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free Bi계 전자재료의 제조와 응용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승철-
dc.contributor.author김병준-
dc.date.accessioned2018-11-08T07:48:44Z-
dc.date.available2018-11-08T07:48:44Z-
dc.date.issued2007-02-
dc.identifier.other2178-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222-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재료공학과,2007. 2-
dc.description.abstractPb는 축전지 재료, 건물이나 공장시설의 배관용 연관 등의 재료, 통신장비용의 피복전선 재료, 탄환제조의 군수품원료, 핵물질포장 재료, 활자주조 재료, 고급유리의 유약 재료, 석유정제첨가물 재료 등 여러 곳에 사용되고 있다. 허나 유럽 납규제가 2006년 7월부터 실시하기로 정해짐에 따라 무연 제품의 개발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전자제품에서의 Pb 성분 규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Pb를 Bi-base로 대체한 PDP투명유전체와 자동차의 knock 센서의 새로운 조성개발 및 이를 제조하여 특성을 측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로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분야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DP : Plasma Display Panel)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Bi-based의 유리조성의 투명유전체를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Pb-based 프릿과의 물성을 비교하였고, PDP디스플레이 응용에서 전면유리와의 일체화를 위해, 소자와의 반응 억제와 열응력 완화를 위해 프릿의 저융점화 및 열팽창계수를 제어하였다. Bi2O3가 50-60wt%이상 첨가된 Bi2O3-B2O3-Al2O3계 조성의 유리는 열분석 (DTA, TMA) 및 XRD분석을 행하여 조성의 변화에 따른 유리의 열적 특성변화를 관찰하였고, 유리분말을 페이스트에 첨가하여 만든 후 스크린 프린팅 법으로 후막 처리하여 저항 및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TGA, TMA 열 분석 결과 및 유리 전이점이 400~480℃ , 열팽창계수가 7.31~10.02 ×10-6/℃이며, 전극의 단자저항은 4.1~4.8Ω 이었고, 비유전율이 높으면 전기장에 영향을 받아 기능의 저하나 신호처리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유전율을 11.1~14.6으로 제어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로이 개발된 Bi계 투명유전체 조성은 Pb계 조성의 투명유전체에 상당하는 물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조성의 미세제어를 통해 고기능성 투명유전체로의 Bi계 조성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knock sensor용 압전체 연구에서는 Bi(Na,K)TiO3의 압전물성, 전기기계 결합계수에 미치는 첨가물의 영향을 밝히고자 (Bi0.5Na0.5TiO3-Bi0.5K0.5TiO3 : 이하 xBNT-(1-x)BKT를 기본 조성으로 여기에 천이금속화합물(A, B), SrTiO3 등의 여러 가지 첨가물을 첨가 및 치환하여 그에 의한 결정구조, 전기기계 결합계수의 변화와 미세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xBNT-(1-x)BKT(x=0.82~0.88) 조성에서 x=0.86의 유전율과 Tc가 가장높았으며 상온에서의 유전율은 471, Tc는 390℃이며, (1-x)BNKT-xSrTiO3(x=0.01~0.07) 조성은 x=0.03 SrTiO3가 치환되었을때 유전율과 Tc는 837, 280℃이다. 이와같이 ST의 첨가로서 유전율은 증가하고, Tc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xBNT-(1-x)BKT(x=0.86) 조성의 기계적 품질계수인 Qm 과 전기기계결합계수 kp는 각각 205, 30%이다. 여기에 천이금속화합물(A, B)을 1wt% 첨가하게 되면 Qm 과 kp 는 400~500, 31~32%로 증가하게 된다. 전기기계결합계수는 비슷하나 기계적 품질계수가 2배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PDP용 투명유전체의 제조 = 1 ⅰ. 서론 = 1 ⅱ. 이론적 고찰 = 2 1. Amorphous and crystalline glass = 2 1.1 유리의 물성 = 2 1.2 결정화 = 4 1.3 전이점 = 4 1.4 유리 전이점 및 열팽창 계수 측정 = 5 1.5 전기적 저항 = 6 2. Bismuth glass = 9 3. AC-PDP의 개요 및 특징 = 12 3.1 PDP 발광원리 = 13 3.2 PDP 구조 = 14 4. PDP 재료의 구성 = 16 4.1 Glass 기판 = 16 4.2 투명 유전체 재료 = 17 4.3 전극 재료 = 18 ⅲ. 실험방법 = 20 1. 유리분말의 제조 = 20 2. 투명유전체용 페이스트 제조 = 22 3. 분석 = 23 3.1 입도 분석 = 23 3.2 TG-DTA분석 = 23 3.3 TMA 분석 = 23 3.4 XRD 분석 = 24 3.5 비저항 특성 = 24 3.6 미세구조 관찰 = 25 3.7 광투과도 = 25 ⅳ. 결과 및 고찰 = 25 1. 유리 용융조건 및 유리상의 확인 = 25 2. 조성 변화에 따른 열분석 변화 = 26 3. 조성 변화에 따른 XRD 분석 결과 = 30 4. 연화점 및 열팽창계수의 측정 결과 = 32 5. 미세구조 관찰 = 35 6. Glass powder입도와 paste점도 따른 광투과도의 변화 = 37 ⅴ. 결론 = 41 Ⅱ. 자동차 knock sensor용 압전체의 제조 = 43 ⅰ. 서 론 = 43 ⅱ. 이론적 배경 = 44 1. 압전현상 = 45 1-1. 압전 기본식, 압전정수의 의미 = 48 1-1-1. Thin disc radial mode의 전기기계 결합계수 측정 = 48 1-1-2. 분극방향 진동 모드의 전기기계 결합계수 측정 = 52 2. Pb(Zr,Ti)O₃의 일반적 성질 = 52 3. 복합 페로브스카이트 물질 = 55 3-1. (Bi_(0.5)Na_(0.5))TiO₃의 결정구조 및 특성 = 55 3-2. (Bi_(0.5)Na_(0.5))TiO₃에 첨가물 효과 = 57 4. 노킹센서 = 59 4-1. 노킹현상 = 60 4-2. 노킹 검출 방법 = 60 ⅲ. 실험방법 = 61 1. 시편 제조 = 61 2. X-ray 분석 측정 및 미세구조 관찰 = 63 3. 유전 특성 측정 = 63 4. 압전 특성 측정 = 63 ⅳ. 결과 및 고찰 = 64 1. (Bi_(0.5)Na_(0.5x))TiO₃-(Bi_(0.5)K_(0.5(1-x)))TiO₃의 유전 및 압전 특성 = 64 1-1. XRD = 64 1-2. 미세구조 = 65 1-3. 압전 특성 = 68 2. (BNKT)의 SrTiO₃의 치환효과에 따른 유전 및 압전 특성 = 74 2-1. 상 합성(XRD) = 74 2-2. 미세구조 = 75 2-3. 압전 특성 = 78 3. (BNKT-SrTiO₃)-BaTiO₃의 치환효과에 따른 유전 및 압전 특성 = 85 3-1. 상 합성(XRD) = 85 3-2. 미세구조 = 86 3-3. 압전 특성 = 89 4. (BNKT) MnO₂-Nb₂O_(5)의 첨가물 효과에 따른 유전 및 압전 특성 = 92 4-1. 상 합성(XRD) = 92 4-2. 미세구조 = 93 4-3. 압전 특성 = 96 5. 노킹센서의 응용 = 99 ⅴ. 결론 = 106 Ⅲ. 참고문헌 = 10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Pb-free Bi계 전자재료의 제조와 응용-
dc.title.alternativeKim, Byung-Jun-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Byung-Jun-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재료공학과-
dc.date.awarded2007.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5622-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1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aterial Engineer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