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갈등이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부모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희천-
dc.contributor.author장진아-
dc.date.accessioned2018-11-08T07:49:18Z-
dc.date.available2018-11-08T07:49:18Z-
dc.date.issued2006-02-
dc.identifier.other1282-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404-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06. 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부부갈등이 어떤 경로를 통해 자녀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부갈등이 자녀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부부갈등은 자아탄력성,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등을 매개로 자녀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들 매개변인들이 어떤 기제를 통해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들 매개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부부갈등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 간에 자아탄력성,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두 가지 매개 모델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확인하였다. 모델1은 매개변인들이 병렬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개별 매개모델이며, 모델2는 자아탄력성이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 행동 사이를 매개할 것으로 가정한 자아탄력성 매개모델이다. 495명의 중학생들(남자; 296명, 여자; 199명)을 대상으로 두 모델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두 모델 모두 통계적으로 수용할 만한 적합도를 보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매개변인들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고 모델 간 비교 검증을 통해 자아탄력성 매개모델이 개별 매개모델 보다 더 좋은 적합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부갈등은 자녀의 부적응 행동에 직접적인 경로가 아닌 간접적인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부갈등은 자아탄력성,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에 각각 영향을 미쳤다. 3) 자아탄력성은 부모 양육태도와 부적응 행동 사이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였다. 4)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 행동 사이에서 완전 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갈등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 사이의 매개변인들을 확인하였고 이들 매개변인들에서 자아탄력성이 중심 매개 역할을 함을 발견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부부갈등이 있는 자녀들의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에 중점을 둔 개입이 효과적임을 시사해준다. 주요어 : 부부갈등, 부적응 행동,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부모 양육태도-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1 Ⅱ. 이론적 배경................................................................4 1. 부부갈등이 자녀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4 2. 부부갈등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 사이의 매개변인들; 자아탄력성,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6 3. 매개변인들 간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중심 역할.................12 Ⅲ. 문제제기 및 가설.......................................................14 Ⅳ. 연구방법..................................................................16 1. 연구대상....................................................................16 2. 측정도구....................................................................16 3. 결과분석....................................................................20 Ⅴ. 연구 결과.................................................................21 1. 관찰 변인들 간의 상관..................................................21 2.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23 Ⅵ. 결론 및 논의.............................................................35 참고문헌.......................................................................41 부록.............................................................................49 ABSTRACT...................................................................6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부부갈등이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부모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6.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5044-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282-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Abstract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s Maladaptation : Focusing on Ego-resiliency,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Jina Jang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The previous studies have studied that ego-resiliency,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separately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maladaptation. But few have examined mechanism underlying the link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maladapt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mechanism of mediating variables with particularly emphasizing on the buffering effect of ego-resilienc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two theoretical models were developed. In model 1, all mediating variables were assumed to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same level, but in model 2, ego-resiliency was assumed to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social support and maladaptation. 495 middle school students(male; 296, female; 199) responded to a set of questionnaires. This study was appl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he present data and found two models are both statistically suitable. But, model 2 was fitter than model 1.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maladaptation. Second, marital conflic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ego-resiliency,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Third, ego-resiliency partially mediated between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maladaptation. Fourth, ego-resiliency fully mediated between social support and maladapt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ego-resiliency may buffer the negative effects from marital conflict. Thus we should need effective counselings focusing on ego-resiliency. Key Word : marital conflict, children's maladaptation, ego-resiliency,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social suppor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