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주거복합건물의 공용공간 계획특성 및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제해성-
dc.contributor.author김상수-
dc.date.accessioned2018-11-08T07:49:21Z-
dc.date.available2018-11-08T07:49:21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other2278-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416-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2007. 2-
dc.description.abstract1990년대 말 이후 건설된 주거복합건물은 주거를 중심으로 대형화, 초고층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초고층 주거복합건물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외부공간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약화 되고 있고, 주민 상호 간의 공동생활공간은 점점 결여되는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노동시간의 감소, 고령화 사회, 정보화 사회로의 진행 등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개인의 정체성과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면서 거주자들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취미 문화 및 여과생화에 대한 지원을 하고 이웃과의 상호접촉을 유도해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활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초고층 주거복합건물 내의 공용공간은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준공된 초고층 주거복합건물 공용공간의 건축계획적 특성을 분석하고 주민들의 공용시설 이용현황 및 공용시설에 대한 이용 만족도와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분당 지역의 대표적인 초고층 주거복합건축물 20개 사례에 대한 도면 분석 작업과, 이 사례 중 공용공간의 건축계획적 유형의 대표성을 갖는 3개의 단지를 선정하여 주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고층 주거복합건물 내에 계획되는 공용공간에 평균 13.3개의 공용시설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용공간 유형별로는 기초생활공간, 이웃교류공간, 여가활용공간, 기타공간 중 여가활용공간의 시설 프로그램이 평균 5.6개의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사례별로 공용공간 내 다양한 시설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있다. 하지만 기획 및 계획 과정에서 주민들의 이용행태나 요구도에 대한 고려가 없이, 기존 사례에 대한 답습으로 활용성과 만족도가 낮은 시설들이 공용공간을 채우는 경우가 빈번하다. 단순히 면적 배분을 통한 공용공간 계획이 아닌 주민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공용공간 활용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공용공간의 설치위치를 건축유형과 기능연결방식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공용공간의 계획 위치는 건축유형과 기능연결방식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보이지면 전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기초생활공간의 경우 대부분이 저층부에 계획되었고 일부, 지하층과 공유하고 있다. 이웃교류공간의 경우 저층부에 대부분이 계획되고, 일부 중층부에 계획되었다. 여가활용공간의 경우 저층부를 중심으로 지하층, 중층부에 공유하고 있다. 셋째, 초고층주거복합건물에서 공용공간 이용은 주민들의 여가활용과 살고 있는 주거에 대한 애착심과 소속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주민간의 교류 측면(커뮤니티) 측면에서는 예상했던 것 보다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주민간의 교류 보다는 개인의 여가와 편의향상을 위한 공용공간의 계획 요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공용공간의 이용도 전체적으로 주민들은 공용공간을 '이용하는 편이다' 에 큰 비중을 나타냈다. 공용공간 성격별로는 운동시설을 포함한 '여가 활용공간'에서 가장 높은 이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용공간 유형별로는 주동내부+별동공유형, 주동내부설치형, 별동설치형 순으로 이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공용공간 전반적인 만족도는 유형별로 봤을 때 주동내부+별동공유형, 주동내부설치형, 별동설치형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용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세부항목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공용시설의 위치, 공용시설의 종류, 이용금액 등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앞으로 주거복합건물은 보다 고층화, 대형화 추세에 있고 이에 대응한 공용공간 설계를 위해 저층부에만 공용공간을 집중하거나, 독립적인 별동형 계획은 공용공간의 활용도와 만족도를 떨어뜨리게 될 것이다. 공용공간의 시설규모 및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주동차원과 단지차원의 위계를 구분하여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분당의 중심상업지구와 같이 일부 공용공간 계획 용적률 인센티브를 확보해 주는 경우 인센티브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기초생활공간에 대한 계획이 소홀히 되는 경향이 있었고, 이런 과정 중 도시기반시설로 계획된 공용공간이 주민전용시설로 전용되어 사용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제도적 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 3 1.3. 연구의 방법 = 4 1.4. 연구내용, 연구문제 = 6 제 2장 초고층 주거복합건물의 이론적 고찰 = 7 2.1. 초고층주거복합건물의 개념과 특성 = 7 2.1.1. 초고층 주거의 정의 = 7 2.1.2. 주거복합건축의 정의 = 8 2.1.3. 주거복합건물의 기능적 개념 = 9 2.1.4. 주거복합건물의 기능 배분과 구성 = 9 2.2. 국내 주거복합건물의 건설 배경 = 10 2.2.1. 도시 택지의 부족 및 개발 토지의 한계 해소 = 10 2.2.2. 도시 공동화 현상 및 도시 문제의 해소 = 10 2.2.3. 도시 자족기능의 강화 및 교통 문제 해소 = 11 2.2.4. 개발이익의 증대 효과 = 11 2.3. 국내 주거복합건물의 개발 과정 = 12 2.3.1. 시기에 따른 구분 = 12 2.3.2. 법제적 변화에 따른 구분 = 13 2.4. 주거복합건물의 유형 = 17 2.4.1. 공간구성방식에 따른 분류 = 17 2.4.2. 기능연결방식에 따른 분류 = 18 2.4.3. 입지유형에 따른 분류 = 19 2.4.4. 배치 특성에 따른 분류 = 20 2.4.5. 주거복합건물의 수용기능별 유형분류 = 21 2.5. 주거건물의 공용공간의 의미 = 23 2.5.1. 주거공간에서 공용공간의 의미 = 23 2.5.2. 공용공간의 기능 = 23 2.5.3. 초고층 주거복합건물에서 공용공간의 중요성 = 25 2.6. 초고층 주거복합건물의 공용공간의 분류 = 27 2.7. 국내 초고층 주거복합건물에서 공용공간의 계획특성 변화 = 29 2.8. 국내 초고층 주거복합건물 공용공간의 연구동향 = 30 제 3장 연구방법 = 33 3.1. 조사대상의 선정 = 33 3.1.1. 도면조사 분석 대상 선정 = 33 3.1.2. 주민설문조사 대상 단지 선정 = 36 3.2. 조사내용 및 방법 = 37 3.2.1. 문헌연구(도면 자료 분석) = 37 3.2.2. 주민설문조사 = 38 제 4장 초고층 주거복합건물의 공용공간 특성 분석 = 43 4.1. 초고층 주거복합건물의 건축계획적 특성 = 43 4.1.1. 조사대상의 일반적 건축적 특성 = 43 4.1.2. 조사대상건물의 층별용도 분석 = 44 4.2. 공용공간의 건축계획적 특성 분석 = 48 4.2.1. 실내공용공간내 적용된 공용시설 프로그램 = 48 4.2.2. 공간유형별 공용공간 프로그램 설치 빈도 = 50 4.2.3. 건축유형 및 기능연결방식에 따른 공용공간 설치 위치 분석 = 54 4.2.4. 조사대상 단지 공용공간 프로그램, 위치 특성 = 57 4.3. 소결 = 62 제 5장 초고층 주거복합건물 주민의식 조사 및 분석 = 65 5.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 65 5.1.1. 설문조사대상 개요 = 65 5.2. 공용공간 활용에 대한 주민 의식 = 68 5.3. 초고층 주거복합건물 공용공간의 주민 이용현황 = 71 5.3.1. 공용공간 이용 정도 = 71 5.3.2. 공용공간의 이용정도 변화 = 72 5.3.3. 공용공간 프로그램별 이용도 = 72 5.4. 공용공간의 이용 만족도 = 74 5.4.1. 공용공간 프로그램별 만족도 = 75 5.4.2. 공용공간 건축계획적 특성에 관한 만족도 = 77 5.4.3. 공용공간 운영관리적 특성에 관한 만족도 = 79 5.4.4. 공용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 81 5.4.5. 공용공간에 전체적 만족도와 세부항목간의 관계 = 82 5.5. 초고층 주거복합건물 공용공간 요구도 = 84 5.5.1. 거주단지에 대한 개선 요구 = 84 5.5.2. 추가 설치를 희망하는 공용시설 프로그램 = 86 5.5.3. 공용공간의 공간 성격에 관한 주민의 의식 = 87 5.5.4. 공용공간의 계획 위치에 관한 요구도 = 89 제6장 결론 = 91 6.1. 연구결과 = 91 6.2. 공용공간 계획에 대한 제언 = 93 6.3.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 94 참고문헌 = 95 부록 = 97 ABSTRACT = 10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초고층 주거복합건물의 공용공간 계획특성 및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Kim, Sang-Soo-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ang-Soo-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7.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5624-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78-
dc.subject.keyword초고층 주거복합건물-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High-rise mixed-use buildings, which were built after 1990s, have a tendency to get larger in size, become high-rise and residence focused. For the reason, the dwellers, who live in the high-rise mixed-use buildings, are getting less chance to meet with outdoor space, and indoor public space that dwellers can use is lacking. Also, because of th lifestyle changing such as a decrease in time of working, an aging society, a progress toward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people get their own privacy. Certain space, which supports dwellers to enjoy their leisure time and makes people to encounter in it that creates community, is required. It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indoor public space in the high-rise mixed-use buildings is getting greater. This study aims to analyse a character of architectural planning from the high-rise mixed-use buildings that were built after 2000, to clarify the dwellers' satisfaction with indoor public space when they use it and their preference. For this research, drawings of twenty case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Bundang area were analysed. Three characteristic cases were selected among them, and a questionnaire was asked to the dwellers who live in this three cases. The result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process are as followed; Firstly, the planned indoor public space in the high-rise mixed-use building contains 13.3 public facilities. 5.6 facilities in space for leisure activity were the highest rank among those in space for daily needs, community, leisure activity, and the others. Various programmes are planned for the indoor public space as it is shown from the cases. However, as the dwellers' use pattern and their requests are not considered at the stage of planning, indoor public space is filled with less used facilities, following earlier cases. Accordingly, a diverse range of programmes for indoor public space is needed instead of the simple area distribution. Secondly, the overall analysis of indoor public space location according to the building type and functional network are as followed; generally, space for daily needs is located in the ground floor, in some cases, it is located in both ground floor and basement, space for community is planned in the lower floors, sometimes, it is found in the middle floors. space for leisure activity spreads from basement to the middle floors, but mainly in the lower floors. Thirdly, use of indoor public space in the high-rise mixed-use buil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enjoying the leisure activities and an attachment to the dwellers, while its effect on community were lower than it was expected. The requests for the indoor public space plan were about private demands or leisure rather than community or communication among dwellers. Fourthly, the extent of public space use was relatively high. dwellers mostly use space for leisure activity which includes exercising facilities. The extent of use was revealed high when indoor public space is located inside the main building and the separate building joint, inside the main building, and inside the separate building, in the order named. Fifthly, the general satisfaction with indoor public space was high when it is located inside the main building and the separate building joint, inside the main building, and inside the separate building, in the order named. The factor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are the location of indoor public space, the type of public programme, and a charge. It is expected that the mixed-use buildings are getting more high-rise and large-sized, but concentrating public space in lower floor or a separate building plan corresponding to the trend, would decrease the satisfaction and use. Concerned a size of the public space, a type of programme, a hierarchy of planning is required. Finally, in case that was secured the Floor Area Ratio(FAR) incentive for some part of public space like the case of Central Business District of Bundang, space for daily needs, which is not on the incentive lists, is likely to be neglected. Occasionally, there are some examples that public space that was originally planned as the Public Use Facility diverted to a dwellers exclusive use. To avoid it, complementary measures and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system are required.-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Architec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