23 items of 4-mark scale, which was used after Park Seong-un(1992) translated the tool of inclination toward death by Thorson and Powell(1988). The data analysis included error, averag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ing SPSS Program 1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targets' nursing profession showed the result of 3.47±.29 points at 4-mark scale. 2. The level of targets' attitude toward death indicated 58.63±8.14 of total marks at the maximum 92 marks. 3. The relationship between targets' nursing profess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showed significantly weak correlation(r=.185, p=.035). 4. As for the difference of nursing profession depending on targets'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nally academic career(F=3.84, p=.02). In terms of academic career, the nursing profession was shown to be high in a case of more than a master's degree, and in the post-test that used Tucke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uates from 3-year college and persons with more than a master's degree (F=3.86, p=.02).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attitude toward death depending on targets'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igion(F=2.92, p=.03). Namely, the attitude toward death was shown to be negative in nurses without religion compared to nurses with religion, and as a result of post-tes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Christianity and non-religion(F=3.22, p=.02). In conclusion, a nurseing profession was shown to be positive, and the attitude toward death was surveyed to be in the middle level. Also, the nurseing profession and the attitude toward death showed correlation. In terms of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eing profession and the attitude toward death,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what influences most was shown to be academic career and religion. Accordingly, in order to allow nurses to have positive inclination for the nurseing profession or for the attitude toward death, it needs to be educated along with considering each nurse's religion and academic career, and in a bid to be able to more correctly measure nurses attitude toward death, it is suggest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tool targeting medical professional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