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된 집단상담의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그 프로그램의 연구자 및 참여자의 특징과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내용이 초등학생 발달시기에 따라 적합한지를 검토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김계현(2001)의 ‘우리나라의 집단상담 연구 논문 분석’에서 사용했던 분석의 틀을 사용하였고, 연구를 위하여 1999년에서 2006년까지 씌어진 42편의 논문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연구자의 특징, 참가자의 특징, 연구 설계 분석, 집단회기와 집단시간, 집단원의 수 및 집단의 특징과 집단상담에 응용한 프로그램과 검사 도구를 내용별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1-4학년 즉 환상기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종속측정치인 인식은 단기간에 변화가 오기가 쉽기 않기 때문에 일정기간이 흐른 뒤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효과가 나타나고 유지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집단회기와 집단시간 및 인원수는 시간과 회기와 인원수가 적거나 많게 되면 그만큼 집단상담시 효과를 크게 나타내지 못하고 초등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난다.
검사도구 및 프로그램의 내용은 측정하는 하위영역이 서로 유사하거나 같은 내용이 포함되는 부분도 있으며 검사도구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도구를 초등학생에 맞게 수정한 것이어서 초등학생의 인지적 발달과정에 부합하는 내용이 적다. 프로그램의 내용으로 7개 활동을 중심으로 전과 같이 똑같은 형식과 내용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초등학생들의 상황에 맞지 않는 부분이 발생될 위험이 있다.
그리고 7가지나 되는 활동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다 포함한다는 것은 각 영역활동에 대한 효과보다는 오히려 정서적, 지적, 사회적으로 자립되지 않는 초등학생 아동들에게 더욱더 혼란을 가져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7개 활동 영역을 한 가지씩 체계적으로 시간별로 나누어서 각각의 영역에 필요한 활동과제를 아동의 발달과정에 맞춰 제작한다면 초등학생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체계적인 진로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제언은 초기․중기에 해당되는 초등학생들에 대한 진로인식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에 따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종속측정인 진로인식 또는 성숙은 단기간에 변화거나 측정하기에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여건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초등학생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통합적으로 진로교육 프로그램도 이에 맞게 단계별로 제작 구성될 필요가 있고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선정된 7개 활동에 대한 주제를 각각의 영역으로 나누어 현실적 상황 초등학생의 발달과정에 맞는 비디오나 시청각을 이용한 동적인 집단상담프로그램의 제작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Alternativ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roup counsel programs made for elementary students to promote the consciousness of education for schools of higher grade, and confirm their contents, the feature of their participants and their adaptability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 framework of analysis which is used by Kim, Kaehyun in his thesis (2001), "The analysis of the theses about group counsel written in Korea," Total 42 theses were analyzed which were written between 1999 and 2006. I analyzed the feature of the researcher, the feature of participants, the analysis of research design, group cycling, group time, the number of group, the feature of group, the program applied to the study, and test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cont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e need the research for the children for the first grade to the fourth grade. Every program needs to check its effect through the after-test after fixed duration, since it is not easy that recognition, dependant measure, does not change for a short time. When the group period, group time, and group number are too many or too short, the group counsel may not affect elementary students. The test materials and the contents of some programs are little proper for elementary students, since the lower test areas are similar to each other and contain the same contents. Sometimes test materials are not made for elementary students, but for junior high or high students, and adjusted to elementary students later. The contents of some programs do not correspond to the elementary students, since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their seven activities do not change even after much time. To include seven activities in one program may cause much confusion to primary students who are not emotionally, intellectually, and socially independent. When seven activity areas should be divid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developmental process, elementary students can develop systematic consciousness of education for schools of higher grade.
My suggestion is as follows. We need to develop the program of recognition of education for schools of higher grade, and its consistent study. We need advanced circumstance for systematic measure for a long time. The program for education for higher school should be made according to ages from elementary students to adults. Various subjects of seven activities should be divid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lementary students. We should also produce dynamic group counsel program using the Video Cassette Rec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