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교육 방식의 적용방법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신동우 | - |
dc.contributor.author | 김은정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40:13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40:13Z | - |
dc.date.issued | 2008-08 | - |
dc.identifier.other | 917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682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2008. 8 | - |
dc.description.abstract | 안전교육은 작업장 위험에 대해 자기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이며 재해예방에 별다른 제한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안전대책이다. 특히 건설 산업은 재해 강도가 높고 많은 인력이 투입되므로 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타 산업에 비해 더욱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건설근로자들에게 안전교육 시간은 지루하고 따분한 시간일 뿐이다. 이러한 이유는 작업과 상관없는 교육내용과 계층별·직종별 등 개인적 특성을 무시한 일괄교육, 강의식 위주의 교육방법에서 기인하며 이는 더 이상 근로자의 적극적인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지 못한다. 건설 안전교육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문헌고찰, 문제점 도출, 그리고 개념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며, 논의의 항목도 주로 교육방법과 교육내용에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교육의 필요성만을 제시하였을 뿐 건설현장에서 안전교육을 위한 실행단계의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개인적 특성 요소와 건설 안전교육 요소는 여러 가지 요소(factor)들로 이루어져있어 한 사람에게 해당되는 개인적 특성 요소와 안전교육 요소가 모두 조합(set)으로 운용되며 개인적 특성의 조합에 따라 그에 적합한 안전교육 요소의 조합이 달라질 수 있는 상호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적용방법은 개인적 특성 요소나 안전교육 요소 모두 개발요소로 각각의 종속변수와의 관계만을 파악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교육 방식의 조합을 개발하고 개발된 조합으로 구성된 안전교육 방식의 적용방법 모델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개인적 특성과 안전교육 구성체계(framework)를 개발하고, 2)이러한 구성체계를 이용하여 개인 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을 할 수 있는 통합적 조합(개인별, 군집, 그룹)을 개발하며, 3)전략적인 안전교육을 위한 적용방법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는 크게 3단계의 연구과정으로 수행되었다. 우선, 선행연구 등 문헌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인적 특성의 구성체계(IPF)와 안전교육의 구성체계(SEF)를 개발하였다. 이 구성체계는 6개요소와 37개 세부요소로, 안전 교육 구성체계는 5개 요소와 21개 세부요소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여러 단계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조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합은 1)개징별 조합, 2)군집조합, 3)그룹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별 조합은 건설근로자 개개인에게 맞는 안전교육 조합을 말하며, 군집조합은 대표 개인적 특성을 지닌 집단 안전교육 조합을, 그륩조합은 개인별 조합을 그루핑한 조합을 가리킨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합이 얼마나 잘 적합 되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안전교육의 관측치와 예측치를 비교하여 구하는 정분류유(correct classification rate:CCR)을 사용하여 조합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및 검증은 국내 6개 대형 건설회사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산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장 큰 의미는 일괄교육 위주의 현행의 안전교육에서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교육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건설 산업으 안전교육을 위한 결론적 논점을 제시하였다. 1) 현재의 안전교육은 재해원인 중 1차원인(불안전한 행동, 불안전한 상태)을 유발시키는 2차 원인인 개인적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강의식 위주의 교육방법으로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고, 작업과 무관한 교육내용으로 직종별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대표적인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다. 2)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시하고자 하는 안전교육 조합의 지표가 되는 건설근로자를 대표할 수 있는 개인적 특성과 건설 산업에 적합한 표준 안전교육의 구성체계(framework)를 개발할 수 있다. 3) 실질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개인별 조합, 군집조합, 그룹조합을 제사함으로써 현장특성과 현장규모에 맞는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개인별 교육, 집단교육이 가능하여 최적화된 교육을 통해 안전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4)건설현장에서 안전 관리자들이 어떻게 개발된 조합을 적용해야 하는지 안전교육 방식의 적용방법 모델을 제히함으로써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안전교육시행이 가능해 질 수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5 1.3 논문의 구성 = 10 제2장 기존의 이론 및 사례 고찰 = 13 2.1 재해에 관한 일반적 이론 = 13 (1) 재해의 일반적 정의 = 13 (2) 재해발생 원리 = 14 (3) 재해발생의 원인 = 18 (4) 재해발생의 교육적원인 = 19 2.2 건설 안전교육에 관한 기존연구 = 21 (1) 건설 안전교육의 일반적 고찰 = 21 (2) 건설 안전교육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 = 24 (3) 건설 안전교육의 적용방법 고찰 = 34 2.3 개인적 특성에 관한 기존연구 = 35 (1) 개인적 특성의 일반적 정의 = 35 (2) 개인적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 37 (3) 개인적 특성의 적용방법 고찰 = 38 2.4 기존 연구의 한계 및 문제점 = 39 (1) 개인적 특성 연구의 한계 = 39 (2) 건설 안전교육 연구의 문제점 = 40 (3) 개인적 특성과 건설 안전교육 적용방법의 한계 = 41 2.5 본 연구의 문제개선 방향 = 43 (1) 문제개선을 위한 연구방향 = 43 (2) 문제개선 방법이 갖는 기대효과 = 44 2.6 소결 = 45 제3장 개인적 특성 및 건설 안전교육 구성체계 개발 = 46 3.1 개인적 특성의 구성체계 개발 = 46 (1) 구성체계 개발 프로세스 = 46 (2) 요소 도출 = 47 (3) 구성체계 개발 = 50 3.2 건설 안전교육의 구성체계 개발 = 52 (1) 구성체계 개발 프로세스 = 53 (2) 요소 도출 = 54 (3) 구성체계 개발 = 57 3.3 소결 = 60 제4장 건설 안전교육 방식의 조합 개발 = 62 4.1 안전교육 방식의 조합개발을 위한 정량적 분석 = 62 (1) 데이터 수집 = 62 (2)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 = 64 (3) 데이터 분석 = 66 4.2 안전교육 방식의 조합개발 개념 및 요소 설정 = 71 (1) 안전교육 방식의 조합개발 개념 = 71 (2) 안전교육 방식의 조합개발에 사용될 요소결정 = 73 4.3 개인별 교육방식 조합 = 80 4.4 개인적 특성 집단별 교육방식 조합 = 98 (1) 군집 교육방식 조합 = 98 (2) 그룹 교육방식 조합 = 107 4.5 안전교육 방식 조합의 적합성 검증 = 108 (1) 우도비 검정 = 109 (2) 정분류율 = 110 4.6 분석 및 검증결과 요약 = 119 4.7 소결 = 124 제5장 건설 안전교육 방식의 적용방법 모델 = 127 5.1 적용방법 모델 = 127 5.2 적용방법 모델 사례적용 = 130 5.3 소결 = 141 제6장 결론 = 142 6.1 연구의 결론 = 142 6.2 연구의 기대효과 = 146 6.3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 148 [참고문헌] = 150 [부록 1] 설문조사서 = 155 [부록 2] 통계분석 자료 = 161 [Abstract] = 185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교육 방식의 적용방법 | - |
dc.title.alternative | Kim, Eun Jung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Eun Jung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
dc.date.awarded | 2008.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7276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179 | - |
dc.subject.keyword | 건설근로자 | - |
dc.subject.keyword | 개인적 | - |
dc.subject.keyword | 안전교육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Safety Education is a basic method that allows one to protect oneself from dangers in work site, and is an important safety measure which can be used efficiently without special restrictions in preventing accidents. Particularly, because construction industry has high accident rate and needs much manpower, their need of safety education is relatively much higher than that of other industries. Existing studies about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mostly put up in the level of literature examination, deduction of problems, and conceptual improvement measures, and discussion categories are primarily limited to education method and educational content, Furthermore, they only suggested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individual properties, but not concrete measures in the implementation stage for safety education in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the study embarked on 3-stage research process, First, the paper developed individual property frameworkaPF) and safety education framework(SEF)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such as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This framework was based on literature examination and survey, and interview with experts; as for individual property framework, it was composed of 6 elements and 37 sub-elements, and as for safety education framework, it was composed of 5 elements and 21. sub-elements, Next, the paper developed safety education model suit to individual properties through multi-level quantitative analysis, Associations developed in the paper are 1) individual association, 2) crowd association, and 3) group association that groups individual model; and individual model denotes safety education association that suits individual construction worker, crowd model denotes mass safety education association that possesses representative individual property, and group model denotes association that groups individual model. Finally, in order to evaluate appropriateness of models developed, the paper used correct classification rate(CCR) that compares observation value and estimation value. For analysis and verification, the paper used collected data through survey on 6 big-scale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The paper suggested the following concluding points for construction industry's safety education. 1) The current safety education can be said to have some representative problems, such as that it doesn't take into account second causes at all, among causes of accident, which are individual properties that lead to first causes (unstable actions, unstable state), that it lacks diversity of teaching method due to lecture-style-centered education, and that education that is irrelevant to work, that is, education per specific type of work is not being carried out. 2) In order to correct these problems, the paper seeks to develop standard safety education framework that is appropriate to individual properties and construction industry, which can represent construction workers and be a guide post for safety education model. 3) By suggesting individual association, crowd association, and group association in order to practical solve problems, individual education and crowd education that reflect individual properties are possible, and education that employs diverse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content that is appropriate to the work, which retains education interests from construction workers is possible. 4) By suggesting safety education application method model that teaches how safety managers in construction site apply the developed associations, strategic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afety education could be possibl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