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지붕디자인의 유형과 거주자 선호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諸海成-
dc.contributor.author오성진-
dc.date.accessioned2018-11-08T07:49:14Z-
dc.date.available2018-11-08T07:49:1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545-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379-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2005-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주거유형으로써 아파트는, 1970년대 대도시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된 이래 불과 40여년 만에 도시지역의 대표적인 주거유형으로 정착ㆍ발전되어 왔다. 양적 공급의 측면에 편중된 대량공급 위주의 주택정책은 생산성 위주의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주거환경을 형성하여 도시경관의 차원에서는 많은 문제점을 낳았으며, 근래에 들어서 집합주거환경의 질적인 개선과 주동유형 및 단지개발의 다양화를 위한 노력을 보이고 있다. 이에 지붕디자인의 주동의 미관개선과 차별화 요소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지붕디자인의 최근 디자인 경향과 그 유형을 살펴보고, 실질적은 거주자들이 선호하는 디자인 유형과 이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인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며, 이에 대한 자료조사 및 사례연구와 주민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붕디자인의 이미지 특성에 대한 의식과 유형에 따는 주민들의 선호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적인", "장식적인" 느낌과 "차이나는", "풍부한"의 느낌이 높게 조사된 조형물지붕과 박공지붕의 만족도가 높은 데 반해, "진부한", "평범한", "구식적인", "소박한"의 느낌과 "단조로운", "지루한", "획일적"인 느낌의 평지붕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거주지의 상징성과 아이덴티티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에 대해 관심이 높게 조사되었으며, 지붕디자인의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바는 단지의 특색을 나타낼 수 있는 개성적인 디자인과 주변의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에 대해 높게 생각하고 있다 셋째, "좋아하는" 지붕디자인에 대해서는 정면박공지붕과 조형물 지붕을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싫어하는" 지붕디자인으로서는 평지붕과 눈썹 지붕을 선택하고 있어, "다양한" 디자인의 선호와 "단순한" 소극적 디자인에 대한 기피를 표시하고 있다. 넷째, "새로움"과 "변화감"을 통해 차별적이고 특색있는 디자인 요소가 풍부한 디자인이 선호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안정감"과 "친근감"에 있어서 지붕의 마감이 자연스러운 디자인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은 디자인 유형에 따른 심리적 반응을 통해 주민들의 선호도와 의식을 알아본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거주자의 만족을 높이는 것은 원근에서도 인지할 수 있는 주거동의 차별성이며, 이것이 곳 거주자의 아이덴티티를 높이는 특색 있는 지붕디자인이다. 이러한 차별적인 디자인이 공동주택의 마케팅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둘째, 평지붕이나 눈썹지붕 등의 평지붕 형식보다는 박공지붕이나 모임지붕, 정면박공지붕 등 경사지붕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있으며, 한국의 주택 건축 특성 중의 하나가 경사진 지붕형태이며, 이것이 주택을 상징하는 의미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 고층 공동주택의 경우 물매를 크게 해야 안정성 있게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단지 내 건물의 높이가 다른 경우 이에 따른 물매의 변화도 고려하는 적극적인 지붕디자인이 요구된다. 넷째, 공동주택의 지붕은 도시경관을 형성하는 요소의 하나로써,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너무 다양한 디자인은 오히려 경관을 훼손할 수 있으므로 조형적 특성을 갖는 지붕디자인의 장려와 함께 경관제어를 위한 규제가 요구된다. 공동주택의 지붕은 주로 시각적ㆍ인지적 측면에서 주동외관의 구성요소로서 연구되었고, 실제로 공동주택 지붕디자인의 특성이나 형태계획에 관하여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어,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는데 한계가 있다. 앞으로 지붕디자인은 주민들의 의사를 반영한 시각적인 디자인과 아울러 공간적, 기능적인 계획이 요구되며, 주동디자인과 함께 도시경관 측면에서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선행연구 검토 = 3 1.3 연구 문제 = 6 1.4 연구 방법 및 내용 = 7 1.5 용어 정의 = 9 제2장 예비적 고찰-공동주택 지붕의 디자인 = 10 2.1 지붕의 기능과 의미 = 10 2.1.1 지붕의 기능 = 10 2.1.2 상징적 의미 = 11 2.1.3 조형적 의미 = 13 2.2 지붕디자인의 시각적 특성 = 15 2.2.1 시지각적 선호와 인지 = 15 2.2.2 아이덴티티 = 16 2.3 공동주택 지붕디자인의 유형 = 19 2.3.1 평지붕 = 19 2.3.2 눈썹지붕 = 20 2.3.3 박공지붕 = 21 2.3.4 모임지붕 = 22 2.3.5 기타 지붕디자인 = 22 2.4 공동주택 지붕디자인의 변화요소 = 26 2.4.1 주동형식에 따른 지붕디자인 = 26 2.4.2 세부요소에 따른 지붕디자인 = 30 제3장 공동주택 지붕디자인 사례연구 = 40 3.1 조사연구의 개요 = 40 3.1.1 조사대상의 선정 = 40 3.1.2 조사내용 = 43 3.1.3 조사기간 및 방법 = 44 3.2 조사대상 분석 = 45 3.2.1 지붕디자인 유형 = 48 3.2.2 지붕디자인 요소 = 49 3.3 지붕디자인의 변화 배경 = 52 3.3.1 주동의 외관 개선 = 52 3.3.2 경관계획 = 53 제4장 연구방법 및 조사대상의 특성 = 55 4.1 조사도구의 구성 = 55 4.2 조사대상의 선정 = 56 4.3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 = 57 4.4 조사대상 특성 = 58 제5장 연구결과 = 59 5.1 거주자 만족도 = 59 5.2 지붕디자인에 대한 의식조사 = 62 5.2 지붕디자인 선호도 = 65 제6장 결론 = 71 참고문헌 = 75 부록 = ⅰ Abstract = ⅵ-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공동주택 지붕디자인의 유형과 거주자 선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Types of Apartment Roof Design and Residents’ Preference in Metropolitan Seoul Area-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Sungchin-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5.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4390-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545-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ent trend and types of apartment roof design and residents’ impacts on resident’s satisfaction from the viewpoint of perception. Their impacts were drawn by the surveys of resident’s preference to the roof design of apartment housing. Impacts on satisfaction from the viewpoint of perception were as follows 1. Formative and gable roof as "Modern", "Decorated" and "Different" are higher than flat roof as "Old-fashioned", "Indifferent" and "Bored" 2. Residents have high interest in symbolic and identical design 3. Residents prefer "Various" design, but avoid "Simple" design 4. Different and characteristic roof with rich design elements as "Fresh" and "Changing" impacts preference with "Stability" and "Intimacy" Result of the study by residents’ preference and consciousness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characteristic roof design recognizable from a far is needed. That is a important marketing point of apartment housing. Secondly, slope roof as like gable, gathering or front gable is felt more stable than flat roof. Slope roof is one of Korean-architectural tradition and impacts as a meaning of symbolic house. Thirdly, roof of high apartment housing needs steep slope to be felt stably, changed slope in different height. Fourthly,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is needed to be considered cause roof is a element of urban scenery. Studies about apartment roof design have been as a element of resident-building exterior from the viewpoint of vision and perception. Because it doesn’t yet have examples of performing apartment roof design,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range of carrying on. It’s needed design based on residents’ intention with space and function. And so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range of the studies like urban scenery.-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Architec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